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경골어류 잉어과 Tiger barb의 난자형성과정

        정한석,주경복,김동희,Jung, Han-Suk,Joo, Kyung-Bok,Kim, Dong-Heui 한국현미경학회 2011 Applied microscopy Vol.41 No.3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경골어류 잉어과(Cyprinidae)에 속하는 tiger barb (Puntius tetrazona Bleeker, 1855)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소는 한 쌍으로 흰색의 장타원형(장축 2 cm, 단축 1 cm)이었으며,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의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매우 강하게 파란 색으로 염색되어 호염기성을 띠고 있었고, 핵막을 따라서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시기의 제1난모세포는 난세 포 세포질의 가장자리인 세포막 쪽에서 국한적으로 난황포들이 한 층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난막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나 매우 얇게 관찰되었고 인은 파란색으로 관찰되어 쉽게 구별되었다.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제1난모세포는 난황포 가 증식하기 시작하였고, 세포막에서 핵 쪽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포질의 hematoxylin 염색도는 많이 낮아졌으나 핵 주 위는 아직 염색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난막은 두꺼워졌다. 제2난 모세포는 제1난모세포 시기 때보다 더 난황포가 증식되어 세포 질 전체를 차지하고 있었다. 난자가 더 성숙함에 따라서 난황포 는 응축되어 난황괴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모든 난자형성과정중 에 유구(oil droplets)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Tiger barb (Puntius tetrazona Bleeker, 1855) is a teleost belonging to Cyprinidae. The oogenesis of tiger barb was investigated by light microscope. The ovary was of white and ellipsoidal shape with the major axis 2 cm and the minor axis 1 cm. Cytoplasm of oogonia was basophilic and many nucleoli were located at inside of nuclear membrane. In early stage of primary oocyte, yolk vesicles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marginal area. In secondary oocyte, the egg envelope was formed and yolk vesicles was formed in the cytoplasm. The basophilic substance of cytoplasm was changed to acidic. In case of matured egg, thickness of egg envelope and size of egg were increased. The yolk vesicles were changed to yolk mass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Also, there is not the formation of oil droplets in cytoplasm. In conclusion, the oogenesis of tiger barb was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 in cell size, the formation of yolk, the decrease of basophilic substance in the cytoplasm, and formation of yolk mass.

      • KCI등재

        경골어류 등목어과 Three spot gourami의 난자형성과정

        장병수,정한석,주경복,김동희,Chang, Byung-Soo,Jung, Han-Suk,Joo, Kyung-Bok,Kim, Dong-Heui 한국현미경학회 2011 Applied microscopy Vol.41 No.3

        경골어류 등목어과(Belontiidae)에 속하는 three spot gourami (Trichogaster trichopterus Pallas, 1770)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소는 한 쌍으로 흐린 살색의 아가미 쪽은 뾰족하고 생식공 쪽은 둥근 장타원형(장축 2 cm, 단축 1 cm)이었으며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매우 강하게 파란색으로 염색되었고 핵막을 따라서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발달함에 따라서 난원 세포의 세포질은 핵 쪽에서 세포막 쪽부터 hematoxylin의 염색 성이 낮아졌고, 제1난모세포는 난세포 세포질의 가장자리인 세포막 쪽에서 국한적으로 유구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 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유구들이 세포의 바깥 가장자리에서 증식되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작은 유구들이 핵막 근처에 집중 되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2난모세포는 발생이 진행됨에 따 라서 난막은 두꺼워져 뚜렷하게 관찰되기 시작하였고, 특히 유구 가 세포질 전체로 퍼져나갔다. 세포막 쪽의 유구 사이에 난황포 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난황포는 호산성으로 에오신에 의해서 적색으로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난막이 뚜렷하고 핵은 염기성을 띠었다. 또한 난황포는 더욱 발달하여 적색으로 염색된 구형의 난황괴를 이루 고 있었다. 수정란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중앙하단에 한 개의 큰 유구가 발견되었다. 이상과 같이 three spot gourami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유구와 난황의 축적, 염기성 물질의 감소 및 큰 유구의 형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Three spot gourami (Trichogaster trichopterus Pallas, 1770) is a teleost belonging to Belontiidae. The oogenesis of three spot gourami was investigated by light microscope. The ovary was of light peach color and ellipsoidal shape with the major axis 2 cm and the minor axis 1 cm. Cytoplasm of oogonia was basophilic and many nucleoli were located at inside of nuclear membrane. In primary oocyte, lipid droplets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marginal area first, than at nuclear envelope near. In secondary oocyte, the egg envelope was formed and yolk vesicles was formed in the marginal area. The basophilic substance of cytoplasm was changed to acidic. In case of matured egg, thickness of egg envelope and size of egg were increased. The yolk vesicles were changed to yolk mass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The fertilized eggs were the colorless, transparent, spherical, adhesive and pelagic type. A large oil droplet was located in vitelline membrane of the fertilized egg. In conclusion, the oogenesis of three spot gourami was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 in cell size, the formations of lipid droplets and yolk, the decrease of basophilic substance in the cytoplasm, and formation of one large oil droplets.

