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의 사회음악교육제도와 그 교원양성제에 대한 고찰

        조효임 한국음악교육학회 1987 음악교육연구 Vol.6 No.-

        In diesem Beitrag wurde Entwicklung, Organisation, Arweitsweise und Inhalte der Sozialmusikerziehung und Musikschullehrer - Ausbildung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ehandellt. Dabei wurde versucht, unsere Situation und Aspekte der sozialen Musikerziehungsanstalt aufzuzeigen, im Vergleich mi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Seitdem der Begriff `die lebenslan¨gige Erziehung` im modernen Leben auftrat, nahm die sozialen Erziehungsanstalt mehr Bedeutung. Im Bereich der Musikerziehung haben sie in den letzten Jahrzehnten zweifellos viel geleistet. Musikunterrich findet in Deutschland seit Jahrhunderten statt inerhalb und ausserhalb der Schule. Als eine wertvolle Erga¨nzung der Musikerziehung in der Allgemeinbildenden Schule bietrt der Gruppenunterricht der sta¨dtischen Jugendmusikschulen, in denen Kestenbergs Idee der 》 VolksMusikschulen 《 Gestalt gewann und die heute als moderne soziale Einrichtung neben den bewa¨hrten konseruatorien bestehen. Die Grundkonzeption der Musikschule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hat ihr pa¨dagogischorganisatorisches Geru¨st in einem Strukturplan erhalten, der 1961 entworfen, zuna¨chst in Nordrhein - Westfalen erprobt und 1969 durch die Mitgliederversammlung von den dem Verband deutscher Musikschulen angeschlossen Musikschulen als verbindlich erkla¨rt wurde. Die Erwartung an sozialen Bildungseinrichtungen sind weit gespannt und vielfa¨ltiger Art: - Kulturpa¨dagogisches Dienstleistungsangebot - Belebung bzw. Intensivierung des musikalischen Kulturlebens. - Erho¨hung des Freizeitwertes Das bedeutet, daßunter anderem Impulse fu¨r die Bereiche Kultur, Erziehung, aber auch fu¨r Polik und Wissenschaft erwartet werden, ferner die Mitwirkung bei der Gestaltung urbanen Charakters des Ortes und eine Belebung des Gemeindelebens u¨berhaupt.

      • KCI등재
      • KCI등재
      • J. S. Bach 의 코랄 칸타타 연기(年期)중 기악과 성악 그리고 통주저악성부로 이루어진 Arie 곡의 리토르넬 형식

