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사의 군 적응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진은설,임영식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6

        The research is purposed on establishment of the specific direction and finding of progressive study scheme for further adaptation program of soldier, based on analysis of study trend, specifically preceding studies of soldier’s adaptation program which has been done in S. Korea. Among master’s dissertations, it has been collected 88 thesis of this subject announced during 2001 to 2015. We have only chosen 57 thesis which is related with our purpose, and analysed the study trend. As the result of that, first, the study on adaptation programs of soldier are not enough quantitatively, most programs are for the soldiers in military army and maladjusted soldiers. Second, most soldier’s adaptation programs are subjected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art therapy program. The integrated study comb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as the second most. Third,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most popular as study plan. Forth, program running is 8 sessions and 120 min. per a session.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re shown self-regard, soldier’s life adaptation, lessening depression and relationship in order of named. Last, in programs' subject, new programs are slightly more than redesigned programs. Basted on those result, this study is comprehensive of the discussion and suggests further progressive plan.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군 적응 관련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군 장병들의 적응에 관한 프로그램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발전적인 연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검색한 결과, 2001년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88편의 논문을 수집할 수 있었으며 그 가운데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한 논문 총 57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군 적응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은 양적으로 다소 부족한 수준이며, 육군 및 도움·배려병사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둘째, 군 적응 프로그램의 주제로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설계는 실험집단·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넷째,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는 8회기, 120분의 운영이 가장 많았으며, 군 적응 프로그램의 효과성 요인으로는 자존감, 군생활적응, 우울감 감소, 대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제별로 제시된 프로그램들은 새롭게 개발된 프로그램이 재구성된 프로그램에 비해 조금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논의를 종합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의 업무갈등이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갈등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은설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ask conflict influences to the job performance and whether relationship conflict contains mediating effect and adjusting effect between work conflict and job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among the youth workers who work in youth centers and youth organizations. I have verified with the methods of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s test on the selected 242 worker's data. As the result, relationship conflict contains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between work conflict and job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improves job performance by mediating youth worker's relationship conflict and reducing the negative result of work conflict. Even though it is in the similar situation of work conflict it also shows that the job performance's result can be diverse according to the level of relationship conflict. Based on this result, I suggest conflict management and field application to improve job performance of youth workers.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업무갈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관계갈등이 업무갈등과 업무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수련시설 및 청소년기관에 근무 중인 청소년지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42명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회귀분석과 Sobel's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관계갈등이 업무갈등과 업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지도사의 관계갈등이 매개하여 업무갈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함으로써 업무성과를 높였고, 동일한 업무갈등 상황에서도 관계갈등의 정도에 따라 업무성과에 미치는 결과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지도사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갈등의 관리 및 현장의 적용에 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제주지역의 작은도서관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진은설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4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actual management of 21 small libraries in the Jeju region and search for their vitalization plans based on it with a survey among practitioner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overall real conditions of small libraries in their management and work situations covering their service hours, program management, volunteer activities, facility expansion, exchanges with common public libraries, work-related education, job priorities, promotional activities, and service for vitalization. Based on findings, the study proposed to induce local residents' interest in small libraries, expand reading culture program, secure professionalism of management manpower, recruit more management manpower, expand budgets for the management of a small library, establish a set of criteria for the expenses of management manpower, build a support center for small libraries. 본 연구는 제주지역 내 21개관의 작은도서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 프로그램 운영, 자원봉사자의 활동, 시설확충, 작은도서관 및 일반 공공도서관과의 교류, 업무관련교육, 업무 우선순위, 홍보활동,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등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근무상황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작은도서관에 대한 관심 유도, 독서문화프로그램 확대운영, 운영인력의 전문성 확보, 운영인력 충원, 예산 확대 및 운영인력의 인건비 기준마련, 작은도서관지원센터 설립 등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기효능감, 또래영향, 부모모니터링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은설,임영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factors influencing on youth activitie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activities and prosocial activity, and to present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e for advancement of youth activity's particip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80 youth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adjustment model is suitable than the theoretical model. The theoretical model of based on prior study is that self-efficacy, peer pressure and parents monitoring have effects on youth activity. Also this youth activity have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But adjustment model is excepted parents monitoring in theoretical model. Self-efficacy and peer pressure have direct effects on youth activity. These are also have direct effects on prosocial activity. It shows that youth activity is the mediating effects among self-efficacy, peer pressure and social activity. On this analysis, self-efficacy and peer pressure have effects on youth activity,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y brings advancement of prosocial 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청소년활동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성을 검증함으로서 청소년활동의 참여를 증진시키는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J지역 고등학교 청소년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구성한 이론적 모형(자기효능감, 또래영향, 부모 모니터링→청소년활동→친사회적 행동)보다 부모의 모니터링이 청소년활동에 미치는 경로를 제외한 수정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또래영향은 청소년활동에 직접효과가 있었고, 자기효능감과 또래영향 및 청소년활동도 친사회적 행동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청소년활동은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 및 또래영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자기효능감과 또래의 영향은 청소년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활동의 참여는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켜준다는 것을 말해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활동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진은설,임영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4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revitalization of youth activity as necessary by description of meaning on the youth's perspective about experiences of youth activity. For this, w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youths, who had taken part activities over a year in youth facilities' Youth Council from March to April of 2009. This study employe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Based on these results, experiences of youth activity can be divided into 15 themes and 3 focal meanings. The first focal meaning is that ‘Joyfulness’, which is defined as the following: freedom for bondage, having fun, being relaxed and having new experiences. The second focal meaning is that ‘Self- contentment’, which is defined as the following: accomplishing something, being proud. The third focal meaning is that ‘Any development’, which is defined as the following: confidence, leadership, responsibility, developing a mature mindset, positive behavior, future goals, care for youth, personal relationship development, and an awarness of their in commun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t is very positive experiences, and becomes the main part of affirmative development for youths. Therefore, it is needed the various supports for youth activities to participate with active and affirmative attitude.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경험에 대해 청소년들의 관점에서 의미를 기술하여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경험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3월부터 4월까지 청소년운영위원회에서 1년 이상 활동경험이 있는 15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Giorgi(1970) 접근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활동경험의 의미는 15개의 주제와 3개의 중심의미로 추출되었다. 첫 번째 중심의미는 ‘즐거움’으로 이에 따른 주제는 자유로움, 재미, 스트레스해소, 새로운 경험이었고, 두 번째 중심의미는 ‘자기만족’이며 그 주제로는 성취, 자부심이었다. 셋째 중심의미는 ‘나의 발전’으로 이에 따른 주제는 자신감, 리더십, 책임감, 성숙된 사고, 긍정적 행동, 미래의 비전, 청소년에 대한 관심, 대인관계 개선,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활동이 청소년 스스로에게 매우 긍정적인 경험이며 긍정적 발달에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와 활동 집단의 특성 그리고 활동 만족도의 관계

