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와 도쿄도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비교 연구: 생태적 근대화 이론의 관점에서

        주필주,유기현,서순탁 한국환경정책학회 2017 環境政策 Vol.25 No.4

        This study analyzed the relevance and sustainability of the climate change colicies being implemented in Seoul and Tokyo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ecological modernization theory. Ecological modernization theory has 3 key factors: 1) modernizing the of ut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2) the role of city government, and 3) the role of non-government actor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wo cities have similar visions with regards to policy and climate change response action plans. However, differences were found when looking at their strategies in-depth. Seoul can learn from Tokyo's comprehensive strategy, report system and smart regulation. Tokyo can learn from Seoul's proactive green industry development plan and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Following analysis of these implications, policy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such as providing a clear policy identity, and implementing smart regulation, education, and integrated policy systems. 서울시와 도쿄도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생태적 근대화의 핵심 요소인 과학기술의 활용, 도시정부의 역할, 비정부행위자의 참여라는 세 가지 요소를 통해 비교・분석함으로써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의 적절성과 지속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두 도시정부는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정책비전과 실천계획에 있어 유사성이 높은 편이나 세부적인 중심전략에 있어서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서울시는 도쿄도의세밀하고 구체적인 전략수립시스템과 보고서 체계, 종합적인 정책 수립, 스마트한 규제 등에서 시사점 발견할 수 있으며, 도쿄도는 서울시의 적극적인 녹색산업 육성 방안과 시민참여 프로그램 운영 등에서 학습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시사점 분석을 통해 정책의 정체성 수립, 스마트 규제, 교육, 통합적인 정책시스템 구축 등 정책 개선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 재난 리질리언스 개념을 적용한 일본의 사전부흥계획 사례연구

        주필주,서순탁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현대 사회는 기후변화의 심각화, 재난 발생빈도의 증가, 저성장 시대로의 진입 등 다면적 환경 변화에 직면해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공간을 갖추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정비뿐 아니라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인식이 공유되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는 지진 안전지대로 분류되었던 한반도에서도 최근 몇 차례의 강진이 발생한 이래, 지진을 비롯한 재난의 위험성과 대처 방안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었다. 지리적 조건 등에 의해 과거부터 수많은 재난상황과 복구 · 부흥과정을 겪어온 일본의 경험을 살피고 문제점과 개선책을 논의하는 것은 매우 유의미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질리언스를 갖춘 도시로 변모하기 위한 실천적인 측면에서의 재난관리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재난 분야에서 충분한 경험을 축전해온 일본의 사례 분석을 통해 사전부흥의 개념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사이타마현 부흥마을만들기 이미지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과정과 효과에 대해 치밀하게 검토하였다. 재난 리질리언스의 관점을 적용하여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차원의 대응 조직, 구성원들이 서로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명확하게 합의 ·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신속한 합의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경보를 발신하는 지자체에 대한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신뢰 구축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KCI등재

        재난 리질리언스 제고를 위한 일본의 사전부흥계획에 관한 연구: 사이타마현(埼玉県) 부흥마을만들기 이미지트레이닝을 중심으로

        주필주(Joo Pil ju),서순탁(Suh Soon Tak)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0 No.4

        Modern society is facing multifaceted environmental changes, including worsening climate change, an increase in the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as well as entering into an era of low growth. Against this backdrop, there is beginning to be a shared understanding that both physical modifications and non-physical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make safe and sustainable preparations for urban spaces. The Korean peninsula has recently had to grapple with a number of strong earthquakes, which has led to a spike in the interest in disaster risk and response measures. When viewed in this context, looking into Japan’s experience with disasters and their recovery and rebuilding process has become quite meaning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saster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for boosting resilience in cities by analyzing cases from Japan, which has experienced a large number of disaster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public of Korea that were derived are as follows. First, there needs to be clear agreement and understanding regarding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response organizations and members at the local level. Second, systems need to be developed based on participation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in order to quickly build consensus. Third, it is vital for there to be confidence development systems for community members regarding the government that dispatches disaster warnings.

      • 지역사회 연결성 강화를 위한 중추조직 탐색 : 주민자치회 구조와 역할을 중심으로

        주필주(Joo, Pil Ju)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As our society has already experienced COVID-19, we have witnessed the fact that voluntary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the private sector(community members) are essential to recover and regenerate quickly from various stresses and shocks. This study assumed that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could function as a backbone organ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and explored its potential rol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as a backbone organization for strengthening local community connectivity. For this purpose, the role and function of ‘Backbone Organization’, a concept derived from Collective Impact (CI), was borrowed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study and applied to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Residents Autonomy Council refers to an organization that is established in basic local governments to revitalize grassroots autonomy and raise awareness of democratic participation. The core of Residents Autonomy Council is that residents become the center of local autonomy, and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can be understood as a place for residents to gather, communicate, and cooperate on their own, and as a resident representative organization that works to promote the interests of the local community. It has a structure in which members of various community organizations in the local community can combine as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is an organization that is accompanied by a budget based on local ordinances and is given certain powers and responsibilities. In fact,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Residents Autonomy Councils were in charge of or cooperated with areas that the public could not solve in the COVID-19 situation. As discussed above, the institutional structure and actual example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s show the potential as a mechanism to strengthen connectivity. However, as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were largely omitted from the entire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ct」, there is still a lack of clear evidence of establishment and support. In addition, if the special situation of COVID-19 is excluded, the general activity area of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is limited to short-term community projects on an annual basis, and the operational structure is also rigid. In order for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to function as a Backbone Organization that encompasses various areas of the local community, a practical approach as well a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must be paralleled.

