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통일 한국의 징병제와 모병제 하의 병력규모에 관한 연구

        조홍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6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the optimal military size of unified Korea. However, most studies have used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using subjective data. In addition, two studies incorporating statistical methodologies fail to derive appropriate results due to errors in selection of variables and the use of subjective data. Therefore, in this study, we use the ratio data instead of the country specific defense related data for 30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We applied the logic of demand and supply of economics. The supply equations were produced by regression linear equation of the active ratio and defense ratio. The demand equations were produced as an inverse curves using the same coordinate system as the supply equation. With such a method, we estimated the appropriate military size and defense ratio for each of conscript and recruit system in unified Korea about 20 - 30 years later. 통일 한국의 적정 병력규모에 관한 연구는 이전부터 있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관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성적인 평가 방법을 사용해 왔었다. 또한 통계학적인 방법론을 도입한 두 가지 연구에서는 변수의 선택의 오류와 주관적인 데이터의 사용으로 인하여 적절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 주요 군사강국 30여개 국가를 대상으로 국방 관련 국가별 고유의 데이터가 아닌 비율화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이들 객관화된 데이터에 경제학의 수요와 공급의 논리를 적용하였다. 공급방정식들은 병력 비율과 국방비 비율의 회귀직선식으로 산출하였다. 수요방정식들은 공급방정식과 동일한 좌표계를 사용하는 반비례곡선식으로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향후 약 20 - 30년 후의 통일 한국에 대한 징병제와 모병제의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적정 병력 규모와 국방비 비율을 추정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홍용,정진철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2 다문화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직업포부수준을 구명하고,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 영향 변인으로 고찰한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통합적 다문화 진로교육이 제공되는 학교 현장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 가정 중학생으로 총 1,381,334명에 이른다. 이중 다문화 가정 중학생은 15,945명으로 전체 중학생 대비 1.2%를 차지하고 있다. 조사도구는 직업포부,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직업포부수준의 경우 커리어넷의 주니어 직업정보에 포함된 직업리스트를 바탕으로 하여 103개 직업목록을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직업포부수준으로 활용한 직업지위점수는 유홍준, 김월화 (2002)의 직업지위 연구방법을 근거로 하여 산출하였다.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경우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다고 판단되는 기존의 도구를 활용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9일부터 5월 11일까지 연구자가 표집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설문 실시 및 수거를 진행했다. 설문은 총 417부를 배포하였고, 총 381부(회수율 91.37%)를 회수하였다. 이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로 판단되는 케이스를 제외하여총 355부(유효응답률 85.13%)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Windows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0.05를 기준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증, F검증 및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 가정 중학생은 공통적으로 요리사, 운동선수, 메이크업아티스트, 만화가 등과 같은 텔레비전이나 인터넷 등의 매스컴에 자주 노출되는 직업과 공무원, 경찰관, 초등학교교사와 같은 안정적인 직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수준은 일반 가정 중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 가정 중학생의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진로관련행동 중 진로관여부족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다문화 가정 중학생이 일반 가정 중학생에 비해 부모의 진로관여부족행동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 영향 변인이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부모의 진로관여부족행동이 부적 영향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가정 중학생의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포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의 회귀모형 설명량의 경우 다문화 가정 중학생이 23.0%, 일반 가정 중학생이 13.6%로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수준에 부모관련 변인의 설명량이 일반 가정 중학생에 비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의 유형에 따른 직업포부수준을 구명하고 ...

      • KCI등재

        인구절벽 시대의 병역정책에 관한 연구: 의무복무 개월수별 병력규모 유지 가능 연도를 중심으로

        조홍용 한국국방연구원 2018 국방정책연구 Vol.33 No.4

        A young male population of Korea is continuously decreasing. Therefore, it was argued that the duration of mandatory service in the military should increase. However, the idea of curtailing the period of service is discussed in the political circle.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the military size proposed by the Defense Reform Basic Plan 2014~2030 is analyzed by using simple formulas, models and charts based on the statistical demographic data of 2017~2065 perio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a maintenance of service period of 21 months reaches its limit by 2025, and an extension of service period to 24 months can be a viable option only up to 2037. Therefore, policy alternatives to solve this problem are suggested. 우리나라의 젊은 남성 연령층의 인구 즉, 병역 가용 자원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이전부터 현역병의 의무복무 개월 수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이제는 더 이상 의무복무기간에 관한 논의를 미룰 수 없는 상황이다. 이 연구는 연도별 가용자원의 감소 실태를 통계청의 인구추계자료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소요가 가용자원을 초과하게 되는 연도를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아주 간단한 수식과 모델과 보기에 용이한 표들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국방개혁 기본계획 2014~2030에서 제시한 52.2만 명이라는 병력규모와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로 제시한 50만 명의 병력규모 유지 가능성을 현역병의 의무복무 기간을 12개월로부터 30개월까지 적용하는 경우의 각각에 대하여 판단하였다.

