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 개인미술치료 사례에 나타난 자발적 그림의 색채 및 자아상 분석

        주리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3

        본 연구는 정신역동적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자발적 그림을 통해 치료의 효과와 변화양상을 살 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사례는 파혼으로 촉발된 여러 가지 임상증상을 호소하는 여성 내담자를 대 상으로 장기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미술치료가 내담자의 임상증상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 며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는 그림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자발적 그림의 색채와 자아상을 중심으로 알 아보고자 하였다. 미술치료는 평균적으로 주당 1회기로 1년 2개월간 진행되었고, 내담자는 총 100점이 넘는 그림작 품을 완성하였다. 연구도구는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3∼4개월 간격으로 세 차례 실시하였 고, 그림에 사용된 색 가짓수와 색채별 사용횟수 및 자아상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미술치료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초기단계에서는 내담자의 문제가 무엇인지 규명하며 목표를 설 정하였다. 중기단계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감정을 보다 자유롭게 표출하며, 감정과 관련된 핵심 문제를 이해하고 교정하도록 도왔다. 후기단계에서는 전이관계를 해소하고 치료 회기 내에서 바뀐 부분들을 자신의 실제 삶에서 적용하는 연습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다음에는 치료기간동안 얻은 성 과와 노력을 재확인하고 종결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는 내담자의 임상증상을 감소하는 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세 차례에 걸쳐서 실시한 간이정신진단검사는 대부분의 검사항목에서 점수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둘째, 내담자의 색 사용을 분석한 결과, 사용된 색 가짓수의 평균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무슨 색을 사용했는가 하는 점에서 변화를 보여주었다. 치료가 진행될수록 검정과 어두운 파랑색의 사용은 줄어들었으며, 노랑, 연두, 밝은 파랑 등의 사용은 증가하였다. 셋째, 자발적 그림의 자아상을 중심으로 한 치료과정의 분석 결과, 미술치료는 내담자의 감정을 표출하도록 하며 핵심문제를 규명하도록 도왔으며, 내담자가 보인 긍정적인 변화 역시 그림의 내용에 반영되었다. 따라서 본 사례는 미술치료가 여러 가지 임상증상을 호소하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정서를 표 출하고 핵심문제를 인식하며 자아상을 보다 건강하게 변화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 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색채의 사용과 그림 속 자아상에 나타난다는 것을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rapy and therapeutic changes through spontaneous drawings in dynamically oriented art therapy. The client, who complained various clinical symptoms due to disengagement, was involved in a long-term individual art therapy. The colors and self-images of spontaneous drawing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 of art therapy in diminishing clinical symptoms and to scrutinize the reflected psychological changes in drawings. Art therapy had been conducted once a week for a year and two months, and the client created more than 100 artworks. The Symptom-Checklist-90-R was conducted every three or four months. The number of used colors, each color usage and the contents of self-image were analyzed. The process of art therapy was as follows. Beginning stage focused on identifying the client's problems and setting therapeutic goals. Intermediate stage focused on helping the client express her feeling freely, understand major problems which were connected to emotions, and correct them. On the latter stage, transference relationship was resolved, and the changes made in therapy sessions were applied to real life. After identifying the outcome of therapy, it came to the end. The conclusions from this ca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proved its effectiveness on decreasing clinical symptoms. The results of Symptom-Checklist-90-R, which conducted three times, showed diminishment of the scores of most test items. Second, the number of colors in drawings did not changed, but the kind of used colors changed. As therapy proceeded, the use of black and dark blue decreased, and that of yellow, light green and light blue increased. Third, analysis of self-image in spontaneous drawings showed that art therapy helped the expression of emotions and the identification of main problems. The positive changes of the client were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drawings. Therefore this case study demonstrates positive eff

