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부산 신발산업 노동과정의 공간적 특성

        이철우(Chul Woo Lee),주미순(Mee Soon Ju) 한국지역지리학회 200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부산 신발산업 노동과정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신발산업의 생산체계는 제품 및 디자인 개발, 부품 및 소재 개발·생산, 완제품 조립, 마케팅으로 구성되며, 생산과정별 노동과정의 성격도 상이하다. 전문적인 다기능 인력에 의존하는 제품 및 디자인 개발, 핵심 부품 및 소재 개발·생산, 마케팅등의 핵심 기능은 자사상표의 제품생산 기업에서만 수행되며, 주로 선진국과 국내의 서울과 부산 지역에 입지한다. 중요 부품 및 소재 개발·생산의 준핵심 기능은 고기능·고숙련의 노동력을 요구하며 전통적인 신발생산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숙련·미숙련의 여성노동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완제품 조립생산과정은 핵심 기능 혹은 준핵심 기능과 함께 이루어지거나 외부화되기도 한다. 공간적으로는 국내의 전통적인 신발생산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후발 개발도상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반면에 남성 노동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부품 및 소재의 개발·생산의 경우, 핵심 부품 및 소재는 선진국에서, 중요 부품 및 소재는 부산의 완제품 생산업체나 혁신적인 부품 및 소재 생산업체에서, 그리고 표준화된 부품 및 소재의 생산은 주로 후발 개발도상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abor process at the labor properties in footwear industri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The production process of a footwear industry is mainly composed of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goods and design, the development of component parts and materials and the assembly of parts to be end products, and the marketing. Each process inclines to concentrate in a region having the needed labor; therefore, a manufacturing factory for each process attempts to be located at the different places. The critical core functions such as the development of products and design,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critical component parts and material, and the marketing are carried out by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the trademark of the products. These functions intend to be located in the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Busan city and Seoul metropolitan area. The function such as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major component parts and materials needs high skilled technicians and well trained laborer, and inclines to be located in traditional footwear industrial regions. The assembl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skilled females and/or unskilled labors, and attempt to be accompanied with critical core functions or outsourcing. This process has been spatially concentrated in the traditional footwear industrial areas; but recently it extends to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materials and the production of component parts mainly depending on male labors incline to be locat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for critical core component parts and materials, and to be located in Busan for major components parts and materials. The production of standardized components parts and materials are carried out in the less developed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범대학 지리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이희열,주미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1 No.3

        1990년대 이후 중등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변화를 겪고 있다. 그 과정에서 교과교육학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교과교육학이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독특한 한 영역을 이루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영역으로 등장한 교과교육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 구성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부가하여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연계과목 중에 경제지리교육론 교과에 대한 명세의 예시를 제시한다. 연구과정에서 제시한 새로운 교육과정 모델은 일반 교육학에 기반을 둔 교과 교육학, 세부 전공 영역 의 학문적·이론적 업적에 바탕을 둔 교과 내용학, 이 두 영역을 연계할 뿐 아니라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는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 연계 과목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연계과목은 일반교육학과 교과내용학 뿐만아니라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유연적인 것이라야 한다. 지리교육과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 연계 과목에 대한 개발·연구 뿐만아니라 이 영역에 속하는 교과목들에 대한 명세 작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educational curriculums for training geography teachers in colleges of education across Korea have changed steadily since the 1990's. Generic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and specified to meet the demands from individual discipline courses. Interdisciplinary education has become a unique field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long with the academic attention from the educators concerned.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 new model of geograph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interdisciplinary pedagogy. The model includes general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the speciality in geography teacher education program. It is to improve and excel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and secondary schooling in disciplinary instruction and curriculum both.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hould be flexible to practice and open to change academically and pedagogically. Finally, this study promotes further studies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the study courses for better geography teacher education in a college of education.

      • 국지적 노동시장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과제

        이철우,주미순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1999 社會科學 Vol.11 No.-

        본 논문의 목적은 노동의 공간성을 이해하기 위해 국지적 노동시장의 관점에서 노동에 관한 제이론을 개관하고 연구과제를 밝히는데 있다. 노동에 대한 고전적 · 신고전적 접근의 주된 관심사는 임금율과 임금격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도주의적 접근은 최적화 파라다임을 제도적 분석에 확장 적용하여 일반화하려 했기 때문에 신고전적 접근의 개정자로서의 역할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노동시장의 형성기제에 따라 노동자 숙련이론, 사용자 전략이론, 노동자 집합행동이론으로 발달한 내부노동시장론은 분절이론의 기원이 되는 이원론과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으로서 양자는 상호보완적으로 발달하였다. 이원론과 분절이론의 차이는 노동시장 분절의 원인을 단일인과적으로 설명하느냐 다인과적으로 설명하는가의 문제이다. 분절이론에 공간을 도입한 국지적 노동시장론은 세 가지 차원을 갖는다. 소규모 도시에서 기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국지적 노동시장과 그러한 기업체들의 통근지역경계들을 통합하는 지역적 노동시장은 구분없이 사용가능하다. 다입지 · 다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공간적 노동시장은 공간적 노동분업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Local labour market theory in which introduced the spatial to segmentation theory is used in a loose way at three scales. Local labour market refer to the location of the employing establishments and its hiring and wage policies. Local labour market refer to the full set of journey-to-work boundaries. And spatial labour market is related to the location, hiring and wage policies of the multilocational or multinational enterprise. If labour catchment areas embrace all residential areas in a city in which there are a spatial cluster of small employing establishments or relatively few large employing establishments, local and regional labour market can use in a same meaning. Then, in spatial labour market perspective, labour market segmentation can explained by spatial division of labour. Within neo-classical and segmentation theoretical approach on the labour market, local labour market has no significant place. But as geographical contingency in nation-state level, analytical unit of segmentation, the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is remarkable within nation-state too. Thus, segmentation theory have to include local labour market studies which is based on the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of social-institutional context. In labour market studies, boundaries or patterns of journey-to-work are impotant, but what matters analytically is the social context in which commuting patterns are situatied. Especially, it is import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work which is intricately connected with gendering of work, suburbanization, and the social reproduction of labour. Spatial division of labour is not static stage. It has been reorganized several times in the history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The subject of spatial division of labour or spatial labour market is multinational or multilocational enterprise. Such enterprise is the most complex of several archetypes of production unit. The mechanism of global labour market formation vary as the division of labour development stage or as the characteristic of multinational or multilocational enterprise. Such enterprise control economic activities in more than on country, and therfore can take advantage of geographic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and regions by virtue of their flex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