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가족센터 장기이용과정 연구: 다문화 부부의 경험을 중심으로

        진미정,딩징야,노신애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2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ouples who have used services of the family centers for an extended period, their motivation and selection process of the service programs, and what rol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mily and the family center play in the outcomes. Metho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couples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oreign wives were from China, Vietnam and the Philippines, and had used the center programs for more than 2 yea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Korean husbands. A thematic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otivation of the couples for using the center and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service programs. The foreign wives first began to use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classe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initial adaptation in Korea, and continued to use related programs for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s, raising children, and strengthening personal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ir life-course needs. The Korean husbands began to use the center programs under their wives’ persuasion, and continued on with the programs as they discovered activities that helped them with family time and meeting other multicultural families.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is study had needs for lifelong learning about family relationships and child rearing. At the same time, they had a good marital relationship, so the various programs provided by the center at no cost were effective in meeting the needs of these families, and leading to positive long-term outcomes. Conclusion: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multicultural couple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individuals and families by explaining the process of long-term use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families who used the center services for a long time and the success factors of the center’s service-delivery. 연구목적: 가족센터의 다문화가족 사업을 장기 이용하는 다문화가족 부부의 경험으로, 사업을 이용하는 동기와 과정을 분석하여 다문화가족 특성이 센터의 특성과 상호작용하는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자료수집 시점에서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외국인 아내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출신 다문화가족 중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 2년 이상인 다문화가족 부부 5쌍을 심층면접하였고, 이 가족들의 한국인 남편 4명을 집단면접하였다. 주제분석법으로 면접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족 부부의 센터 이용 동기와 지원사업의 선택과정에서 차이가 존재하였다. 외국인 아내는 한국생활의 초기 적응을위해 한국어, 한국문화 등 교육과정을 이용하기 시작하였고, 생애과정의 필요에 따라 가족관계 향상, 자녀양육 및 개인역량 강화 등을 목적으로 관련 프로그램을 지속 이용하였으며, 한국인 남편은 아내의 권유 하에 센터를 다니기 시작하였고, 가족시간을 보낼 수 있는활동 및 다른 다문화가족과 모일 수 있는 활동을 발견하여 센터 사업을 계속 이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다문화가족들은 가족관계 및 자녀양육에 대한 평생 학습 욕구가 있으며 동시에 부부관계가 양호하게 형성되어 있었기에 센터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은 이러한 가족들의 욕구 및 시간에 부합하여 장기이용을 하도록 사업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이용자의 관점에서 다문화가족 부부가 사업의 장기 이용과정을 설명함으로써 사업이 개인과 가족에 가져온 효과를 도출하였고, 다문화가족 사업을 장기 이용한 가족의 특성과 센터 사업의 성공적 요인을 밝혔다.

      • KCI등재

        한국 가족생애주기의 변화: 1987년 공세권 연구와의 비교

        진미정,변주수,권순범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4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family life cycle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econcept of family life cycle provides an analysis framework from a family developmentalperspective. It allows to explore how macro demographic changes are translated intostructural and developmental changes at family level. In spite of importance in familyand demographic research, few studies have examined recent trends of the family lifecycle with empirical data with an exception of Gong (1987). Gong collected data from3,013 married women and divided them into six marriage cohorts from 1935-1944 to1975-1984 in a ten year interval. He identified six stages of the family life cycle(stage1: formation, stage 2: expansion, stage 3: end of expansion, stage 4: reduction, stage 5:end of reduction, and stage 6: dissolution) and estimated the mean duration of each stageby the marriage cohorts. This study employed the Gong(1987)’s analysis and updated it by applying to morerecent marriage cohorts of 1985-1994, 1995-2004, and 2005-2007. Using Korean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e selected 7,730 married women anddivided them into six marriage cohorts from 1958-1964 to 2005-2007 in a ten yearinterval. From the analysis, I found several important results with respect to changes inthe family life cycle. First, the duration of the whole family life cycle has expanded sincethe Gong’s cohorts due to the lengthened life expectancy. However, the proportion ofthe family life cycle out of the entire individual life span has been reduced. Second, theduration of stage 2 has been steadily reduced and the duration of stage 3 has beenlengthened. Third, the duration of stage 4 has been reduced and the duration of stage5 has been expanded. Fourth, the duration of stage 6 has increased up to the 1985-1994marriage cohort and then decreased beginning the 1995-2004 marriage cohort. Last, thosewho do not follow the family life cycle such as the divorced and remarried have increased.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structural aspect of family has been steadily changed dueto aging, low fertility, and delayed marriages. These changes not only influence familyrelations and life but also modify individual life courses. Demographic policies and familypolicies need to take these changes into account in centenarian era.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에 따른 한국가족의 발달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공세권(1987)의연구틀을 빌어 결혼코호트별로 가족생애주기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세권은 「한국의 가족생활주기조사」를 통해 15-64세 기혼여성 3,013명을 대상으로 1935-44년 결혼코호트부터 1975-85년 결혼코호트까지 가족주기 6단계(형성기, 확대기, 확대완료기, 축소기, 축소완료기, 해체기)의 구성비율과 구성시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활용하여7,330명의 기혼여성을 1958-84년, 1985-94년, 1995-04년 결혼코호트로 구분하여 공세권 연구 이후의 가족생애주기 변화를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가족생애주기의 절대적 시간은 연장되었고, 가족생애주기가 개인의 생애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하였다. 둘째, 자녀수가 감소함에 따라 확대기에 소요되는 시간은 단축되었고, 확대완료기는 연장되었다. 확대완료기가 연장되었다는 것은 가족의 구조적 변화가 없는 안정적 시기가 연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축소기는 단축되었고, 축소완료기는 연장되어 부부 두 사람만 생활을 공유하는 시기는 연장되었다. 넷째, 지속적으로 연장되어오던 해체기가 1985-94년 결혼코호트부터는 단축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가족의 구조적 변화는 압축적으로 진행되는 반면발달적 변화는 더 장기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가족관계와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것으로 예측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