        조효임 한국음악학회 1984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3 No.1

        이미 오래 전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J. S. Bach의 칸타타에 있어서 리토르넬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물론 이는 Bach에게만 局限되는 것은 아니고, 그 時代의 一般的인 作品 傾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칸타타가 聲樂曲임에도 불구하고 器樂聲部의 리토르넬이 전체 曲의 主題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作曲技法에 큰 意味가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칸타타 아리아에 있어서 리토르넬의 構造 및 形式을 考察하는 일은 뜻있는 일이라 하겠다. 本稿에서는 특히 1724年 7月末부터 10月末 사이 3個月間에 집중적으로 작곡된 10曲의 풀루트 아리아와 1개의 오블리가토 樂器를 가진 4 曲의 Solo arie 즉, 3聲部로 이루어진 14曲의 Arie가, 作品 編成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共通性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拔莢되었음을 밝혀둔다. (p. 1의 도표I 참조) 도표I에서 보는 바와 같이 Bach는 위의 期間 동안 플루트獨奏曲에 커다란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테너 Arie曲에 있어서도 비슷한 傾向을 보이고 있다. A. Du¨rr와 R. Marshall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Bach는 이 期間 동안에 어떤 著名한 플루트 奏者와 테너 歌手를 위하여 특별히 作曲했음을 우리는 쉽게 추측할 수 있다. 本稿에서는 리토르넬의 形式과 그에 따른 構造的인 問題를 分析을 통하여 考察해 보았으며, 그 分析은 和聲 性格上의 事案과 動機上의 事案에 의한 一般 槪念에 그 根據를 둔다. Bach의 Arie에 있어서의 Ritornell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特徵으로 규정지어 볼 수 있다. 1. 모든 Arie曲은 독립된 Ritornell을 가지고 있으며, 그 Ritornell을 聲樂聲部에 반하여 현저한 優位를 차지하고 있고, 따라서 曲構成의 뼈대 역할을 한다. 2. Ritornell로서 Arie가 시작되며, Ritornell은 개개의 部分을 마무리짓는 역할 뿐만이 아니라 曲을 終結지어 준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W. Neumann의 「리토르넬圍繞」 (Ri-tornellumrahmung)이다. 3. Ritornell은 主調로 시작, 主調에서 끝난다. 4. Harmonik과 Motivik은 Ritornell 內部의 세부적인 部分의 역할을 구분지어 준다. W. Fischer가 밝힌바와 같이 後期바로크의 멜로디形式을 취한 리토르넬의 Melodik은 「연속전개형」(Fortspinnungtyp)이다. Fischer의 Schema에 의하면, 이 「연속전개형」의 리토르넬은 3개의 「예속부분」 즉 전악구(Vordersatz)와 연속전개구(Fortspinnung) 그리고, 리토르넬을 종결 지어주는 에필로그(Epilog)로 구성되었으며, 이 「예속부분」은 화성적으로나 동기상으로 보아 각각 독립된 선율의 組織體라고 할 수 있다. 전체적인 分析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形式 原理를 찾아 볼 수 있다. 1. 리토르넬이 基本形式은 6마디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12마디로 이루어졌다. 2. 리토르넬의 基本形式에 있어서 각 「예속부분」은 모두 同一한 길이를 갖는다. 필자는 Bach가 하나의 일정한 시스템을 가지고 作曲에 임했을 것으로 보고, 作曲過程을 규정지어 나가는 그 시스템이 복합적인 思考의 過程에 의하여 어떻게 연역되어 갔는가를 分析을 통하여 밝혀보고자 한다. Bach는 위의 基本 形式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화를 모색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方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基本 길이 내에서의 변경 2. 基本 길이를 넘어선 확대 위의 「基本 形式 길이 내에서의 변경」은 다시 다음과 같은 세가지 단계로 나뉘어진다. 1. 단순 基本形式 : 전안구, 연속 전개구, 에필로그가 모두 同一한 길이를 갖는 형식 2. 제 1변칙 基本形式 : 전악구와 에필로우그를 단축하고 그만큼 연속 전개구에서 확대한 형식 3. 제 2변칙 基本形式 : 전악구와 2개씩의 연속 전개구와 에릴로우그를 가짐으로써 확대된 형식 그리고 「基本 길이를 넘어선 확대」는 다음 4가지 형태로 갈라진다. 1. 거짓종지를 통한 에필로우그의 확대 (6+2마디) 2. 전악구와 에필로우그의 확대 (12+4마디) 3. 중복된 전악구(6+6) 4. 「전악구+연속전개구+에필로우그」 그룹의 중복(6+6) 도표 II (p.4∼5)에 리토르넬의 形式에 따라 총괄적으로 분류되어 나타나 있으며, 개개의 리토르넬의 分析에 있어서 그 악보를 보여주고, 그 밑에 分析의 結果를 Schema로 표현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한 눈에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J.S .Bach 의 Arie . " 나를 주님께 바치기에 "(BWV 107/6)에 관한 분석적 고찰

