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상현,이강원,이정섭 국토지리학회 2022 국토지리학회지 Vol.56 No.4
Korea's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 experiencing a considerable level of spatial mismatch. Large power plants were concentrated in a few regions to cope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electricity, resulting in a spatial mismatch between the area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order to examine the spatialities of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lectricity,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and change in the location of power plants at si/gun/gu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multifaceted changes, such as the mitigation of spatial mismatch and the formation of new ones. First, although the disparity i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t the metropolitan scale has decreased over the past 10 years, a large portion of those facilities tends to locate in a small number of si/gun/gu. Thermal and nuclear power plant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70% of Korea's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still concentrated in 25 cities and counties. Second, despite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thermal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creased in many cities and counties, which rarely produced electricity before. This is largely due to the spread of solar power and other green energy. Third, the main causes of the increase i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ver the past decade can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of thermal power, combined heat & power, nuclear power, solar power, and the combination of various energy sources. Fourth, the increase in solar power shows a considerable level of spatial inequality, which means that the solar power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a few regions. 우리나라의 전력 생산과 소비는 상당한 수준의 공간적 불일치를 경험하고 있다. 늘어나는 전력 소비에 대처하기 위해 건설된 대형발전소는 일부 지역에 집중되었고, 이는 생산과 소비 지역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전력의 생산과 소비의 공간성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시군구 스케일로 확장하여, 발전설비의 분포와 변화를 추적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공간적 불일치의 완화와 새로운 불일치의 형성을 보여준다. 첫째, 지난 10년 동안 시도 단위의 발전설비의 격차가 감소하였지만, 시군구 단위에서는 여전히 집중이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 발전설비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화력과 원자력발전소는 여전히 25개 시군구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화력과 원자력발전의 공간적 집중에도 불구하고 전력을 거의 생산하지 않던 시군구에서 전력생산설비가 증가하였다. 이는 대체로 태양광발전을 위주로 한 신재생에너지의 확산에 기인하고 있다. 셋째, 지난 10년간 발전설비 증가의 주요 원인을 분류해보면, 화력, 열병합, 원자력, 태양광, 여러 발전설비의 복합 등으로 구분해볼 수 있으며, 대다수의 시군구는 태양광 설비 증가가 전력설비 증가의 주 요인이었다. 넷째, 이러한 태양광발전 설비의 증가는 공간적으로 균일하지 않고 일부 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지상현,서민석,Jee, Sang-hyun,Seo, Min-seok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0 No.-
The analysis of ancient DNA (aDNA) has become increasingly considerable anthropological, archaeological, biological and public interest. Although this approach is complicated by the natural damage and exogenous contamination of a DNA, archaeologists and biologists have attempted to understand issues such as human evolutionary history, migration and social organization, funeral custom and disease, and even evolutionary phylogeny of extinct animals.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is powerful technique that analyzes DNA sequences from a little extract of an ancient specimen. However, deamination and fragmentation are common molecular damages of aDNA and cause enzymatic inhibition in PCR for DNA amplification. Besides, the deamination of a cytosine residue yielded an uracil residue in the ancient template, and results in the misincorporation of an adenine residue in PCR. This promotes a consistent substitution (cytosine thymine, guanine adenine) to original nucleotide sequences. Contamination with exogenous DNA is a major problem in aDNA analysis, and causes oversight as erroneous conclusion. This report represents serious problems that DNA modification and contamination are the main issues in result validation of aDNA analysis. Now, we introduce several criterions suggested to authenticate reliance of aDNA analysis by many researchers in this field.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성별 특성의 차별적 영향을 포함하여
지상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2
[Purpose]This paper aim to ver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Especially, I focused on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gender characteristic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Methodology]For this purpose, I described prior literature review, examined various researche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relevance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set three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in Chungnam and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Findings]Theself-efficacy has not affected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the preparing for employ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Especially, the gender characteristics has a very discriminatory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Implications]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gender characteristics on the relevance betwee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preparation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연구목적]본 연구는 취업의 대안으로서 창업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환기시키기 위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요인에 초점을 두고, 취업 중점 전공이라 할 수 있는 회계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영향력에 있어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성별 특성이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이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데이터를 위해 충남지역 4년제 대학교의 회계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약 2개월간 총 39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36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설문 데이터를 토대로 타당성 분석, 신뢰성 분석, 기술통계량,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로, 취업이 중점인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취업역량 및 취업몰입도)는 취업역량에 한해 창업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성별 특성이 취업준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성별 특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회계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특히 성별 특성의 차별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연구의 공헌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池尙鉉,崔璋承,朴勝祚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4 硏究報告 Vol.17 No.1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onfirm the incineration and dewatering ability of the alcohol stillage sludge when pulverized coal is added. This study aims was increasing of alcohol stillage sludge dewatering and combustion ability using heat content analysis as vary coal dosage and particle size. The conclusions from experiment are as followings : 1.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oal dosage. The optimum bewatering efficiency was reached when 150% Pulverized coal was added to sludge soild content. 2. The optimum dewatering efficiency was reached when the coal particle size was 0.149㎜ and 0.250㎜. 3. The heating value according to alcohol stillage sludge and pulverized coal mixture ratio was obtained high heating value, pulverized coal ration the higher.
