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1- 프로판올아민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축합체인 PPE 의 응집 특성

        주득종,김학성 ( Duk Jong Joo,Hag Seong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5 공업화학 Vol.6 No.1

        1-프로판올아민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축합체(PPE)인 새로운 수용성고분자를 합성하고, 적외선 스펙트럼과 레이저 광산란에 의한 산란광의 강도 측정, 그리고 제타전위를 측정하여 PPE의 특성을 결정하였다. 또한 PPE와 콜로이드상 벤토나이트입자들의 상호작용에 관해서도 연구하였다. PPE는 그 골격에 3차 암모늄기를 가지고 있는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로서 분자량은 1600으로 비교적 작은 편이다. PPE가 콜로이드성 벤토나이트 입자에 흡착되는 현상은 Langmuir 흡착등온식에 잘 부합하였다. 음전기를 띤 콜로이드성 벤토나이트 입자표면에 PPE의 흡착이 진행되면서 ζ 전위가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하는 결과로부터 PPE가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인 것과 PPE가 벤토나이트 표면에 흡착되는 현상은 양이온교환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PE는 무기계 콜로이드인 벤토나이트 현탁액에 대해서 응집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A water soluble polymer(from now denoted as PPE) is synthesized by condensation reaction of 1-propanolamine and epichlorohydrin. The characteristics of PPE are determined by IR spectroscopy, low angle light scattering measurement, and ζ potential measurement. Its interactions with colloidal bentonite particles in aqueous medium are also studied.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 PPE is a cationic polyelectrolyte carrying tertiaty ammonium ions in its backbone.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PE is found to be 1,600. The adsorption of PPE on the bentonite particles are well described with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As the amounts of PPE adsorbed on the bentonite particles increase, the ζ potential of the particles changes its sign from negative to positive. This inversion of charge confirms that PPE is cationic in nature. PPE shows effects of flocculation to the colloidal suspension of bentonite. The adsorption PPE onto the bentonite particles is found to happen through cation exchange reaction.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코팅된 점토에 의한 난용성유기물의 제거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코팅된 벤토나이트에 의한 난용성유기물의 흡착 -

        김학성,정영도,주득종 ( Hag Seong Kim,Young Do Jeong,Duk Jong Joo ) 한국공업화학회 1995 공업화학 Vol.6 No.3

        콜로이드상의 bentonite입자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etyltrimetylammonium bromide(CTAB)를 흡착시켜 소수성 핵심을 형성시킨 후 난용성유기물질들(HOCs)의 수용액에서의 물과 소수성 핵심 사이의 분배 현상을 연구하였다. 첫째, 물속에 녹아 있는 CTAB의 농도의 분석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K₂Cr₂O_7의 산화력을 이용한 COD측정법을 이용할 수 있다. 둘째, CTAB가 벤토나이트 입자표면과 용액 내에 분배되는 현상은 용액의 이온세기(I)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CTAB의 평형농도가 cmc 부근에서 K_d값은 I=0.0일 때 11.5, I=0.1일 때 22∼24 범위내에 들고, CTAB의 평형농도가 cmc보다 커짐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Kd 3에 접근한다. 셋째, HOC가 흡착된 CTAB에 의해 형성된 소수성 핵심과 용액에 분배되어 평형을 이룰 때 분배계수(Kd)를 계산함에 있어서 벤토나이트 단위질량당 HOC의 흡착량 즉 mole HOC/g solid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흡착된 CTAB의 단위질량당 HOC의 흡착량 즉 mole HOC/g CTAB_(adsorbed)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다. K_d값은 toluene의 경우 I=0.0일 때 230∼250으로부터 I=0.1일 때 110∼130으로 감소하는 반면에 trichloroe-thylene의 경우는 I=0.0일 때와 I=0.1일 때 모두 120∼160으로서 거의 같게 나타났다. The distribution phenomena of sparingly soluble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HOCs) between bulk water and hydrophobic cores formed on the surface of colloidal bentonite particles by adsorption of cetyltrimetylammonium bromide(CTAB) were studied. First, the concentration of CTAB could be determined indirectly from COD measurement with K₂Cr₂O_7. Second, the distribution ratios(K_d) of CTAB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the ionic strength(I) of the medium and the total concentration of CTAB; i.e., as I varies from 0.0 to 0.1 K_d has a value of 11.5 and within a range of 22∼24, respectively, at around the cmc of CTAB. As the concentration of CTAB increased, K_d values approached to 3. Third, the determination of K_d based on the mass of adsorbed CTAB appeared to be more reasonable than that based on the mass of solid on which surface adsorption occurred. For toluene K_d values decreased from 230∼250 to 110∼130 as I varies from 0.0 to 0.1, but for trichloroethylene they appeared to be nearly same, 120∼160,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ionic str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