        조효임 한국음악학회 1983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2 No.1

        필자는 이 曲을 分析하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하나는 Bach에 관한 방대한 문헌에도 불구하고, 지난 반세기 동안 칸타타 아리아에 대한 分析은 Alfred Du¨rr의 박사 학위 논문 이후 거의 발표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물론 칸타타에 관한 기본적인 考察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Georg von Dadelsen, Alfred Du¨err, Werner Neumann, Paul Mies 등, 그들은 일반적이고 역사적인 考察에 그쳤고, 아리아에 대하여는 국부적인 분석에 머무르고 있다고 보겠다. 그러나 A. Bu¨rr의 論文은 前期의 칸타타, 즉 Arnstadt 時代부터 Weimar 時代(1703∼1717)까지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Bach의 作品 속에서 Propotio(Proportion)를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Bach가 어떤 일정한 숫자를 상징적으로 사용(Zahlensym-bolik)하였다는 사실은 Friedrig Smend, Ulrig Siegele 등을 통하여 밝혀진 바 있으나, 일부에서는 회의적인 관점에서 있기도 하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Proportio는 Tu¨bingen大學의 Musikinstitut에서 U·Siegele를 필두로 하여 근자에 시도되고 있는Bach 作品, 分析의 일환의 결과라고 하겠다. 그동안 Bach의 "Wohltemperietes Clavier"에 관한 세미나를 통하여, 분석한 곁과 Bach의 모든 Fuge가 일정한 Proportio에 의해 구성되었다는 사실을 확신하게 되었으며, 그 밖에 "Brandenburgische Konzerte", "Sinfonia f-Moll"등의 分析에서도 밝혀진 바 있다. Kantate 107 "너희, 무엇을 슬퍼 하느냐?" 는 Bach가 "三位一醴" (Dominicass Trinitatis)後 제 7주일에 대한 J. Heermann(1630)의 7節로 된 옛 讚頌歌를 Kantate 形式으로 改作한 Choralkantate이다. Bach는 三位一體 후 제1주일(1724. 6. 11)부터 聖母訪問의 祝日(Palmarum/Maria¨ Verku¨ndigung, 1725. 3. 25)사이에 38曲의 같은 形式의 소위 Spitta에 의해 일컬어진 Choralkantate를 작곡하였는데, Kantate 107은 Liepzig의 제2敎會年期 (Leipziger Jahrgang)중에서 유일한 敎會讚頌歌의 歌詞를 변형없이 그대로 간직한 曲이며, 1724年에 作曲된 後期의 Kantate에 속한다. Bach는 특히 1723년부터 1727년 사이에 집중 적으로 敎會 Kantate를 썼는데, 즉 Bach의 추도사(Nekrolog)에 의하면 5개의 Leipzig敎會年期(Fu¨nf Leipziger Jahrga¨nge)를 위하여 썼다고 전해지나, 지금 현존하는 것은 제1期부터 제 3期까지이며, 나머지는 간간 몇 曲이 존재할 뿐 분실되고 없는 형편이다. 樂曲 分析이란 어느 의미에서 "作品 過程의 事後 追跡 혹은 逆行 作業"(Nachvollzug des Prozesses der Komposition oder die Umkehrung der Prozesses der Komposition)이라고 개념지을 수 있겠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Bach의 작곡 상황과 이 曲이 갖는 전체적인 조건을 먼저 파악하려 했고, 그리고 나서 음악적인 分折을 시도하였다. Arie "나를 주님께 바치기에"는 Kantate 107의 제 6번 曲으로 2개의 오블리가트 풀륫과 Continuo가 붙은 테너를 위한 3部曲이다. 풀륫은 Bach의 作品 속에 1723年까지는 독주 악기로서 나오지 않다가 1724年 Kantate 67에 Ripieno성부로서 처음 대두되고, Kantate 107에 독주 악기로서 등장한다. 그리고 나서 점차적으로 풀륫은 Kantate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Bach의 Kantatenarie는 모두 Ritornell을 가지고 있는데, 대개는 前奏와 後奏 역할을 하며, 간혹 間奏 역할도 하게 된다. 이 油의 6小節의 Ritornell로 시작되는데, 이 Ritornell은 세 번에 걸쳐, 前奏로서 主調인 D-Dur(T. 1-6), 間奏로서 屬調인 A-Dur(T. 16-21), 後奏로서 다시 主調로 돌아가 나타나게 된다. 이 기악 Ritornell은 같은 길이의, 즉 두 小節로 된 세 部分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前樂句(Vordersatz)가 主題動機(Komptmotiv)와 그에서 발전된 또 다른 하나의 小節動機를 가지고 시작되며, 연이어 리듬꼴(rhythmische Figuration)의 변형과 모방(Sequenz)를 통하여 발전된 展開句(Fortspinnuns)가 나오고, Epilog가 Ritornell을 주화음 속으로 유도하여 종결지어 준다. 이 Ritornell은 기악성부, 즉 Obligatstimme에서 테마와 같은 구실을 하게 되는데, 모자이크 형식으로 부분적으로 발전되어 응용되거나, 間奏로서 主調 아닌 다른 調 속에서 전체가 나타나기도 하는 일종의 연쇄적인 사슬 모양의 형태를 갖춘 것이 기악성부의 작곡 기법 형태라고 할 수 있겠다. 그에 반하여 성악성부(Tenorstimme)는 기악성부에 대한 對旋律이기 때문에 主題가 없는 자유스러운 멜로디로서, 그에 따라 하아모닉도 매우 유동적이라고 하겠다. 이 曲의 歌詞는 제 6번의 詩로서 6音節과 7音節의 行이 교차되는 8行으로 이루어진 Barform이다. 성악성부로 음악적인 면으로나 가사 내용면으로 분명하게 Ritornell 間奏를 통하여 세 部分으로 구분되어 있다. : 제1부 : T. 7-15 제2부 : T. 22-26^a 제3부 : T. 29^b-41 성악 성부의 구조는 本文의 도표 3에서 자세히 볼 수 있으며, 아울러 화성 진행도 分析되고 있다. 이 Arie의 종합적인 형식 구조 및 화성 分析은 도표5에 나타나 있으며, 끝으로 Proportio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음악상으로 보아 動機들은 半小節로 구성되었기에 小節數를 半小節에 따라 계산했음을 밝혀둔다. 가로로 첫째 줄에는 기악 성부의 小節數, 둘째 줄에는 성악 성부의 小節數가, 선 밑에는 각 부분(Teil)의 小節數가 표시되어 있으며 양 점선 밖에는 Ritornell小節數가, 양쪽 칸 속에는 각 부분의 小節數가 나뉘어 표시되었으며, 선 밖에는 성악 성부와 기악 성부의 小節數의 합이 표시되어 있다.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T. 37-41까지의 10小節을 제외하면 두 부분은 同一한 小節數를 갖고 있으며, 아울러 성악 성부와 기악 성부의 小節數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종합적인 숫자 42는 다시 하나의 Einheit "6" 이라는 숫자로 나뉘어지게 된다. 여기서 Einheit "6"은 Ritornell의 小節數와 같으며, Ritornell이 테마와 같은 구실을 하고 있기에 당연히 이 曲에 합당한 음악적인 숫자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만 T. 37∼41까지의 10小節을 어떤 이유에서 Bach가 삽입시켰는지는 Kantate 107 全曲을 分析해 보아야 해석이 가능할 것 같다. 그러나 이 10小節이 삽입된 部分임은 확실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동그라미 그림 노래놀이의 변이(變異)와 전이(轉移) - 돼지그리기노래와 곰돌이그리기노래를 중심으로 -

