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환율과 주가의 관계 : 국제적 실증비교 The International Evidence

        지호준,김영일 한국재무관리학회 1999 財務管理硏究 Vol.16 No.1

        본 연구는 우리 나라를 비롯한 미국, 영국, 독일, 일본시장을 대상으로 환율과 주가의 선후행 결합관계를 검정해 보고 선행변수가 원인변수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정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서 1980년부터 1997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교차상관관계점정과 인과관계검정을 시도해 보았다. 우선 AIC에 따른 최적시차를 대상으로 교차상관관계에 대한 Ljung Box Q 통계량 검정을 실시한 결과 한국, 영국, 독일의 경우에는 환율이 주가에 선행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국, 일본은 유의적인 관계가 도출되지 않았다. 또한 안정적 시계역자료를 대상으로 Granger, Sims, Geweke-Meese Dent 모형에 따라 인과관계를 검정해 본 결과에서는 한국, 영국, 독일의 경우에는 환율변동률이 주식수익률에 대한 일반적 원인변수로 나타났다. 이를 환율변동의 크기에 따라 루브르 협정 이전과 이후로 구분해서 검정해 본 결과 환율변동이 매우 심했던 협정 이전 기간에는 한국과 영국의 일부 모형에서만 환율변수가 유의적인 원인변수로 작용하였지만 환율변동이 작았던 협정 이후 기간에는 한국, 영국, 독일을 대상으로 모든 검정모형에서 유의적인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 일본의 경우에는 분석기간 전체 뿐만 아니라 루브르 협정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더라도 유의적인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미국, 일본의 대외무역의존도가 20%대 수준에 머물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40%대 이상의 대외무역의존도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 영국, 독일과는 다른 결과과 도출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대외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 영국, 독일에서는 환율이 주가에 비해 선행하여 변동한다고 볼 수 있다. 1. 연구의 요약 본 연구는 우리 나라를 비롯해서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시장을 대상으로 외환시장과 주식시장 사이의 선후행결합관계를 검정해보고 또 선행변수가 후행변수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가 되는가 하는 인과관계를 검정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1980년부터 1997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여 교차상관관계검정과 다양한 인과 관계 검정을 실시해 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AIC에 따라 선정된 한국의 경우 4기 영국은 5기, 미국은 8기, 독일은 12기, 일본은 9기를 대상으로 Ljung-Box Q 통계량에 의한 교차상관관계검정을 시도한 결과 한국과 영국, 독일의 경우 과거의 환율과 현재의 주가간에는 유의적 교차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한국과 영국, 독일의 경우 외환시장이 주식시장에 대해 선행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Frankel(1983) 등이 제시한 포트폴리오 균형모형이 성립하지 않고 Aggarwal(1981)의 이론이 성립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안정적 시계열 자료를 대상으로 Granger 인과관계 모형을 비롯한 Sims, GMD 모형을 토대로 분석기간 전체에 대한 검정을 실시한 결과를 보면 한국, 영국, 독일은 외환시장일 주식시장에 대하여 일방적 원인변수로 나타났으며, 미국, 일본에서는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못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Granger 검정결과 한국, 영국, 독일에서 과거시차의 환율변동률이 현재의 주식수익률에 일방적인 원인변수를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ms, GMD 검정에 의하면 한국, 영국, 독일의 경우 현재의 주식수익률은 미래의 환율변동률을 예측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외환시장변수가 주식시장 변수에 대한 인과성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의 인과관계검정을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환율변동률이 크게 달라진 루브르 협정을 기준으로 두 기간으로 나누었을 경우에 변동률이 높았던 협정 이전보다는 변동률이 낮았던 협정 이후가 보다 유의적인 관계를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협정 이전에 있어서는 Granger 검정결과에서 영국의 경우에만 환율변수의 인과성이 도출되었고, Sims 검정결과에서는 한국의 경우에만 환율변동률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인과성이 나타났다. 또한 GMD 검정을 외환시장변수와 주식시장변수간에 어떠한 결과도 도출하지 못했다. 루브르 협정 이후의 경우에는 루브르 협정 이전보다는 강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는데 Granger 검정결과에서는 한국, 영국, 독일의 경우 모두 환율의 일방적 인과성이 검정되었으며, Sims, GMD 검정결과에서도 한국과 영국, 독일에서 각각 외환시장변수가 주식시장변수에 대하여 일방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양한 인과관계검정을 전기간을 대상으로 하거나 환율변동률을 기준으로 루브르 협정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분석하거나 모든 경우에 있어서 미국과 일본의 외환시장과 주식시장간에는 어떠한 유의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을 대상으로 Bahmani-Oskooee & Sohrabian(1992)와 Adrangi & Ghazanfari(1996)의 연구에서 인과관계가 도출되지 않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미국과 일본의 경우에는 20% 내외의 대외무역의존도를 기록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한국, 영국, 독일에 비해 대외무역의존도가 낮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외환시장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대외무역의존도가 40% 수준이상을 기록한 한국, 영국, 독일 등은 외환시장과 주식시장간의 일방적 인과관계가 성립한 반면 대외무역의존도가 낮은 미국, 일본 등은 의미있는 관계가 도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대외무역의존도에 따라 국가별로 외환시장의 변동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달라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 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는 환율과 주가의 관계모형을 구축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성격상 양분화된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에 대한 연구를 종합화하는데 일조할수도 있으리라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연구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이를 보완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선 교차상관관계와 인과관계에 대한 구조적 연관모형을 통한 종합적인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의 관계를 제시하지는 못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들의 이론적 연관모형개발을 통해 실증 분석이 추가로 이루어진다면 보다 분명한 환율과 주가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 적용된 선형모델 외에도 비선형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며, 국가별 차이의 원인을 대외무역의존도 이외에 다양한 원인도출과 그러한 원인들의 비중정도도 구분해 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환율변수에 있어서도 물가수준을 반영한 실질환율이나 교역량과 관련된 실효환율을 이용해서 분석해 보는 것도 의미 있으리라 생각되면, 충분한 분석기간을 가지고 다양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분석함으로써 보다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전자금융시대의 금융기관 발전전략