        진은설 ( Eun Seol Jin ),임영식 ( Young Sik L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와 활동 집단의 특성이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활동 집단의 특성으로 청소년과 지도자 간의 상호작용, 집단응집력이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와 활동의 만족도 사이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청소년수련시설 소속 청소년운영위원회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과 지도자 간의 상호작용, 집단응집력 모두 청소년활동 동기와 활동 만족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지만, 두 변인 모두 유의미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활동 집단의 특성은 청소년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특히 청소년 개인의 활동 참여동기와 활동만족도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어, 활동현장에서 지도자와 청소년의 상호작용과 집단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participating motivation and group characteristics on youth activity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level of youth activity,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roles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n group cohesion and interaction between youth and youth worker as character of group activity or not, between participating motivation of youth activity and its level of satisfaction. There are 215 youths who has been subjected on this study. The data were verified wit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ere are the effects of mediation by the interaction between youth and the worker, and group cohesion. However, the effect of moderation is not significant by interaction between youth and youth worker, and group cohesion. But,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t factor that group characteristics give the positive effects for satisfaction level of youth activities. Specially, group characteristics play important role of mediating between participating motivation of youth activity and its level of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 for increasing group cohesion and interaction between youth and youth worker in youth activities` fields.

      • KCI등재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 활동만족도, 적응유연성 및 행복감의 관계

        진은설(Jin, Eunseo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와 활동만족도가 적응유연성을 거쳐 행복감에 미치는 가장 타당한 모형을 찾아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청소년수련시설에서 청소년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30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참여동기, 활동만족도, 적응유연성, 행복감 간의 관계에 대한 타당한 모형을 찾기 위해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동기 및 활동만족도에 따른 행복감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한 2개의 모형을 실증적 자료로 각각 검증하여 가장 타당한 모형으로 모형2를 제안하였다. 모형2는 참여동기, 활동만족도가 적응유연성을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이며, 구체적으로 각 변인들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활동의 참여동기는 활동만족도와 적응유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활동만족도는 적응유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적응유연성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활동만족도는 참여 동기와 적응유연성 사이에서 유의한 간접효과가 나타났고, 적응유연성은 참여동기와 행복감 사이에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propose the most appropriate model by which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vity satisfaction, happiness and resilience may be verified. A survey,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youth activities at youth centers was used to obtain the main data.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308 young peop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the AMOS 18.0, was conducted to elucidate an appropriate model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vity satisfaction, resilience and happiness. The study respectively verified two models. and attempted to explain happiness led by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ctivity satisfaction through the empirical data, and suggests Model II as the most appropriate model. Specifically looking into the channel between the variables, the study foun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activities had a static effect on activity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nd that activity satisfaction had the same effect on resilience. In addition, resilience turned out to affect happiness. Meanwhile, activity satisfaction showed an indirect effect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resilience. Resilience showed an indirect effect between happines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ctivity satisfaction.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 a number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examined here.

