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 융합적 제재로서의 영화를 활용한 시 교육의 가능성 고찰

        진가연(Jin, Ka-yeon),윤여탁(Yoon, Yeo-tak)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7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융합적 속성을 지닌 영화를 활용한 시 교육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영화의 담론적 효과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실제 수업에서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추출하는 것이다. 영화는 이미 다양한 교과에서 융합 교육의 매개로 활용되어 온 바 있으나, 이러한 접근은 영화에 담긴 다양한 소재적 측면에 국한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가 사회 속에서 소통되는 담론의 일종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영화의 생산 측면과 수용 측면에 따른 담론 효과를 융합의 매개로 삼고자 하였다. 특히 시 감상 교육에서 활용되어 온, 비평을 비계로 활용한 교육 논의를 영화에 확장시켜 적용해봄으로써 영화가 시 감상 교육에서 담당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윤동주의 시 작품에 대한 비평적 성격을 지닌 영화 〈동주〉를 비계로 활용한 수업을 전개하였다. 영화를 비계로 활용한 학생들의 시감상 양상을 분석함에 있어 역사 영화의 이해 방식을 원용하여 영상 언어가 갖는 시각화와 재현의 측면을 반영하였다. 시 감상 교육에서 영화는 비평적 성격을 근거로 비계로 활용될 수 있으며, 영화의 허구적 진실을 구분하기 위한 교육적 설계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문학 교과와 역사 교과간 융합의 지점을 호출해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poetry education using the film with the convergence attribute of the subjects and to mak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iscursive effect of the film and analyze the cases applied in the actual class to extrac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film has already been used as a mediator of convergence education in various subjects, but this approach is limited to various material aspects that the film can tak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ilm is a kind of discourse that communicates in society.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end the discussions of education using scaffolding, which has been utilized in the appreciation education of the poetry, to the film and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film can take charge in the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To this end, I taught a lesson that utilized the film 〈Dong-ju〉as a scaffolding, which contains a critical interpretation of Yoon Dong ju’s poetry. In analyzing the visual impression of students who used the film as a scaffold, the reflected visualization and representation aspects of the visual language by using the understanding method of the history film. In the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the film can be used as a scaffold on the basis of the critical character, and calls for the point of convergence between the literature subject and the history subject in order to demand educational design th distinguish the fictional truth of the film.

      • KCI등재

        문해력과 윤리성의 관계에 대한 고찰 -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 분석을 중심으로 -

        진가연 ( Jin Ka-ye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9

        이 논문은 글을 읽고 쓰는 문제로서의 문해력이 인간 성장의 국면에서 삶의 방식을 메타적으로 점검하고 자기 서사를 구성하는 윤리성과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문해력 향상을 통해 주체가 발휘하는 가능성의 차원을 논하기보다는 이를 상실한 상태로 볼 수 있는 문맹 상태를 자기행위로부터 소외된 상태로 규정하고, 주체의 삶에서 제한되는 지점이 무엇인가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허구 서사 <책 읽어주는 남자>를 분석한 결과 문맹인 주인공이 치른 손실은 글을 읽지 못하는 사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존재적 차원의 ‘자기’를 구성하지 못한다는 데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해력과 윤리성의 공통 기반이 되는 ‘자기’의 구성은 인간의 성장을 도모하는 인문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문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literacy as a problem of reading and writing is related to the ethics of meta-checking the way of life and constituting self-narration in the phase of human growth.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not the dimension of the subject’s possibility through improving literacy, but the dimension of limiting the subject’s life by the illiterate state, which is a state of alienation from one’s own ac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ovel < Der Vorleser >, it was confirmed that the loss inflicted by the illiterate protagonist was not limited to the fact that she could not read the text, but that she could not constitute the ‘self’ of the existential dimens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stitution of ‘self’, which is the common basis for literacy and ethics, is the direction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as a humanities education that promotes human growth should be directed.

      • KCI우수등재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오현아(Oh, Hyeon-ah),오지혜(Oh, Ji-hye),진가연(Jin, Ka-yeon),신명선(Sin, Myeong-seon)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7

        이 연구에서는 재외동포 현지 교과인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을 ‘모국어 교과’, ‘분단 상황에서의 중간자적 언어 교과’, ‘재외동포 현지 교과’ 차원으로 구분하여 그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첫째, ‘조선어’ 교과는 ‘모국어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중국 내 공용어로서의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의 위상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공용어인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에 대한 조선족의 인식 실태 조사를 학생, 학부모, 교사, 교육 행정가 등을 대상으로 실시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선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사적 고찰을 통해 ‘조선어’ 교육이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는지에 대해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지 모국어 교육의 역사적 기술은 북미, 일본, 러시아 지역의 현지 모국어 교육의 역사적 기술로 확장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조선어 교과는 ‘분단 상황에서의 중간자적 언어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개혁 개방, 중․한 수교 이전 중국의 조선어 교육은 실제적으로 북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으나 개혁 개방, 중․한 수교 이후에는 남한어의 영향이 점차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북한어’와 ‘남한어’ 사이의 ‘조선어’에 대한 조선족의 인식 실태 조사를 학생, 학부모, 교사, 교육 행정가 등을 대상으로 실시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남북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와의 비교 고찰을 통해 조선어 교육에서의 남한의 국어교육과 북한의 국어교육의 영향 관계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시기 재외동포의 현지 모국어 교육의 역사적 기술이 가능하며, 현재 ‘남한어’와 ‘북한어’ 사이 ‘조선어’의 중간자적 지정학적 위상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조선어 교과는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현재 국립국제교육원, 재외동포재단 등에서 재외동포 대상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들을 배포하고 있으며, 온라인 학습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사정을 고려하지 못한 공급자 중심의 교재 제작으로 이들은 현지에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에 참여했거나 한국어교육의 실행 주체인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에 대한 한국어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제안 사항이나 주의 사항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complex status of ‘the Joseon language’ curriculum, which is a local curriculum of overseas Koreans, is divided into ‘the native language subject,’ ‘the mediator language subject in the divisional situation’ and ’the local language subject for overseas Korean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actual status to raise the need for research of comparison and analysis. First, ‘the Joseon language’ has a status as a ‘native language subjec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tatus of ‘Chinese’ as the official language in China and ‘the Joseon language’ as the mother tongu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rvey on Korean‐Chinese’s perception of “the Chinese language” as the official language and “the Joseon language” as the mother tongue to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at kind of changes ‘the Joseon language education’ has undergone through the chronological study of Joseo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It is possible that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the local native language education are likely to expand to those of the local native language education in North America, Japan and Russia. Second, the Korean language subject has a status as ‘a mediator language subject in the situation of divis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before China’s reform, opening and signing a treaty of amity with Korea was actually influenced by the North Korean languag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after China’s reform, opening and signing a treaty of amity with Korea,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has been influenced by the South Korean language gradual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rvey on Joseon people’s perception of ‘the Joseon language’ in between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for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education administrato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Sou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No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historically describe the local native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t a certain time,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clearly grasp the mediator geopolitical status of ‘the Joseon language’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Third, the Joseon language curriculum has a status as a ‘local curriculum for overseas Koreans.’ Currently,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are distributing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provide online learning contents. However, it is not well utilized locally due to the supplier‐oriented textbook production that does not consider local circumsta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alists’ recognition of ‘the Korean languag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 or who have been involv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derive suggestions and cau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