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easibility of Evaluation Methods for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n Plastic House

        조희래,정광호,허승호 한국토양비료학회 201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52 No.3

        Irrigation demands (ID) of crops were, traditionally, determined with weather condition and crop characteristics estimated by reference evaopotranspiration (ET0) and crop coefficients (Kc), respectively. In plastic house, the cultivation condition related to water consumption should be considered at establishing irrigation requirement. We assumed two scenarios to reflect cultivation condition on irrigation demands (ID) : i) ID = ET0 × Kcp and ii) ID = ETop × Kcp when ETop and Kcp indicate ET0 measured in plastic house (PH) and Kc for crops cultivated in pH, respectively. The former evaluates ID based on ET0 in open field (OF) and the latter does ID with ET0 in pH. The ET0 was estimated by water balance (WB) equation using lysimeter and FAO Penman-Monteith (FAO PM) equation during Jun. 16th to Oct. 31th. The FAO PM method was found to describe well ET0 in OF during Jun. to Sept., but to overestimate in OF & PH during Oct. because of low temperature for grass growth in Korea. The value of solar radiation and ET0 calculated by FAO PM were high correlation between OF and PH during Jun. to Sept., but different with period, Jun. 16-Jul. 11(1st) and Aug. 22-Sept. 30(2nd). The values of solar radiation were similar during 1st, but lower 35% in PH than OF during 2nd period, on average. The ET0 was lower 18% in PH than OF during 1st (3.15 mm day-1 in OF, 2.55 mm day-1 in PH) and lower 46% in PH than OF during 2nd period, on average (3.66 mm day-1 in OF, 2.00 mm day-1 in PH). It resulted from reduced solar radiation intercepted by plastic film.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FAO PM eq. was recommendable in calculating ET0 and calculation of ID based on i) ET0 was more acceptable than using ii) ETop. Furthermore, establishing Kcp pairing ET0 would be the next step to complement evaluating ID in pH.

      • KCI등재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조희래,김동준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30 No.4

        대학·공공연의 기술이전 성과는 민간 부문보다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대학·공공연의 기술이전 실적이 저조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기술이전에 대한 규제와 기술이전 기여자 보상 시스템의 미흡으로 기술이전 성과가 저하되는 측면도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이 두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제도 개선 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먼저 기술이전법이 적용되는 공공연구기관 보유 기술의 경우 공익적성격에 있어서 국유특허만큼 강하다고 보기는 어렵고, 대상기술의 범위도 폭넓고 다양하므로 일률적으로 통상실시 원칙을 적용할 것이 아니라① 연구비 출처에 따라 취급을 달리하거나, ② 필요한 최소 범위에서 통상실시 원칙을 적용하고(즉, 통상실시 원칙 적용이 필요한 경우만 제한적으로 나열하고) 그 외의 경우는 기관 자율에 맡기는 방안이 바람직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위와 같은 제도 개선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지만 과도기적으로 ① 통상실시 원칙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예외사유 중 ‘기술의특성상 불가피한 경우’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고, ② 일정기간 공시 후 전용실시 허락이라는 틀을 유지하더라도 공시기간은 현재보다 단축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용되는 공동관리규정의 경우 기술이전법과 같은 수준의 규제 완화는 어렵더라도 ① ‘국내 중소·중견기업’ 우선 원칙의 예외로 될 수 있는 요건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고, ② ‘국내 기업’ 요건의 경우 ‘국내 실시’ 요건으로 대체하는 것을 검토해 볼 필요가있다. 기술이전 기여자 보상제도 운영 실태에서 확인되는 몇 가지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현실의 기술이전에서 연구자들이 차지하는 역할·비중을 고려한다면 연구자를 기술이전 기여자의 대상에서 제외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기술이전 기여자 대상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실질적 기여자와 형식적 관여자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사전공개와 이의신청 절차 마련을 통해기술이전 기여자 보상 시스템의 공정성을 담보할 필요가 있고, 기술이전이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일률적으로 10%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경우에 따라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은 아닌지도 검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이전 기여자 보상의 중요성에 대한기관 차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Technology transfers at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hereinafter together referred to as “public research institutes (PRIs)”) are less productive than in the private sectors.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Among obstacles hindering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PRIs are regulations on public technology transfer and poor reward system for contributors to technology transfer. This article considers these issues. Technologies owned by PRI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governmentowned technologies. They are not so strongly related with public interests than government-owned technologies. In addition, they include lots of technologies in a wide variety of technical fields. Therefore, technology transfers should be dealt with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ource of research funding and regulations on technology transfer should be limited to the extent necessary to achieve the goal of the “Act on Promoting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hereinafter ‘TTC Promotion Act’). As provisional measures, the exceptions to non-exclusive license should be stipulated clearly and specifically in the TTC Promotion Act and the public notice period before granting an exclusive licence should be shortened. With regard to the Regulations on the Management, etc.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hereinafter “National R&D Projects Regulation”), the exceptions to the priority of small and medium domestic enterprises should be stipulated clearly and specifically and “domestic enterprises” requirement should be replaced with “domestic working” requirement. As for the reward system for contributors to technology transfers,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Since researchers, in fact, play an important role in technology transfers, they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reward system but be included in the system. Non-substantial contributor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substantial contributors when determining persons who have contributed to technology transfer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fairness of the system by establishing prior notice and opposition procedures. There may be situations where it is unreasonable to reward the contributors to technology transfers as much as 10 percents of the royalties. This minimum 10 percents rule should be reviewed. In order for these measures to be taken into effect, the importance of the reward system for contributors to technology transfers needs to be recognized by PRIs.

