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 伏見版 古活字의 印刷技術 硏究 - 富春堂版과의 관계 -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9 No.-

        (1) The Hushimi edition refers to 12 editions printed in wooden type by Tokukawa Ieyasu from 1599 to 1606 at Enkoji temple in Hushimi. It includes one Hushundo Edition printed in wooden type. Four books were printed even in modern period. (2) The material for the type was wood. The type-making technique imitates script writing style and demonstrates quite sophisticated aesthetic touch of the character. Its technical level is upper-lower grade. (3) The typesetting technique shows vertical and lateral stripes of character trace very evenly aligned. There are some skewed characters, but the thickness of ink color is consistent overall. Its technical level is upper-lower grade. (4) The brushing technique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fairly consistent dark and thick ink color. It shows high quality, with rare incidences of chinese ink spreads, inadvertent marks of ink on the paper, and double printing. Its technical level is upper-lower grade. (5) The typography level is upper-lower grade. (1) 伏見版이란 德川家康가 1599년부터 1606년까지 伏見에 있는 圓光寺에서 목활자로 인쇄한 12종의 판본을 지칭한다. 이에는 富春堂版 목활자로 인출한 1종이 포함되어 있다. 근세에 이르러서도 4종의 서적을 인출하였다. (2) 活字의 재질은 목재이다. 製作技術은 필서체의 필의를 표현하면서, 문자의 미감을 충분히 살린 세련된 수준이다. 기술 수준은 상하급. (3) 組版技術은 字跡의 行列이 매우 가지런하다. 삐뚤어진 문자는 다소 나타나고 있으나, 墨色 濃淡은 대체로 균일한 편이다. 기술 수준은 상하급. (4) 印出技術은 전체적으로 묵색이 진하면서도 농담이 균일하고, 墨汁의 번짐과 잡묵 그리고 이중 인출 등이 드물게 보일 만큼 균정한 수준이다. 기술 수준은 상하급. (5) 印刷技術 수준을 종합하면 상하급에 해당한다.

      • KCI등재

        日本 宗存版 古活字의 印刷技術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1) The Shuzon edition refers to 140 editions printed in wooden types by Shuzon in Zomyozi, Kyoto for 12 years between 1613 and 1624. (2) The material for the type was wood. The type-making technique imitates script writing style to some extent, yet its quality is not sophisticated enough and near upper-middle grade. (3) The typesetting technique shows evenly aligned vertical and lateral stripes of character trace, yet shows some uneven incidences. There are some skewed characters, and in some pages, the tone of ink color is not consistent..The four edges of the page frame substantially splayed apart. Some of the corrections are not precise. The technical quality is middle-middle grade. (4) The brushing technique shows some inconsistency, with substantial variance in ink color thickness, frequent spreads of chinese ink and intermittent double printing. The technical quality is lower-middle grade. (5) The type printing quality is middle-middle grade. (1) 宗存版이란 宗存이 京都 常明寺에서 1613년부터 1624까지 12년간, 木活字로 인쇄한 140종의 판본을 지칭한다. (2) 活字의 재질은 목재이다. 製作技術 수준은 필서체의 필의를 표현하고 있으나, 세련되지 못하여 중상급이다. (3) 組版技術은 字跡의 行列이 가지런한 편인데, 약간씩 정연하지 못하다. 삐뚤어진 문자가 다소 있고, 墨色 濃淡이 균일하지 못한 엽이 보인다. 광곽 꼭지점이 상당히 벌어져 있다. 교정이 충실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기술 수준은 중중급. (4) 印出技術은 묵색의 농담 차이, 墨汁의 번짐, 이중 인출 등이 적지 않게 보일 만큼 균정하지 못하다. 기술 수준은 중하급. (5) 印刷技術 수준은 중중급에 해당한다.