지상현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3
반도(半島, peninsular)의 사전적 정의는 주위가 거의 바다로 둘러싸인 육지의 돌출부를 말한다. 그러나 반도의 지정학적 해석은 단순한 육지와 해양의 분포와 배치를 넘어서게 된다. 국가의 위치가 국가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환경(지리)결정론적 지정학은 지정학의 초기 발달단계부터 지정학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였으나, 제 2차대전 이후 논리적 비약과 과학적 근거가 미약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담론 중 하나인 이른바 ‘반도의 숙명’은 이러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연장선상에 있다. 즉, 한반도의 위치적 특성 때문에 우리 민족은 끊임없는 침략에 시달려 왔으며, 우리의 운명은 외부 세력의 팽창과 수축에 달려 있다는 논리가 반도의 숙명론의 핵심적인 주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에 위치한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에 비해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에 의해 더 빈번한 침략을 받았는가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의 국제 전쟁을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반도에 위치한 국가가 침략에 노출되어 있다는 반도의 숙명론은 근거가 미약한 것임을 보여준다. The definition of a peninsular is a piece of land that projects into a body of water. The geopolitical interpretation of peninsular, however, does not simply mention the location of land and ocean. A geographically deterministic geopolitics that argues the destiny of a state is determined by where the state is located has been a mainstream in the discipline of geopolitics. The geographically deterministic geopolitics has been severely criticized since it was built on logical jumps and weak scientific evidences. The so-called ‘destiny of peninsular’ that is the pivotal discourse in Korean geopolitics, however, shows the strong legacy of the geographically deterministic geopolitics. The key thesis of the destiny of peninsular is Korea has been frequently invaded because of the location of Korean Peninsula. Thus, the argument developed into the statement that the destiny of Korea is determined by the rise and falls of land and sea power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tates located in peninsulas are more likely to be invaded by land and sea powers. Using data that include wars after Napoleonic war, this study shows that the destiny of peninsular receives little support from quantitative evidences.