      • KCI등재

        제주지역 중 고등학생의 자존감과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학교생활만족도, 청소년활동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은설 ( Jin Eun-seol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7 탐라문화 Vol.0 No.55

        본 연구는 자존감과 학교생활만족도 및 청소년활동만족도가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교생활만족도와 청소년활동만족도가 자존감과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의 중학교 2개교와 청소년수련시설 3개소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존감과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만족도와 청소년활동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변인 투입 후 기존 변인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량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sobel`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생활만족도는 자존감과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청소년활동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 연구의 한계, 후속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elf-esteem, satisfaction degree of school life and youth activity influenced community sense of local society, and verified whether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degrees of school life and youth activity on self-esteem and community sense of local society. It includes the survey for this subject on 293 youths in 2 middle schools and 3 youth activity centers. The data was verified by the method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oth satisfaction degree of school life and youth activit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ommunity sense of local society. Based on this result, I suggested discussion on the research result, the limitation of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 KCI등재

        청소년 비판적 사고력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임영식,정경은,진은설,정미나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youth critical thinking ability program'. The program was developed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ncreasing critical thinking skill as well. The program was practiced twice a week for 4 weeks at the A youth center and each session lasted for 90 minutes.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33 youths of middle schools. Among the 33 participants, 14 of them were arra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a need to increase their thinking skills. And 19 of them were included to the control group. Scales is used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ich constitutes truth-seeking, inquisitiveness, systematicity, self-confidence, open-mindeness, objectivity, and skills which composes interpretation, inference, analysis, evaluation, explanation.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at the point of pre-test, post-test, were analysed and compared through the Wilcoxen Matched Pairs Singed Rank Test, Chi-Square Test and Mann-Whitney U test. A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increases in the area of truth-seeking, inquisitiveness, systematicity, self-confidence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nterpretation, inference among critical thinking skill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kill in the control group at pre-test and post-test.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of the program were confirmed.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비판적 사고의 사고성향과 사고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청소년수련관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매 90분씩, 총 8회기로 4주간 실시되었으며, 33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실험집단(14명)과 통제집단(19명)의 비교분석을 통해 비판적사고 기술의 하위영역인 사고성향(진실추구성, 탐구성, 체계성, 자기신뢰성, 개방성, 객관성), 사고기술(해석, 추론, 분석, 평가, 설명)척도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Mann-Whitney U test와 X² 검증, Wilcoxen Matched Pairs Singed-Rank Test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에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비교해 진실추구성, 탐구성, 체계성, 자기신뢰성 영역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 점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 모든 영역에 있어 사전, 사후 조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고기술 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은 해석, 추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사전, 사후 조사 간 유의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검증되었으며, 청소년수련관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유용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멘토링 효과성 측정영역 및 지표 구인을 위한 탐색적 연구

        모상현,박정배,진은설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2

        This study as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mentoring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aims to offer the empirical foundation through pilot on measurement areas and indicators of mentoring effectiveness. The development of mentoring effectiveness scale based on measurement indicators provides a basis to identify various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mentees in a situation where a growing demand for the activation of a mentoring program and measuring mentoring effectiveness. For the construct of measurement tools were conducted survey for mentoring field staffs and opinion survey(delphi) for mentoring experts. As a result of surveys, we have founded 6 mentoring effectiveness areas; ​​psychological area, social area,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problem behavior areas, career areas, service satisfaction area and 57 measurement indicators. Based on the results was proposed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Hereupon, this study results are aimed at helping to utilize of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in the field by presenting the key indicators in each area. 본 연구는 멘토링 효과성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효과성 영역과 지표에 대한 탐색을 통해 멘토링 효과성 도구개발을 위한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는 최근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함께 효과성 측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표에 기초한 척도의 개발과 활용을 통해 다양한 멘티의 발달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측정요인 구인을 위해 멘토링 실무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전문가 대상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 학업성취 영역, 문제행동 영역, 진로 영역, 서비스 만족도 영역 등 6개 효과성 측정영역과 57개의 측정지표를 중심으로 멘토링 효과성 측정도구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영역별 중요 지표를 제시함으로 현장에서 효과성 측정도구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