        조효임 국립민속박물관 2020 민속학연구 Vol.0 No.47

        In this paper the types of <one circle-drawing song play> were analyzed by taking 19 actual examples of <one circle-pig drawing song play> and 19 <one circle-bear drawing song play>, and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and transition to the other <drawing song play>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although the scope is limited, the influence on the drawing song play of Korea and Japan was examined. The 'pig drawing song' is a parody drawing song, in which the lyrics of ‘ten little indian boys’, an American counting nursery rhym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bear drawing song is a traditional American drawing nursery rhyme. Even though these two drawing songs have different melodies in musical terms, both songs are called <one circle song: one circle-drawing song> because the lyric start with 'one circle' in common. In this study, I could find out the original song of Korean 'one circle drawing song' is derived from the one introduced to Japan in 1930s.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a sense we could find out the following facts. As the 'one circle drawing song' was derived from U. S. and introduced to many countries, Japan is not a birthplace of the 'one circle drawing song'. Japan was also introduced the 'one circle drawing song' by U. S. and the song came down to Japnes-style 'one circle drawing song(as known as Mang Maruzzang Ekaki Uta) which influenced Korean 'one circle drawing song'.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first define the concepts of terms such as 'drawing song', 'one circle song', 'pig drawing song', 'bear drawing song', and 'one circle-drawing song play'. After defining the concept of the terminology, the 38 actual examples of 'circle drawing song play' by 'one circle song' were categorized into 19 songs by 'pig drawing song' and 19 by 'bear drawing song'. Then the types of variation focusing on the 3 core elements(song·lyric·picture) were examined by finding their characters,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icture, the 19 actual examples of the <one circle-pig drawing song play> are divided into the original form with the body and tail facing the right and 3 variations(ⓐ variation of the original form; ⓑ the shape of the body standing toward the bottom of the face; ⓒ front-view shape with the face inside the body): the original type(①); ⓐ variation(②③④⓹); ⓑ variation: ⑥; ⓒ variation(⑦⑧⑨⑩); ⓓ transition type: 6 examples(⑲). There were two kinds of 'bear drawing song', i. e. 2/4 beat song and 3/4 beat song, but the 2/4 beat song disappeared, and only the 3/4 beat song is transmitted. The types of <one circle-bear drawing song play> by 'bear drawing song'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of variation(ⓔ,ⓕ,ⓖ,ⓗ,ⓘ): variationⓔ: 3 songs(⑳㉑㉒) are examples from U. S. and other English-speaking countries depicting a smiling mouth in the shape of a banana; variationⓕ: 3 songs(㉓㉕) are examples of Korean <one circle-bear drawing song play>; variationⓖ: 3 songs(㉖㉗㉘) are examples in which the drawing of philtrum was added to the face; variationⓗ: 8 songs(㉙㉚㉛㉜㉝㉞㉟㊱) are examples of the Japanized 'one circle drawing song(まんまゐちゃん)'; variationⓘ: 1곡(㊲) is a German drawing play 'baby bear'(Bärchen) by 3 kinds of circle. The 'pig drawing song' and the 'bear drawing song' were mutually influenced, and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they were fused or influenced other drawing song plays, i. e. on <drawing song play of animal>, <drawing song play of face> and <drawing song play of people>. The 38 actual examples of <one circle-drawing song play>, which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the author or collected from internet you-tube and blog videos using the keyword 'one circle song' and 'pig drawing song', and extracted from literature. In order to clarify differentiation from each other because th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