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미령 ( Meiling Chan ),김윤주 ( Yoonjoo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일반 중학교의 특수학급과 사회복지시설을 이용한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무선할당하여 치료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을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6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 및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에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두 집단의 치료효과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치료집단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동물과의 유대관계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이 되었고 향후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연구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animal assisted therapy (AAT) program a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by 30 treatment group and 30 control group who were in special classes of the middle school and us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The AAT program was conducted 8 sessions and an hour per session. Th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for effect verification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he social skills ration system,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fact. SPSS 25.0 was used as a statistical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and in order to compare the interaction effects of two groups, a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reatment group.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animal acquired by animal assisted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an be used on a basic data when studying the effectiveness of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s for th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