      • KCI등재

        코이카 미래세대교육 참여 초등학생의 세계시민교육 효과성 연구

        조홍용,정진철,주민서,배현정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3 시민교육연구 Vol.55 No.2

        이 연구는 코로나-19 등과 같은 국제적 위기속에서 코이카 세계시민교육 참여 초등학생의 세계시민성 수준을 구명하고, 미래세대교육 실시 전후의 세계시민성 수준의 향상 정도를 바탕으로 효과성을 구명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울산국제개발협력센터에서 실시하는 코이카 세계시민교육 이수 초등학생이며, 2022년 기준 총 6개교 243명이 이수했다. 조사도구로는 조지민 외(2016)의 세계시민교육 측정지표를 기반으로, 코이카 미래세대교육의 교육목표와 연계될 수 있는 기존의 세계시민성 측정도구, 인권교육 측정도구 등을 검토 및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11월까지 울산국제개발협력센터 소속 세계시민교육 강사가 표집학교를 방문하여 실시했으며, 총 19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이카 세계시민교육 참여 초등학생의 사전 세계시민성 수준은 3.74점으로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이카 미래세대교육 참여 초등학생의 해외여행경험과 세계시민교육 경험이 세계시민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셋째, 코이카 미래세대교육 참여 초등학생의 교육 전후 세계시민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구명되었다. 이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연구결과 해석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추후 지역별 초등학생의 세계시민성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학교급 별 코이카 미래세대교육의 내용 및 목표에 맞는 공통 및 세분화된 조사도구가 개발되어 활용될 필요가 있다. 셋째, 비교집단 설정과 같이 연구 방법을 정교화 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래세대교육 개정과 함께 일회성 교육이 아닌 정규 과정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세계시민교육 확대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이 연구에서 구명한 바와 같이 세계시민성 영역 중 행동적 영역에 대한 수준이 낮게 관측되었기 때문에, 행동 영역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지역사회 내 세계시민교육 실천을 위해서 공교육과 세계시민교육 전문기관이 협력하여 세계시민교육 콘텐츠 개발과 확산에 힘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적자원개발연구에서의 다양성 연구동향 분석 : 최근 22년간 AHRD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조홍용,김종순,김고헌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국내의 다양성 관련 HRD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음을 고려하여, 해외 HRD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다양성 관련 HRD 연구물의 내용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국내 HRD 연구 및 실천현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HRD에서 발행하는 HRD 전문 학술지(HRDQ, ADHR, HRDR, HRDI)에 발행된 2000-2021까지의 문헌 중 연구 제목, 초록에 diversity가 포함된 논문 중, 연구자 간 논문 선별 과정을 거처 총 87편의 논문을 선정했다.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분석 틀은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포함하는 연구물의 일반적 특성, 다양성 주제(다양성 수준, 다양성 관점, 다양성 주제) 및 HRD 주제로 구성했으며, IBM SPSS 25.0 프로그램과 MS Exce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든 분석요소에 있어 빈도분석과 게재연도 및 연구주제에 따라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HRD 측면의 다양성 연구 게재논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양성 차원의 경우 개인 차원의 다양성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다양성 관리전략이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로 분석되었다. Ely & Thomas(2001) 다양성 관점의 경우 차별-공정성 관점으로 연구된 연구물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다양성 관련 HRD 논문들은 주로 훈련개발, 조직개발, 리더십, 비판적 HRD 연구물에서 연구되어왔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의 HRD 분야에 다양성 연구가 더욱 확장되어 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K-9 포탄 전시 소요량 산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국방 시뮬레이션 모형에 관한 연구