      • KCI등재

        一山 金斗鍾의 韓國 書誌學的 位相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1 No.-

        1) The development of Korean bibliography has been led by physical bibliography. 2) Korean printing technology, especially typography, had marked unprecedented development in the world. 3)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has Mugujonggwang dae daranigyong in woodblock edition and woodblock of Palman daejangkyung in the world. Korea invented metal type at least 200 years earlier than West and still retains the invented types. It had also printed the oldest existing metal type edition - Backwoon hwasang chorock pulcho chikchi simche yojol in 1377. Korea has developed more than seventy different kinds of types since then. In this regard, the status of Korean early printing culture is no less significant than that of 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4) Ilsan had laid the foundations for Korean bibliography by pioneering into the fields of cultural history in woodblock printing, type printing, printing technology, and modern printing as well as building up Ilsan collection. 1) 한국의 서지학은 판본학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2) 한국의 인쇄술, 특히 활자 인쇄의 발달은 세계에 유례가 없을 만큼 찬란하였다. 3)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목판본 「無垢淨光大陀羅尼經」과 「팔만대장경」의 경판을 보유하고 있다. 금속활자는 서양보다 200년 이상 앞서 발명하였으며, 그 발명작도 보유하고 있으며, 현존 最古의 금속활자본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을 1377년에 인쇄하였다. 이후 70여 종 이상의 활자를 조성하여 서적을 인쇄하였다. 이점에서 한국 고인쇄문화의 위상은 세계 어느 나라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4) 일산은 목판인쇄문화사, 활자인쇄문화사, 인쇄기술사, 근대인쇄 연구는 물론 일산문고를 구축함으로써 한국 서지학의 기반을 닦았다.

      • KCI등재

        日本 嵯峨版 古活字의 印刷技術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78 No.-

        (1) The Saga’s type edition refers to 36 editions printed in wooden types by Suminokura Soan and Hongami Koetsu in Saga, Kyoto for over 10 years since 1606. Its main features include Japanese character type, multiple-character type, punctuation type, decoration book printing paper with shell powder and sprinkled mica, and double-sided printing. (2) The material for type was wood. The type-making technique sufficiently shows script writing style and the types are highly refined. Its technical quality is upper-lower grade. (3) The typesetting technique shows evenly aligned vertical and lateral stripes of character trace. There are few skewed characters, but the tone of ink color is somewhat inconsistent. The edition frame is only in two editions and the vertex is about 1∼2㎜ apart. The corrections are generally precise. The technical quality is middle-upper grade. (4) The brushing technique is inconsistent, with substantial variance in ink color thickness as well as frequent spreads and lump of chinese ink. The technical quality is barely middle-middle grade. (5) The type printing quality is middle-upper grade. (1) 嵯峨版 활자본이란 角倉素庵과 本阿彌光悅가 京都의 嵯峨 지역에서 慶長 11년(1606)경부터 약 10여 년간 木活字를 이용하여 인출한 36판본을 지칭한다. 假名와 연각 활자․방점 활자․호분과 운모 장식 책지․양면 인쇄 등이 특징이다. (2) 活字의 재질은 목재이다. 製作技術은 필서체의 필의를 표현함은 물론, 서체의 미감도 매우 세련된 수준이다. 기술 수준은 상하급. (3) 組版技術은 字跡의 行列이 정연한 편이다. 삐뚤어진 문자는 많지 않고, 墨色 濃淡은 다소 균일하지 못하다. 광곽은 2종에만 있는데, 꼭지점이 1∼2㎜로 작게 벌어져 있다. 교정이 충실한 편이다. 기술 수준은 중상급. (4) 印出技術은 묵색의 농담 차이, 墨汁의 번짐과 쏠림 등이 보일 만큼 균정하지 못하다. 기술 수준은 겨우 중중급. (5) 印刷技術 수준은 중상급을 유지하고 있다.

      • KCI등재

        日本 現存 實物 古活字의 特徵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80 No.-

        (1) 일본 현존 고활자는 7종이 있다. 이들은 동체의 크기가 약간씩 차이가 있어서 혼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2) 각각이 보관용 상자에, 한자의 부수와 필획 순 또는 일본어 발음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3) 활자의 종류는 대자․소자․假名(일본 문자) 활자․연각 활자․음각 활자․기호 활자 등이 있다. (4) 활자의 동체는 대부분 방정한 육면체이다. 문자면의 문자 가장자리는 평평히 다듬지 않고 사선으로 1.1∼10.2mm 정도로 깊이 깎아내렸다. 문자는 거의 대부분이 문자면에 가득 차지 않았다. 그 편차는 각각이었다. (5) 활자의 배면은 平平한 형태, 역V자형, 사다리꼴형, 드물게 반원통형 등이 있다. 그러나 그 높이가 균일하지 않고, 5.0mm 이내로 높지 않아서 조판의 편리를 위한 기능 정도로 보인다. (6) 필획을 조각하기 위한 산의 각도는 30° 정도의 경우도 보일만큼 완만한 경우가 많다. (7) 산의 깊이는 0.1∼2.5mm로, 대체로의 평균은 1mm 정도로 매우 얕다. (8) 여러 조판용 부속품은 판본을 통한 인쇄 기술 연구의 내용을 증명하고 있다. (1) Seven sets of Japanese early types are existing to date in Japan. They are somewhat different in the body size, making it very hard to use them together. (2) Each set is kept in storage boxes and arranged in either Chinese alphabetical order or Japanese pronunciation order. (3) Types include big type, small type, Japanese character type, multiple-character type, engraved type, and symbol type. (4) The body of almost all the types is regular cube shape. The edge of the character face was not carved flat, but slantly cut by the depth of 1.1∼10.2mm. Almost all the characters did not fully fill the character face. Each had its own variation. (5) The type bottoms include flat shape, inverted V shape, ladder shape, and rarely semi-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groove height is not constant and within 5.0mm, seemingly functional for the convenience of typesetting. (6) The character stroke was carved in a gentle slope, with a few cases in the slope of 30 degree. (7) The depth of carving was 0.1∼2.5mm and very shallow, with an average depth of 1mm. (8)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ypography through the printing edition are verified by various parts of the typesetting.