        지호준 안동대학교 경영연구소 1997 경영연구 Vol.1 No.1

        최근 전자금융의 발전추이를 살펴볼 때 금융기관의 미래는 종전의 금융산업의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차원의 정보서비스 산업으로 변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자금융의 확산으로 점포운영 형태도 대형점포보다는 다수의 무인점포와 소규모점포 위주로 운영될 것으로 예상되며, 가상은행 서비스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다양하고 고도화된 금융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금융서비스의 질과 가격이 금융기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가운데 금융기관간 경쟁이 심화됨으로써 합병을 통한 거대은행이 출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 상장, 등록기업의 환위험관리 실태와 개선방안

        지호준 안동대학교 경영연구소 2001 경영연구 Vol.5 No.1

        국제화·개방화가 급속히 추진되고 있는 외환, 금융시장에서 보다 안정적인 대응을 하기 위하여는 환위험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2001년도부터 제 2단계 외환자유가 시행되면서 사실상의 전폭적인 자유화가 시행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외환관련 손익이 큰 폭으로 변동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영업활동을 통한 영업이익을 영업외 손실로 날려버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원/달러 환율과 엔/달러 환율의 시차동조성

        지호준,채미경 韓日經商學會 2001 韓日經商論集 Vol.22 No.-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lead-lag relation between won-dollar exchange rate and yen-dollar exchange rate. The result of Ljung-Box Q test on the cross-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during the past the decade the nominal won-dollar exchange rate have 12 days time-lag cross correlation to the nominal yen-dollar exchange rate. But in the volatile period after IMF bailout package,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We performed the three kinds of causality test, Granger causality test, Sims' test of exogeneity and Geweke-Meese-Dent test, The evidence of the three causality tests suggests that the nominal change of yen-dollar exchange rate unidirectionally cause the nominal change won-dollar exchange rate for 12 days. In the volatile period after IMF bailout package,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result in these tests. And in the real change of exchange rate, we have no significant cross-correlation except the stable period after IMF bailout package. Thus, the nominal change of yen-dollar exchange rate except the volatile period would contain any information exploitable in forecasting the nominal change of yen-dollar exchange rate and have the predictive value of leading indicators. Key words : lead-lag relation, won dollar exchange rate, yen dollar exchange rate, cross correlation, causality