      • KCI등재후보

        Silver의 이야기 그림검사에 나타난 20대 여성 내담자 및 20대 여성 정상인의 검사반응 비교

        주리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2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는 Silver가 개발한 그림검사로서, 14가지 자극그림을 제시하고 그 중 두 가지를 골라 이야기를 꾸민 뒤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요구한다. 표현된 내용의 부정성과 긍정성에 따라 1점부터 5점까지 채점이 되며,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일수록 낮은 점수를 받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그림검사가 내담자와 정상인을 변별하는 도구로서 변별력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여성과 남성의 이야기 그림검사 반응이 다르다는 Silver(2002) 및 Silver와 Ellison(1995)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만을 대상으로 검사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서울 소재 상담기관에 상담을 요청한 41명의 20대 여성과 일반 20대 여성 59명 등으로 총 100명의 피검자가 연구에 참가하였다. 이들에게 이야기 그림검사 및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하였고 독립표본 t-test와 상관분석, 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내담자 집단이 정상인 집단에 비해 이야기 그림검사 점수 및 간이정신진단검사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전체적으로 이야기 그림검사 점수는 간이정신진단검사 점수와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임상증상을 많이 보고한 사람들의 그림 내용이 더 부정적이었음을 의미한다. 선택한 자극그림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많이 선택한 자극그림은 중성적 아이, 면사포 쓴 여인, 낙하산, 나무 등이었고, 내담자 집단에 비해 정상인이 더 선호한 자극은 병아리였으며, 정상인보다 내담자 집단에서 많이 사용한 자극은 공룡과 모자 쓴 남자였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여성일수록 대상 간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나타내며 또한 선택하는 대상에서도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내담자가 선택한 모자 쓴 남자는 성별이 다른 대상으로서 내담자의 낮은 자존감과 낮은 성 역할 만족도를 시사하며, 내담자가 선택한 공룡은 내재된 분노와 공격성을 상징하는 것이라 사려된다. 향후의 연구는 남성 피검자를 포함하는 것과 Silver의 자극 유형 B를 사용할 것이 고려된다. The Draw-a-Story test, devised by Silver, asks respondents to choose two subjects from 14 stimulus drawings, imagine something happening between them, and then draw what they imagine. The drawings are scored on 1 to 5-point rating scale according to expressed negativity and positivity. Low scores a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turb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ower of the Draw-a-Story test to discriminate clients from normal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of Silver(2002), Silver and Ellison(1995) which proved sexual differences in DAS respons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female only. A total of 100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included 41 clients who had asked psychological services at counseling centers in Seoul and 59 normal participants. The Draw-a-Story and Symptom-Checklist-90-R were administered to all the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d Chi-squ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li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DAS scores and SCL-90-R scores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AS scores and SCL-90-R, which meant that the contents of drawings drawn by people with many clinical symptoms were much more negative. Analysis of chosen stimulus drawings indicated that both groups frequently chose a neutral child, a women with a wedding veil, a parachutist, and tree. The normal group preferred a chick, while the client group preferred a dinosaur and a men with a ha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sychologically unhealthy female participants tend to show differences no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mulus but also in the kind of chosen stimulus. A man with a hat, which has an opposite sex, might indicate low self-esteem and low satisfaction of sexual role, while the chosen dinosaur might symbolize anger and aggression. It is recommended for future study to include mal

      • 정신분석과 미술치료

        주리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추계

        미술치료는 이론적 근거를 정신분석에 기반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분야를 시작했던 두 명의 창시자인 Naumburg와 Kramer 역시 자신들의 이 론적 기반을 프로이드 이론에 두고 있다. 그들은 다만 구체적인 초점에서 약간씩 차이를 보일 뿐이다. 이후 미술치료 는 인본주의라든가 인지행동적, 통합적 접근 등 다양한 이론적 입장을 가지게 되었지만, 가장 주된 흐름이 정신분석이라는 점에 있어서는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정신분석이 미술치료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몇몇 종 류로 구분할 수 있다.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이 죽음에 대한 성향에 미치는 효과

        주리애,Ju, Ri-Ae 한국호스피스협회 2005 호스피스 학술지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popularization of hospice services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luences of hospice training on participants. We compared differences of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those of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by use of questionnaire. This study involved 137 volunteers participating in the hospice training held by one hospice center located in K-cit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6 items, 21 items of general information and 25 items of information about attitudes toward death. We applied Park's translated version(1992), originally distributed by Thorson and Powell(1988), in the assessment of participants' changed attitudes toward death.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hospice training. The data were analged by frequency. ANOVA t-test,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Pre-training items holding a high rank were 'The subject about the future life after death is distressing'(F=5.20), 'No worry about any occurrences around the body after a funeral'(F=4.75), 'Having little interest in being laid in a coffin after death'(F=4.56); items holding a low rank were 'Having little interest in any occurrences around the body after death'(F=2.22), 'Willing to deal with the aftermath of the death in detail'(F=1.94), 'No fear to have an idea to be cancerous'(F=1.72). 2.Post-training items holding a high rank were 'No fear to be dead as a result of sufferings from long-lasting illness'(F=3.18), 'No fear to have an idea to be cancerous'(F=3.16)', Having little interest in the future life after death'(F=3.09); items holding a low rank were 'Unpleasant to be not able to move after death(F=1.74), 'Distressing not to know about the future life after death'(F=1.61), 'The subject about the future life after death is distressing'(F=1.60). 3.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death. Compared with pretraining(F=3.97), more positive were developed in post training(F=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ospice training renders positive regards toward death to the participants. Therefore every human being, who is able to speculate about the meaning of death, has to be exposed to the hospice training. In conclusion, hospice training should be populariz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만성적인 정신분열증 환자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주리애 한국미술치료학회 1999 美術治療硏究 Vol.6 No.2

