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부부의 문제해결 유형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주수산나,강미선,정인혜,조서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examines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problem solving patterns among married couples in midlife. It would be useful to discuss helpful strategies for promoting marital quality in practical areas. Method: Sample was 336 married couples in midlife aged 40-59 (husbands’ mean age = 47.75; wives’ mean age = 45.76) and collected by online communities. Both husbands and wives respectively responsed three subcomponents of problem solving (problem solving confidence, approach-avoidance, sense of control) and marital satisfaction. Result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husbands and wiv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problem solving confidence, approachavoidance, sense of control, and marital satisfaction.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hat three patterns in problem solving of midlife married couples: 1) avoidance 5%, 2) mixed 72%, 3) initiative 22%. Marital satisfaction differed by problem solving patterns. Initiative couples reported higher husband’s, wife’s, and couple mean marital satisfaction  than anothers, and mixed type of couples had lower husband’s, wife’s, and couple mean marital satisfaction compared to avoidance coupl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initiative for problem solving and coaching active problem solving strategies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for partners can help married couples in midlife, especially those who are avoiding or mixed type of problem solving, to have better marital quality.

      • KCI등재

        ‘학교 안’에서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 학교 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주수산나,김종우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ition from inside to the outside of school among dropout adolescents and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for counselors and practition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4 workers in the institutions for school dropout adolescent were recrui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peer and participant reviews were conducted to elucidate the main dimensions of the experience of dropout adolescents. As a result, there are four time-series phases of transition: 1) student period, 2) consideration period, 3) conversion period, 4) stabilization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ge, the experiences of the youth, and the experience of the workers were discovered. In the ‘student period,’ the main theme was ‘everyday learning at school,’ ‘boring and rigid school,’ and ‘invisible problems.’ In the ‘consideration period,’ the main topic was ‘resisting school system in their way,’ ‘complex problems,’ ‘exploring outside the school and encountering alternative systems,’ ‘taking negative social gaze alone’ and ‘a search for outsiders.’ In the ‘conversion period,’ the title of ‘out of school name tag,’ ‘coming out from school,’ ‘avoiding life outside of school and other people’s attention,’ ‘the weight of new freedom and uncertain future,’ ‘institutional and emotional support’ were derived. Finally, during ‘stabilization period’ is related to ‘the position and role of self that found again,’ ‘experiencing the possibility of new life and planning the future,’ ‘continuing anxiety about negative views of society,’ and ‘accepting alternative life as another way of life.’ as grand princi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for dropout adolescents needs to be integrated into a wide range an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t each stage of implementation need to be constructed.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교에서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을 탐구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을 만나는 상담직무 종사자들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14명의 학교 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들을 눈덩이 표집을 통해서 모집하였고, 심층면접과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구술 자료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해석하고 동료 및 참여자 검토를 거쳐 학교 밖 청소년의 전환 경험에 대한 주요 차원을 도출하였다. 유관기관 종사자들의 진술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하는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에는 1) 학생기 2) 숙려기 3) 전환기 4) 안정기라는 네 가지 시계열적 단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단계별로 해당 단계의 특성, 청소년들의 경험, 종사자들의 경험이 탐색 되었다. ‘학생기’에서는 ‘학교에서의 일상적인 배움’, ‘지루하고 경직된 학교’, ‘보이지 않는 문제들’이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숙려기’에서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학교 제도에 저항하기’,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문제들’, ‘학교 밖 탐색 및 대안적 제도와 조우’, ‘부정적 시선과 홀로 감당하기’, ‘학교 밖 청소년을 찾아 나서기’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전환기’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이라는 이름표’, ‘학교 안에서 밖으로 나옴’, ‘학교 밖의 삶과 타인의 시선을 피하기’, ‘새로 얻게 된 자유의 무게와 막막한 미래’, ‘제도, 정서적 지지를 통해 손잡아주기’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안정기’에서는 ‘다시 찾은 자신의 자리와 역할’,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경험하고 미래를 기획’, ‘사회의 부정적 시선에 대한 염려 지속’, ‘대안적 삶을 또 다른 삶의 방식으로 인정해주기’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개입이 폭넓은 범위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과 각 전환 과정 단계별 예방․개입 전략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부부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상호영향 : 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주수산나,전혜정,채혜원 한국가족학회 2013 가족과 문화 Vol.25 No.4

        장기적인 결혼관계를 유지해 온 노년기 부부는 오랜 기간에 걸쳐 서로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노년기 부부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배우자가 있는 노인 한 개인을 대상으로만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부부관계를 분석해왔기 때문에 부부간 상호영향을 직접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부 모두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남편이 아내에게, 아내가 남편에게 미치는 부부관계 만족도의 상호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령화연구패널’의 1차년도(2006년)부터 3차년도(2010년)까지 혼인상태를 유지한 60세 이상의 부부 1,091쌍, 총 2,18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에 기반을 둔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노년기 부부들에게 있어 남편과 아내의 부부관계 만족도는 종단적으로 상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로부터 받는 영향은 아내보다 남편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부부관계는 배우자와 주고받는 역동에 따라 형성된다는 점, 그리고 노년기 부부관계를 연구하는데 있어 부부 모두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Elderly couples that have maintained long-term relationships cast constant influence upon each other for a long time. However, previous studies that dealt with marital relationships in late life show some limitations in that they analyzed the relationships using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only one of the couples. Such approach is insufficient to study the direct interaction between elderly couples. Therefore, based on three waves of longitudinal data gathered from both of the husband and wif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term interaction in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over a six year time period. The study sample were 1801 elderly couples (N=3602) aged 60 years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all three waves of KLoSA (2006, 2008, 2010). The cross-legged model with Mplus 6.12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lderly husbands and wives share a significant degree of longitudinal interaction in terms of influencing each other's marital satisfaction. More specifically, husbands' and wives'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reciprocally predicted each other's marital satisfaction two years later. Therefore, in studying the late-life marital relationship,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both spouses because the marital relationship becomes significantly intwined during late life.

      • KCI등재

        노인 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 소득수준에 따른 분석

        주수산나,전혜정 한국노인복지학회 2014 노인복지연구 Vol.0 No.64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on successful aging among married elderly couples. In particular, the research focused on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under different economic context. Data from the first (2006) to third (2010)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was used. Research sample (N=1,052) were couples aged 65 years and older at the first wave, and married throughout the three waves. APIM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based on multileve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HLM 7.0. Results indicated that successful aging was explained by marriage context about 50% and individual context about 50%. The acto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upper and middle classes while the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for all economic classes. 본 연구는 본인이 보고한 부부관계만족도가 개인의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자기효과(actor effect)’와 배우자가 보고한 부부관계만족도가 개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대방효과(partner effect)’를 소득수준을 상, 중, 하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에 부부 모두 65세 이상이고, 적어도 패널 응답기간인 6년 내내 혼인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성인 자녀가 생존해 있는 노인 부부(N=1,052, 526쌍)이다. 부부를 분석의 단위로 삼기 위해 APIM(Actor-Partner Interaction Model) 모형을 적용하여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 노화는 개인맥락에 의해 50%, 부부맥락에 의해 50% 정도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공적 노화에 대한 부부관계만족도의 자기효과는 소득 상위 집단과 중위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부부관계만족도의 상대방효과는 모든 소득 집단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