        조홍용,정병희,Cho, Hong-Yong,Chung, Byeong-Hee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2009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지상군용 지능형 포탄을 포함한 장갑차량 공격용 K-9 포탄의 전시 소요량을 산정하는 국방 시뮬레이션의 방법론을 개선하려는 것이다. K-2008에서 사용된 분석용 국방 시뮬레이션에 의한 방법에서는 입력자료의 부정확성과 모의논리의 왜곡으로 인하여 산정량이 과도하며, 산출된 각 무기체계별 기대점유비율이 장차전의 실상에서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바와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입력자료 및 모의논리의 왜곡현상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하여 훈련용 및 분석용 국방 시뮬레이션 모형을 상호 연계하여 사용 및 검증하는 하이브리드 국방 시뮬레이션 모형의 필요성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methodology for a Defense Simulation which is to calculate wartime stockpile requirement of artillery munitions for K-9 against armored vehicles. Due to incorrect data input and distortion in simulation logic, the expected occupancy ratio for each weapon system obtained from applying a traditional method using an analytical Defense Simulation shows considerable discrepancies from what we expect from a war in the future. This study analyzes causes for incorrect data input and phenomena of distortion in simulation logic. By taking measures to control these phenomena, the study aims to present trustworthy methodology for a Hybrid Defense Simulation which is to calculate wartime stockpile requirement of munitions for ground forces by interaction between a controlled training Defense Simulation model and a analytical Defense Simulation model

      • KCI등재후보

        과학화전투훈련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조홍용 한국방위산업학회 2017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4 No.4

        과학화전투훈련은 정보화시대의 대대급 이하 전투부대 훈련에 매우 좋은 방법으로 미국에서는 1984년부터 시작한 NTC 훈련장에서의 과학화전투훈련이 걸프전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평가가 있다. 한국 육군은 연대급 과학화전투훈련을 추진한 결과 이 훈련을 시작한지 15년이나 경과하였음에도 정상적으로 제도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는 과학화전투훈련 관련 정책 추진에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로 과학화전투훈련의 제도화를 위하여 훈련의 효과성, 훈련 제대, 대항군의 규모, 훈련 주기, 지휘관의 임기, 그리고 지휘관에 대한 평가에의 반영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과학화전투훈련의 훈련 제대가 어떤 규모가 합당한지를 검토해 보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제도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전투부대들의 부대 유형별 숫자에 따라 필요한 훈련장의 소요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안대로 과학화전투훈련이 대대급으로 제도화되었을 때 육군의 대대급 이하 부대들의 전투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Scientific Combat Training is good method for the battalion and below in the information age. There has been estimation of Scientific Combat Training from NTC in 1984, which contribute to the victory of gulf War. Korean army is executing regimental training. Inspite of his effort Korean army is still in the process of settling KCTC into institutionalization more than 15 years. It means the immanent problem of the related pol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ppropriate level of training unit for KCTC; First, I review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appropriate size of opponent unit, size of training unit, training cycle, assesment of commander etc. Second, I also suggest the requirement of the necessary KCTC training fields based on the number of combat units by type. As suggested in this study, when KCTC would be successfully institutionalized, the tactical capability of battalion and below of the Korean Army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 KCI등재후보

        장갑차량 공격용 지능형 포탄의 전시 소요량 산정 모형에 관한 연구

        조홍용,정병희,Cho, Hong-Yong,Chung, Byeong-Hee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2008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는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인 장갑차량 상부 공격용 지능형 탄약을 포함한 155mm 포병 탄약의 전시소요량을 산정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려는 것이다. 종래의 워게임 시뮬레이션에 의한 방법에서는 장갑표적 공격용 무기체계별 기대점유비율이 지상군 및 공군간에 과도하게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향식 소요산정방법은 최소소요량에 비하여 너무나 과도하게 산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표적 수량에 따른 무기체계별 할당에 의한 하향식 모형을 구성한 것이다. 이모형이 워게임에 의한 상향식 소요산정보다는 더 믿을 만한 결과를 산출한다. This paper aims to formulate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wartime stockpile requirement of 155mm self-propelled artillery including intelligent ammunition for armored vehicles, currently being developed. The usual method of utilizing war-game simulation results in considerable margins in expected occupancy ratio between ground forces and air forces for each weapon system for armored vehicles. Also, the method tends to produce excessive output greater than the minimal stockpile requirement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overcome limitations like these by the allocation method for each weapon system according to targets. This allocation method is better than war-game simulation meth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