        정신분열증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하는 심각한 정신장애로서 사고와 지각, 행동에 있어서의 붕괴와 황폐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그 증상은 일관성이 결여된 사고, 빈곤한 말, 통찰력의 결여, 망상, 환각, 단조롭거나 부적절한 정서상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일상적인 생활기능이 손상되어 정상적인 사회관계를 수행하지 못한다. 대부분 친구가 없고, 가족으로부터 고립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학교 혹은 직장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다. 정신분열증은 단일한 원인과 단일한 경로를 가진 단일 질환(single disease entity)이라기 보다는, 여러 원인과 경로에 의해 발병되는 하나의 증후군(syndrome)으로 인식된다. 발병 원인에 대한 이제까지의 이해는, 어떤 개인이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그가 가진 생물학적, 발달적, 혹은 심리학적 취약점으로 인해 발병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같은 병명으로 동일한 증상을 보인다 하더라고 그 병이 발병한 원인과 현재의 임상경과와 심리적 상태를 알기 어렵다면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없 을 것이다. 발병 원인에 대한 다각적인 탐색과 진단이 요청되는 것도 그와 같은 맥락에서이다. 그러나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유전적 혹은 생화학적 요인에 대한 검사보다 심리적 상태와 심리적 병원에 대한 검사가 더욱 어려운데, 그 이유는 현대 정신의학에서 사용하는 심리학적 검사가 아느 정도의 의사소통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투사적 성격 검사나 목록식 성격 검사, 지능검사, 임상 면접 등은 그 주요 수단이 언어이므로, 정상적인 자아기능이 손상된 정신분열증 환자의 경우, 그들의 언어와 행동이 그들의 병명을 진단케 할 수는 있어도 진단 받은 병의 심리적 원인까지 알려주기는 힘들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plore the therapeutic efiect of art therapy with a chronically ill schlzophrenia patient. The patient has cognitive, emotional, and communicational impairments. The therapeutic focus was on making diagnostic assessment through drawiηgs and providing appropriate treatment. Four drawings were chosen to discuss the process. The first free drawing suggests that the patient suffers from the memory related to his earlier losses and fwm possible emotional fixation. The result of the Draw-A-Person-On-A-Bridge Test, which was conducted after his hospitalization, indicates that he lacks controllability and feels insecure and isolated. The 1ater free drawings shovv his improved abilities conceming emotional dischargem, which was made possible through 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the followings are discussed; first, artwork serves the diagnostic purpose when patients can not make himself understood through verbalization. Second, art creates a safe place for patients to express thoughts and feelings in a socially appropriate way. Third, it helps patients to construct thoughts and feelings, and to reduce confusion.

      • Silver의 Draw-A-Story 검사의 개관

        주리애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4 No.2

        Silver의 Draw-A-Story 검사는 언어적으로 제한된 반응을 보이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피검자들의 심리상태를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로 알려져 있다. DAS의 가장 큰 특정은 자극 그림을 제공하는 것인데,14개의 자극들 중 두 가지를 선택하여 어떠한 관계가 있다고 상상하여 그림을 그리도록 요청한다. 그림에 나타난 관계 종류에 따라 1-5 점으로 채점하며, 부정적인 관계의 표현은 정서적 불편감이 높은 청소년들에게서 많이 나타났다. DAS의 그림 자극은 A형과 B 형 두 종류가 있는데 자극 유형이 동질적인 것인지 평가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Silver’s Draw-A-Story test is an effective tool for evaluating people with language problems or with difficulties in drawings. A distinctive feature of DAS is to provide stimulus drawings. Among 14 stimuli, one should choose 2, imagine a story between them and draw the story. Drawings are evaluated as 1 point through 5 point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drawings. Negative relationships appeared in drawing by adolescents with emotional disturbances. DAS has two arrays of stimulus drawings, Form A and Form B. Future study is needed to clarify the homogeneity of two Forms.

      • KCI등재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에 나타난여고생의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양식

        주리애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in the rea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raw-a-Story test to the degree of anger and the way of dealing with anger. The participants of study include 211 female highschool students in capital area, and the research tools are Draw-a-Story test and STAXI-K. The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re they suppressed angers, the more negative emotional contents in DAS they draw. Secondly, the female high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 anger often and strongly, do not use a functional anger expression to acknowledge and calm their anger. Thirdly, when aggressive symbols were chosen, the contents of drawing becomes more negative and self-image becomes more weak. Fourthly, the female highschool students, who chose a knife among stimulus drawings, showed higher degree of trait anger. With all these results, DAS can be a projective test to diagnose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style. Finally,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female highschool students in capital area,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objects to students in various region.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분노와 분노표현양식에 따라 이야기 그림검사 반응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여자고등학생 211명이었고, 연구도구는 이야기 그림검사와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를 억제하는 편일수록 이야기 그림검사에서 정서내용은 부정적인 것이 더 많았다. 둘째, 분노를 자주 강하게 경험하는 여고생들은 분노를 자각하고 진정시키는 기능적인 분노표현은 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야기 그림검사에서 공격적인 상징자극을 선택하는 경우 그림의 내용이 더 부정적이고 자기상은 더 나약한 그림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극들 중 칼을 선택한 여고생들은 특성분노의 수준도 더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이야기 그림검사가 여고생의 특성분노와 분노표현양식을 진단할 수 있는 투사검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여고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향후 다양한 지역의 여고생을 대상으로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Diagnostic Drawing Series의 임상증상 변별력 검증 : 색채지표를 중심으로