      • KCI등재
      • KCI등재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Cichlasoma managuensis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김동희,장병수,등영건,김석,주경복,이규재,Kim, Dong-Heui,Chang, Byung-Soo,Teng, Yung-Chien,Kim, Seok,Joo, Kyung-Bok,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1

        경골어류 시클리드과에 속하는 Cichlasoma managuense의 수정란 난막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약황색의 불투명한 부착성 및 침란성란으로 장타원형이었으며 크기는 장축 $1.43{\pm}0.04\;mm$, 단축 $1.85{\pm}0.03\;mm$였다. 수정란의 동물극쪽에서 수정을 위한 정자의 통로로 생각되는 난문이 위치하고 있었고 위란강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았다. 수정란 난막의 표면에는 부착성 망상구조물들이 덮고 있었고 난문의 형태는 깔때기 형태였다. 수정란 난막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2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외층은 부착성 층, 내층은 전자밀도가 서로 다른 $13{\sim}15$층의 층상구조를 하고 있었다. 수정란의 외형은 전형적인 시클리드과에 속하는 다른 어류와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어 과의 특성을 보이며 이들 수정란 난막에서 표면과 단면의 미세구조는 Cichlasoma managuense만이 가지고 있는 종특이성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경골어류의 종을 분류하는데 형태학적 형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ultrastructure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in Cichlasoma managuensis belonging to Cichlidae were investigated by routin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fertilized eggs of Cichlasoma managuensis was of the light yellow, non-transparent, ellipsoidal, adhesive and nonfloted type. The size of fertilized egg was the major axis $1.92{\pm}0.08\;mm$, the minor axis $1.43{\pm}0.04\;mm$. The egg envelopes have a single micropyle, which is thought to the pathway of sperm in the area of the animal pole. An outer surface of fertilized egg envelope was covered by a adhesive reticular structures and the fertilized egg envelopes consisted of two distinct layers; an outer adhesive layer and an inner layer of $13{\sim}15$ horizontal lower electron density lamellae alternating with interlamellae of higher electron density. The external shape of fertilized egg is common trait of fishes belonging to Cichlidae and these ultrastructural characters of fertilized egg envelope can be utilized in taxonomy of teleost.