      • KCI등재

        시스템 사고를 이용한 커뮤니티 리질리언스 구성요소 간 인과구조 탐색

        주필주 ( Joo Pil-ju ),강지원 ( Kang Ji-won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21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22 No.1

        Modern society is faced with multiple uncertainties from internal or external events. Although some disasters may be preventable in some degree, global health issues like COVID-19 or natural disasters including earthquakes and floods cannot be fully predictable accurately. The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Community Resilience”, which allows the society to recover to a better-than-before status upon facing an unavoidable disaster. Due to complex and dynamic features of a local community,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variables affecting Community Resilience as previous studies sought to identify its components and evaluation methods in various asp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core elements of community resilience through Causal Loop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a disaster occurs, resource performance, resource diversity, and resource redundancy have a positive feedback structure for community resilience. Second, resource diversity affects institutional memory, and as such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re accumulated, the connectedness is strengthened. In addition, as institutional memories accumulate, innovative learning is more likely to be systematic and continuous. Third, innovative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consensus among the members and the internal bonds of the community, which in turn affects interactions with external organizations with a positive feedback on the resource performance. As a result, a community with high community resilience show less damage and shorter recovery times than those with low community resilience. That is, even if a disaster of similar type and magnitude occurs, the damage scale and recovery time may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community resilience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reinforce community resilience, it is important to create a virtuous cycle amongst the components of Community Resilience.

      • KCI등재

        주거취약지수를 활용한 지역 유형화 및 특성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의 적용

        이민,이자은,주필주 SH공사 도시연구원 2023 주택도시연구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classify 424 dongs in Seoul using the residential vulnerability index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to sub-groups in terms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frastructure, and vulnerable population characteristics. To do this, we employ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o classify 424 dongs and explore each group’s characteristics. The 424 dongs were classified into four subgroups; The areas with the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s (Group 1), The areas with good residential environments (Group 4). The areas with vulnerable residential environments (Group 2), The areas with a high density of vulnerable populations (Group 3). Groups 1 and 4 have relatively good housing and living conditions. However, Groups 2 and 3 are relatively vulnerable areas. Looking at the spatial distribution by group, Groups 1 and 4 are dominant in the southern areas of the Han river and mostly in the southeastern regions of Seoul. Group 2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city center of Seoul and adjacent areas. Group 3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outskirts of Seoul. Based on the results of characteristic analysis for each group, we derived policy priorities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each reg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derives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regions by categorizing regions based on housing vulnerability in Seoul at a small spatial scale. Based on the results, we call for implementing policies considering each area's regional conditions in Seoul. 본 연구는 주거환경 측면에서의 취약성에 착안하여, 서울 내에서도 주거환경의 취약성 유형이나 수준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또 각 유형과 수준별 공간적 특성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와 건축공간연구원이 개발한 주거취약지수를 활용하여 서울의 424개 행정동을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정책 방향을 도출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 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서울의 424개 행정동은 총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집단들은 주거취약도 세부지표를 기준으로 그 특성을 고려하여 주거환경 우수지역(집단1), 주거환경 양호지역(집단4), 주거환경 취약지역(집단2), 취약계층 밀집지역(집단3)으로 명명하였다. 주거환경 우수지역(집단 1)과 주거환경 양호지역(집단 4)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주거 및 생활환경을 갖춘 지역들로 나타났으며, 주거환경 취약지역(집단 2)과 취약계층 밀집지역(집단 3)은 비교적 주거취약도가 높은 지역들에 해당하는데, 이 지역들간에도 취약한 부문들의 차이를 보였다. 집단별 공간적 분포를 확인한 결과, 주거환경이 양호한 집단 1과 4의 경우, 서울에서도 한강이남지역 및 동남권 지역에서 우세하였고, 주거환경 취약지역(집단 2)은 서울의 도심 및 이와 인접한 지역들에 주로 분포하였다. 또한, 취약계층 밀집지역(집단 3)의 경우, 서울의 외곽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집단에 속하는 지역들이 서로 인접하여 밀집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집단별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환경 측면의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의 행정동을 대상으로 주거취약성을 중심으로 지역들을 유형화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집단별 서로 다른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미시적인 공간 단위의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세밀하게 고려한 맞춤형 사업 시행의 필요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세종시 빈집 추정 및 공간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이자은(Lee, Ja-Eun),주필주(Joo, Pil-Ju) 한국도시행정학회 2022 도시 행정 학보 Vol.35 No.1

        세종시는 신도시 조성에 따른 읍・면 지역의 인구유출과 지역쇠퇴로 노후・불량건축물이 증가하고 있으며, 안전, 경관 측면에서 열악한 상태의 빈집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빈집문제에 대한 세종시와 시민들의 위기의식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주거용 전력데이터를 활용하여 세종시 빈집을 추정하고, 빈집 분포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했다. 또한 실효성 높은 대안을 마련하고 효율적으로 빈집을 관리할 수 있도록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리단계를 설정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주거용 전력데이터를 활용하여 세종시 읍・면 지역의 빈집을 추정한 결과, 1,457호로 나타났으며 2012년 이후 지속해서 증가세를 보였다. 다음으로 빈집추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2년, 2015년, 2020년 세종시 빈집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군집을 이루는 빈집이 주변지역으로 조금씩 확산되고 있으며, 세종시 특정지역으로 고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신뢰성 있는 빈집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추적감시와 적극적 개입을 통해 빈집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시사한다. In the rural areas of Sejong City, the population is outflowing and experiencing regional decline. Even though there are many vacant houses in poor condition in terms of safety and scenery, Citizens’ awareness of the crisis about the Vacant Houses problem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estimated vacant houses in Sejong City using residential electricity data, and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s from multiple angles. The number of vacant houses in the rural areas was estimated to be 1,457.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Vacant houses in 2012, 2015, and 2020, the vacant houses are clustered and gradually spreading to the surrounding area. It suggests that continuous attention is needed based on a reliable survey of vacant hous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