최고경영자 영향력과 회계보수주의 : 지배구조, 내부회계관리운영조직, 감사품질에 따라
지상현,김진태 한국국제회계학회 2019 국제회계연구 Vol.0 No.83
The objective of our paper is to verify the effect of CEO power on accounting conservatism. To do this, we used CEO Pay Slice(below : CPS) measurement as the proxy of CEO power. And we measured accounting conservatism by the methods of Feltham and Ohlson(1995), Zhang(2000) and Penman and Zhang(2002). The samples of this paper selected from listed corporate at KRX, consist of 1,167 observations can be collected from 2013 to 2017. The verification result of our paper can be summe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CEO power(CPS)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evance on accounting conservatism. Second, corporate governance can effect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CEO power(CPS) and accounting conservatism. Third,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can effect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CEO power(CPS) and accounting conservatism. Forth, Audit Quality can effect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CEO power(CPS) and accounting conservatism. So we can expect that the more CEO has a absolute power the less corporate apply the conservatism in accounting.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CEO Pay Slice(CPS) measurement because we can just acquire the information of registration of officers’ pay. But we hope that our study can be the steppingstone on CEO power research.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 영향력과 회계보수주의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이들 간의 관련성에 있어 기업지배구조 수준, 내부회계관리운영조직, 그리고 감사품질이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고경영자 영향력의 대리변수(proxy)는 Bebchuk et al. (2011)에서 연봉 서열 상위 5위 내 경영진 임금의 총액 중 최고경영자 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측정한 “경영자 보상차이(CPS)”를 활용하였다. 연구표본은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보수 5억 이상 등기임원에 대한 개별 보수정보가 사업보고서에 공시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 상장 비금융업 1,167개의 기업연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CEO) 영향력이 큰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회계보수주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고경영자(CEO) 영향력이 보수적인 회계처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기업지배구조를 통해 일정 부분 통제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고경영자(CEO) 영향력이 보수적인 회계처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내부회계관리운영조직의 인력을 통해 부분적으로 통제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최고경영자(CEO) 영향력이 보수적인 회계처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감사품질을 통해 일정 부분 통제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최고경영자(CEO) 영향력은 기업의 보수적인 회계처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기업 내외의 통제요인들이 이와 같은 최고경영자(CEO) 영향력을 일정 부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고경영자(CEO)의 절대적인 영향력을 통제할 수 있는 기업 내외의 다양한 견제장치의 마련 및 이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상현,정용재,서민석 국립문화재연구원 200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1 No.1
198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발굴지에서 출토되는 인골 분석에 대한 고고학적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인골의 자연과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출토 인골의 고고유전학 연구가 점차 활성화 되어감에 따라 고대 DNA 연구를 위한 주요 방법 및 기술적 지식의 축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골의 보존 상태는 매장환경과 밀 접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국내에서 출토되는 인골, 동물 뼈 등과 같은 생물유체의 보존 상태가 좋지 못한 주요 원인 은 우리나라의 토성(土性) 및 기후적인 특성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에서는 대체로 보존 상태가 좋은 인골이 출토되고 있는데, 이는 회곽의 구조적·화학적 특성에서 기인된 것이다. 이것은 묘제(墓制)와 장법(葬 法)이 피장자(埋葬者)의 매장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인골이 잘 보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인골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 물리·화학적 손상 등 다양한 원인은 고대 DNA 분석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효 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DNA 분석법이 요구된다. 특히, 고대 DNA가 사람 DNA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았음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 절차가 체계적으로 검증되어야만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우리나라 고대 인류의 이동과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고대 DNA 분석과 더불어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인골의 골화학 분석 등 인골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이 종합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출토 인골의 고고유전학 연구는 형질인류학, 고고학과 같은 인문사회학적 연구와 동시에 수행될 때 가장 좋은 양질의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학제 간 연 구는 더욱더 활성화 되어야 한다. 본고는 출토 인골 연구의 학문적 가치와 종합연구의 필요성을 자연과학적 연구 의 입장에서 강조하였다. 또한 출토 인골의 DNA 연구 방법과 그 결과를 예로 소개함으로써 고고유전학 연구에 대 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The paleogenetic analysis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subject of archaeological, anthropological, biological as well as public interest. Recently, scientific research for human skeletal remains was more activated because of increasing awareness of the valuable archaeological information by the ancient DNA analysis. State of preservation of organic remains vary in different soil and burying environmental condition. Almost all available tissue disappear to analysis ancient DNA of bone in acidic soil caused by climate and geological features in Korea. Many preserved human remains excavated in the ‘Heogwakmyo’(limelayered tomb of Chosun Dynasty Period) is able to explai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burial conditions and bone survival form the burial method and ceremony. Ancient DNA analysis of excavated human bone form ancient tomb requires to remove contaminants such as microorganism’s DNA and soil components that affect authentic results. Particularly, contamination control of contemporary human DNA is major serious problem and should verified by criteria of authenticity. In order to understand migration and culture of ancient population, when possible, ancient DNA studies needs to go abreast both radiocarbon and stable isotope studies because the dietary inferences will suggest ancient subsistence and settlement patterns. Also when the paleogenetic research supported with the arts and humanities research such as physical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more valuable ancient genetic information is providing a unique results about evolutionary and population genetics studies to reconstruct the p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