      • KCI등재

        C57BL/6 마우스에서 나노밀 가공된 초미세분말(상황버섯)의 식이 안전성 연구

        김동희,등영건,윤양숙,최주봉,정현석,주경복,이규재,Kim, Dong-Heui,Teng, Yung-Chien,Yoon, Yang-Sook,Qi, Xu-Feng,Jeong, Hyun-Seok,Joo, Kyung-Bok,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2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건강 증진 및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약용버섯으로서 항산화효과와 항암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 상황버섯은 주로 추출물이나 분말의 형태로 복용되고 있으며, 최근 분쇄기법의 발달로 초미세분말 형태의 제품이 상용화되면서 식이 안전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상황버섯 초미세분말과 일반 미세분말을 동물에게 먹인 후 입자의 크기에 따른 식이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부피평균에 의한 입도분석 결과, 상황버섯 초미세분말(SPL)과 미세분말(FPL) 입자의 평균지름은 각각 11.8 ${\mu}m$와 216.1 ${\mu}m$였고, d (0.5)는 각각 5.5 ${\mu}m$와 147.9 ${\mu}m$였다. 동물의 체중, 사료 섭취량 및 각 기관의 무게를 관찰한 결과 SPL군은 정상군(N)이나 FPL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액학 및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ALT(N vs. FPL, P<0.001)와 BUN(N vs. FPL, P<0.01; N vs. SPL, P<0.01)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였으나 FPL군과 SPL군 사이의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 밖의 다른 검사항목들은 모두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 결과에서도 비정상적인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초미세 가공된 상황버섯을 경구투여할 경우 혈액학, 생화학, 조직학적인 측면에서 동물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다량의 초미세입자가 소화기와 장기간 접촉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조직학적 유해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officinal mushroom, Phellinus linteus (PL) has been known to exhibit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effect. PL is consumed as a type of powder or extract for the purpose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treatment. Recently superfine PL products was commercializ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ulverizing technology such as nanomill, so the evaluation of food safety is sugges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od safety of superfine PL (SPL) through hematological,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in mice as compared with fine PL (FPL).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volume after nanomill processing, the mean diameter of SPL and FPL particles was 11.78 ${\mu}m$ and 216.1 ${\mu}m$, and d (0.5), the particle diameter measured at 50% of distribution was 5.5 ${\mu}m$ and 147.9 ${\mu}m$,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body weight, food intake and the weight of organs, SPL group didn'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compared with FPL group and normal group (N).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were also involved in the normal range, although ALT (N vs. FPL, P<0.001) and BUN (N vs. FPL, P<0.01; N vs. SPL, P<0.01) showed significance compared with N group but there are no significance between FPL and SPL group. In the result of histological examination with liver, kidney, spleen, and small and large intestine, abnormal findings such as inflammatory reaction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not observed.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intake of SPL diet is not harmful to the animal in the hematological,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aspects although particle size was reduced to the level of superfine. However, further study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 histological safety in relation to the gastrointestinal contact of superfine particles in the case of large amount and long-term intake.

      • KCI등재

        투어마린이온활성수의 효능 평가

        윤양숙,김동희,최주봉,송순봉,정종효,주경복,등영건,이규재,Yoon, Yang-Suk,Kim, Dong-Heui,Qi, Xu-Feng,Song, Soon-Bong,Jung, Jong-Ho,Joo, Kyung-Bok,Teng, Yung-Chien,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4

        본 연구는 투어마린 소재와 전기적인 방전을 통해 물의 성질을 변화시킨 투어마린이온활성수를 이용하여 간보호 효과, 비만 예방 효과, 숙취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ICR 마우스에서 투어마린이온활성수를 급이한 실험군은 정수물을 급이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사료섭취량이 비슷하고 음수량이 더 적었지만 체중증가는 대조군에 비하여 억제되어 13주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비만 예방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사염화탄소로 간독성을 유발시킨 생쥐를 이용하여 간보호 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실험군의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 (ALT)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평균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간의 조직학적 관찰에서 괴사를 비롯한 병리학적 병변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S-D rats을 이용한 숙취 실험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혈중알콜농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알콜 대사와 관련된 항산화 효소인 glutathione-S transferase (GST)는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고(P<0.05), 간기능 지표인 AST와 ALT는 상대적인 감소현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투어마린이온활성수의 음용이 동물의 항산화 체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간조직을 보호하고 알콜 분해를 향상시킨 것으로 판단되며, 그 결과 숙취해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투어마린이온활성수의 효능과 관련된 기전은 아직 과학적 검증에 어려움이 있으나, 물에 전달된 투어마린의 원적외선에너지나 전기적 영향으로 인하여 물분자의 결합력과 분자 구조 또는 클러스터의 크기에 변화를 일으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사용된 투어마린이온활성수는 음용안전성이 확보된 물로서 효과적인 기능수로 개발될 가능성을 가지며, 유효성과 관련된 기전은 더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animals to confirm the effect of tourmaline-ionized water (TIW) the properties of which were changed by tourmaline energy and electric discharge. In the ICR mice fed high-fat diet, body weight increasing rate of the TIW-treated group (Exp) was generally decreased and moreover exhibited significance at 11th week (P<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Con) group fed distilled water, although water intake of the Exp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 group. In the ICR mice with $CCl_4$-induced hepatotoxicity, AST and ALT activities of the Exp group were not significant but showed some decreasing trend, and histological damage of liver was less compared with thatof the Con group. On the study of ethanol-induced hangovers in Sprague-Dawley rat, blood alcoh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activity of GST, antioxidant enzyme related to the alcohol metabolism, was increased in liver tissue (P<0.05), and AST and ALT show a tendency to be decreasedin the Exp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inking TIWhas not only some obesity preventing effect but also an alcohol detoxification effect and liver protecting effect in vivo. It is supposed due to a structural change of water cluster and a property which maintains the changed structure through tourmaline energy and electric discharge. Therefore, TIW has a potentiality to be developed as functional water with several beneficial effects as well as for daily drinking, but further study on the mechanism related with efficacy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Cichlasoma managuensis의 정자형성과정