      • 우리 나라 증권회사의 지식경영 실태 및 바람직한 모형에 관한 연구

        지호준,채미경 안동대학교 경영연구소 1999 경영연구 Vol.3 No.1

        우리 나라 증권회사들을 대상으로 지식경영의 실태를 다각도로 실증 분석해 본 결과 대체로 지식경영에 대한 인지도도 낮았으며, 지식관리시스템이 특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경영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증권회사들이 바람직한 지식경영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크게 하드웨어적인 시스템개선전략이 필요하며 소프트웨어적인 운영혁신전략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IMF체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합리적 구조조정방안

        지호준 안동대학교 경영연구소 1998 경영연구 Vol.2 No.1

        정부의 합리적 구조조정 방안을 보면 첫째로, 작은 정부를 지향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공기업 민영화를 들 수 있다. 셋째, 공무원 조직 내에도 경쟁원리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 AHP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은행의 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지호준,신미정 안동대학교 경영연구소 1998 경영연구 Vol.2 No.1

        급변하는 세계환경 속에서 우리 나라 은행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은행의 경쟁력 결정요인을 선정하고 그에 부합하는 경쟁력 확보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HP모형(Analytical Hierachy Process : 분석적 계층화 과정법)을 통한 분석을 해보았으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 은행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인들의 중요도 면에서 은행고객이 평가하는 경과와 은행직원이 평가하는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경쟁력 결정요인별 세부요소의 우선순위에서도 은행고객이 평가하는 결과와 은행직원이 평가하는 결과도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경쟁력 결정요인의 중요도에 따라 우리 나라 우량은행으로 인정되어 부실은행을 인수한 5대 은행을 대상으로 실제적용을 해 본 결과 은행고객의 평가와 은행직원의 평가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 KCI등재

        證券會社의 競爭力 決定要因에 관한 硏究

        池豪峻 韓日經商學會 1999 韓日經商論集 Vol.18 No.-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hierarchic structure among the factors that appear to affect the competitive power of securities firms in korea. To apply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odel,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employees of the securities firms and customers of the securities firms.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factors shows that the employees rank the factors by the order of the following : finance/investment, financial instruments /services, human resources, financial information/technology and firm size. But the customers rank finance/investment, financial information/technology, financial instruments/services, human resources and firm size. And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re be some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between the employee and the customers. Furthermore, the applications of this priority vector to securities firms in Korea show that our rank order does not coincide with the result by Securities Supervisory Board. This study enables us to transform the complicated factors into appropriate seniority and to select an optimized alternative for competitiveness in each securities firm.

      • 병원설립 주체별 입원환자의 서비스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지호준,김창규 安東大學 1997 安東大學 論文集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etter service to patients and useful managerial information to hospital managers through analyzing the gap of in-patients' service satisfaction among the public, private and religious hospitals. The results show service satisfaction of patients would be generally higher in the public hospital than in private and religiou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differences satisfaction about whole system, administrant employees, doctors, nurses, and environmental facilities, p-value is less than 0.05. Consequently we conclude th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among the three different kinds of hospital exist. For the more definite differences, we perform the post-tests. In satisfaction about whole system, patients of private hospital show the highest satisfaction. The Public is second and the religious is third. So we suggest satisfaction about religious hospital be lower than public and private. In satisfaction about administrant employees, nurses and environmental facilities, religious hospital show lower satisfaction than others. In radar chart analysis, compared with averages of absolute 5 scales, satisfaction levels of the private and public hospitals show higher and religious be evaluate lower. To find the relative differences of service satisfaction among the three kinds of hospital, we define the standard value as 1.0 from each variabless' average. For the private and public hospitals, every factors are even or more than the standard value 1.0. But the religious hospitals are below 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