        주리애,권석만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Cohen, Lesowitz, Singer와 Reyner가 개발한 그림검사인 Diagnostic Drawing Series를 통해 색채지표가 우울과 불안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임상적 증상을 어느 만큼 반영하는지 양화된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세 이상 49세 이하 성인 남녀 255명이며, Diagnostic Drawing Series와 간이 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색채지표는 색채 사용 가짓수(색 사용유형, 색 사용개수), 색을 칠한 정도(색 혼합), 색채 적절성(특이한 색 사용), 색의 의미(색채별 사용여부)이다. 연구 결과 색채 사용 가짓수 지표는 우울한 사람들의 색 사용이 적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색을 칠한 정도 지표는 색 혼합이 없는 사람들이 심리적 불편감을 높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고, 색채 적절성 지표에서는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이 특이한 색을 사용했다. 각각의 색채별 사용여부를 조사했을 때, 연두, 노랑, 녹색, 밝은 파랑 등은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검정이나 어두운 파랑, 고동, 빨강 등은 여러 임상증상 차원에서 수치가 높은 사람들이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색채지표가 피검자의 심리적 상태를 반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iagnostic Drawing Series의 개발자들이 제안한 세 가지 색채 지표 외에 본 연구자들이 제안한 색 사용개수와 색채별 사용여부를 통해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색 사용개수 지표를 통해 얻은 결과는 이와 유사한 지표인 색 사용유형 지표를 통해 얻은 결과보다 더 세밀한 추정을 가능하게 했고, 색채별 사용여부 지표를 통해 이전에 DDS에서 다루지 않았던 색채 영역을 결과분석에서 포함시킬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s and clinic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Diagnostic Drawing Series, which was developed by Cohen, Lesowitz, Singer and Reyner. A total of 255 normal participants, aged 20 through 49,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agnostic Drawing Series and Symptom-Checklist-90-R were administered to all the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lor indexes. Color indexes included Color Usage (Color Type, The Number of Used Color), Coloring-in (Blending), Color Fit (Idiosyncratic Color), and The Meaning of Color (Each Color Usage). Results indicated that limited color usage was correlated to depression, and idiosyncratic use of color was found to be an unhealthy sign. People who did not use blending showed high rate of psychological disturbances. People who used yellow, light green, dark green, and light blue were psychologically healthy, while people with black, dark blue, dark brown, and red were related to numerous clinical symptoms. These results imply that color indexes indicate psychological states of subjects. The originally developed three color indexes provided significant results. Also two color indexes suggested by these authors yielded significant results. The Number of Used Color index elicited more delicate results than those with Color Type Index. Each Color Usage index dealt with a specific domain of color which the original DDS had not included. Key Words : Diagnostic Drawing Series, Clinical symptoms, Color index, Blending, Idiosyncratic color

      • Diagnostic Drawing Series에 나타난 정상인 및 내담자의 회화적 특징 비교

        주리애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4 No.1

        본 연구는 색을 사용한 그림검사를 통해 심리적 불편감을 호소하는 내담자와 심리적으로 건강한 정상인 간에 그림 특성이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40명의 내담자와 51 명의 일반성에게 진단적 그림검사(DDS: The Diagnostic Drawing Series) 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 Symptom Check List-90)를 실시했다. 그 결과, 색 사용정도와 혼합색, 선/면의 사용과 공간사용정도, 이미지의 종류, 글자의 삽입과 사람 삽입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정상인은 내담자들보다 다양한 색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였고, 선과 면 모두를 더 많이 활용했고 공간도 더 넓게 사용했고 복합적인 이미지를 사용했다. 그리고 내담자들은 정상인보다 첫 번째 그림에서 글자나 사람을 그리는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between a nonnal group and a client group through the Diagnostic Drawing Series. 40 clients and 51 nonnal participants conducted both Diagnostic Drawing Series and Symptom Checklist-90-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lor type, blending, line/shape usage, space usage, image, word inclusion and people inclusion. Nonnal participants used various color in various ways, and they use line, shape, space, and mixed images much more than clients did. The client group inserted word and people in the first drawing more than the nonnal group did.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