        이규재,장병수,등영건,김석,송미숙,주경복,김동희,Lee, Kyu-Jae,Chang, Byung-Soo,Teng, Yung-Chien,Kim, Seok,Song, Mi-Sook,Joo, Kyung-Bok,Kim, Dong-Heui 한국현미경학회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3

        경골어류 시클리드과에 속하는 Cichlasoma managuense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Cichlasoma managuense의 정소는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고 장축 2.3 cm, 단축 4 mm 정도의 크기로 살색을 띠고 있었다. 정자형성과정은 정소낭(testicular cyst)에서 이루어 졌으며, 각 정소낭 내에 동일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가 분포하고 있었다. 정원세포는 타원형이었고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제1정모세포는 원형으로 정원세포보다 크기가 작았고 제2정모세포는 제1정모세포보다 더 작아졌고 핵의 전자밀도는 더 높았다. 정세포의 초기발달시기에는 세포의 크기가 정모세포보다 작아졌고 두부의 전자밀도가 높아졌으며 편모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미토콘드리아는 핵 주변에 분포하였다. 정자완성과정 말기에는 핵의 염색질 응축이 뚜렷하였으며 핵은 세포질 한쪽에 치우쳐 있었고, 미토콘드리아는 편모 주변에 집중되었다. 완전히 성숙한 정자의 경우 두부형태는 구형이었고 두부에서 첨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편모의 미세소관 배열은 9+2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편모 양쪽으로 lateral fin이 관찰되었다. The ultrastructure of spermatogenesis and sperm in Cichlasoma managuensis belonging to Cichlidae was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testis of C. managuensis contained numerous testicular cysts, and spermatogenesis was synchronized in these testicular cysts. In the case of spermatogonia, the nucleus was comparatively large ellipsoidal, and mitochondria showed a marked development. The size of primary spermatocyte was smaller than that of spermatogonia, and that of secondary spermatocyte was smaller than that of primary spermatocyte. The chromatin of spermatocyte was highly condensed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The nucleus with electron-dense was round shape. In spermiogenesis, flagella started to be formed and chromatin was more condensed. The mitochondria were rearranged in a middle piece. The sperm was formed by loss of cytoplasm. The head of mature sperm was a spherical shape and had not acrosome. The microtubules of flagella were arranged 9+2 structure. Also, the tail of sperm have lateral fins.

      • KCI등재후보

        보문 : 진동과 저주파 자극이 유방의 볼륨과 탄력개선에 미치는 효과

        송순봉 ( Soon Bong Song ),이귀영 ( Gui Yeong Lee ),이종순 ( Jong Soon Lee ),주경복 ( Kyung Bok Joo ),장병수 ( Byung Soo Chang ),이규재 ( Kyu Jae Lee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2011 대한미용학회지 Vol.7 No.4

        The mechanical vibration and low frequency stimulation are known to have a phys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We conducted clinical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breast management device with vibration and low frequency stimulation on the breasts of 32 women. The respondents applied the device on both breast for 1 hr per day during 6 weeks. Parameters related with breast volume and lifting as well as skin elasticity before and after experiment were measured. The elasticity parameters (R0~R9, F0~F1) were calculated from deformation curve by suction using Cutometer MPA580. Breast volume parameter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breasts. Breas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elasticity, which indicates increase of skin elasticity and skin recovery, and decrease of tiring effect.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massage treatment with combined vibration and low frequency stimulation in a long term use could improve the volume and elasticity of breas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