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Elucidating Feierabend’s Conversational Solfège: Its Practical Application of 12 Steps to Teaching Folk Songs

        차동주(Dong-Ju Cha) 한국음악교육학회 2024 음악교육연구 Vol.5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apture both practical and applicable lesson ideas to teach American folk music using the Feierabend’s Conversational Solfège. Direct instruction on the folk songs exclusively employed the 12 Steps of Conversational Solfège (CS) designed by John M. Feierabend. Ultimately, this article unpacked the 12 steps of the CS curriculum, with an emphasis to what types of activities can be included in these 12 steps of the Feierabend approach to music learning and teach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as follows: (a) enhancement of tonal/rhythm accuracy through inner-hearing and inferential skills, (b) effectiveness of sequential and repetitive learning in reinforcing musical concepts, (c) integration of unconscious comprehension from singing games into cognitive processes, and (d) recommendation of F major as a suitable starting key in the general music classroom. The application of the CS to teaching children’s songs would be a cornerstone for Korean music practitioners to make educated decisions when exploring other traditional piece of music within the systematic pedagogical framework.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음악 교육 분야에 그동안 소개되지 않았던 John M. Feierabend의 Conversational Solfège (CS) 교수법을 이론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CS 교수법을 구성하는 12단계 구성요소를 소개하고, 연구자의 수업을 실제 적용 사례로 들어 학교현장에서 가창 수업 시 활용할 수 있는 지도 전략과 학습활동 전개 방식을 구체화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CS 교수법은 학습자의 내청 능력과 청각적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음악적 문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반복적이고 계열성 있는 교육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체계적으로 음악과 개념 학습을 할 수 있다. 셋째, 놀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지식의 전이가 가능하다. 넷째, 저학년 가창 제재곡 선정 시 학습자의 적정 음역대를 고려하여 바장조 악곡부터 학습하는 것이 권장된다. 한국의 초,중등 음악교사들이 가창 제재곡을 선정할 때 본 연구에서 소개한 CS 음악 교수법을 바탕으로 음악과 교수 학습 맥락에 맞는 체계적인 학습을 설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