      • KCI등재

        농업적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동 평가

        조희래,장용선,한경화,옥정훈,황선아,이협성,김동진 한국환경생물학회 2018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6 No.4

        The soil physical quality is a core factor in achieving two of sustainable agriculture’s goals: productivity and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hanges in soil physical properties for nearly a decade through periodic monitoring of three cultivation types: upland, orchard, and paddy. Field surveys and lab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soils physical properties after every 4 years; upland (2009, 2013, and 2017), orchard (2010 and 2014), and paddy (2011 and 2015). In each year soil samples from 162-338 sites were collected. The bulk density of upland subsoil decreased from 1.53 Mg m-3 to 1.50 Mg m-3 while the plowing depth and subsoil organic matter increased from 13.7 cm to 19.5 cm and from 12.6 g kg-1 to 18.3 g kg-1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2009-2017. Plowing depth for orchard increased from 16.7 cm to 18.9 cm. However, organic matter content decreased from 15.9 g kg-1 to 15.4 g kg-1 during the 2010-2014 period. For paddy, plowing depth and subsoil organic matter decreased from 17.5 cm to 16.7 cm and from 17.5 g kg-1 to 15.8 g kg-1 respectively. The subsoil bulk density increased from 1.47 Mg m-3 to 1.52 Mg m-3 from 2011-2015. Excess ratio for soil physical standards increased from 16% to 22% in orchard, 56% to 62% in paddy, and decreased from 41% to 29% in upland. The overall soil physical quality had been ameliorated for upland, but degraded for paddy. Improved tillage practices and application of appropriate organic matter is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of soils, especially in the paddy field. 토지이용별로 토양 물리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의 밭, 과수원, 논을 대상으로 토양물리성 특성을 4년 주기로 분석하였다. 밭은 작토심, 심토 유기물 함량, 심토 산중식 경도가 증가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감소하며, 개량기준 초과비율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수원은 경운심이 증가하였으나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적정기준을 초과하는 비율은 4년 전보다 증가하였다. 논은 작토심,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증가하며 개량기준 초과비율이 증가하는 등 물리성 불량이 심화되었다. 최근 10년간 밭, 과수원에 비해 논의 물리성이 악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증가하는 주요한 요인은 토양유기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토양물리성 질 관리에 유기물은 중요한 요소이었으며, 특히 논에서 지속적인 유기물 관리와 경운방법 개선 등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