      • KCI등재

        臺灣 所藏 日本 古活字의 印刷技術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6 No.-

        (1) There are nineteen editions of Japanese early type collected in Taiwan. Three of them are the only editions. (2) The material for the type was wood. The type-making technique in all editions imitates script writing style. The character touch is a mixture of both sophisticated and crude touches. Its technical level is middle-upper grade. (3) The typesetting technique shows evenly aligned vertical and lateral stripes of character trace. There is a wide variance in the skewed characters and thickness of ink color. Its technical level is middle-upper grade. (4) The brushing technique shows some inconsistency of ink color thickness and varies significantly with a few incidences of chinese ink spreads and double printing. Its technical level is middle-middle grade. (5) The typography level is middle-upper grade. (1) 臺灣 소장 일본 고활자본은 19종이다. 그중 3종은 孤本이다. (2) 活字의 재질은 모두 목재이다. 製作技術 수준은 모두 필서체의 필의를 표현하고 있다. 문자의 미감은 세련된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가 혼재하고 있다. 기술 수준은 중상급. (3) 組版技術은 字跡의 行列이 가지런한 편인데, 삐뚤어진 문자와 농담의 차이는 다양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술 수준은 중상급. (4) 印出技術은 묵색 농담의 차이가 다소 보이고, 墨汁의 번짐과 이중 인출 등이 약간 보일 만큼 다양하다. 기술 수준은 중중급. (5) 印刷技術 수준은 중상급에 해당한다.

      • KCI등재

        금속활자의 내화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 실험 연구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8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fic procedures and principles of metal type wax casting method using fire clay. (1) The matrix material: Beeswax and injection wax were useful as the material. (2) The mould material: Fire clay was useful as the filling material. Activated carbon, paper fiber and water carbon were useful as the functional material. The mixture proportion was 10~19.5% for activated carbon, 0.5% for paper fiber, and 20% for water carbon, respectively. (3) The metal components, pouring quantity, and pouring method: Bronze was effective as the metal component. A small quantity of approximately 300 grams was poured using conventional method. (4)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fewer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higher the success rate was. (5) The pouring direction of metal fluid: It was effective when putting the character fac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ouring metal fluid in a standing manner. (6) The main path caliber for metal fluid: The size of 4.5 × 5.0㎜ was sufficient. (7) The temperature of mould: The temperature of 600℃ was sufficient as the burning temperature for mould. The mould temperature when metal fluid pouring had little effect on the success rate. (8) The casting success and contraction rate: The highest success rate was 54.0%, and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20.74%. The contraction rate was 3.08%. (9) The characteristics of type strokes: Al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Jikji were observed here. Therefor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wax casting method employed by this experiment is the replication of the method that was actually used for Jikji type. 금속활자를 주조할 수 있는 내화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의 구체적인 과정과 원리를 추적하였다. (1) 어미자의 재료: 밀랍과 함께 왁스가 효과적이었다. (2) 주형의 재료: 충전 재료로 내화토는 유용하였다. 기능성 재료로 활성탄․종이 섬유․수성 탄소 등은 유용하였다. 그 혼합 비율은 활성탄이 10~19.5%, 종이 섬유는 0.5%, 수성 탄소는 20%였다. (3) 금속의 재료 및 주입 양과 방법: 청동이 효과적이었다. 주입 양은 300g 정도의 소량을 재래식 방법으로 주입할 수 있었다. (4) 문자 필획의 다과: 필획이 적을수록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5) 금속 용액의 주입 방향: 문자면을 측향으로 하여 금속 용액을 입식으로 주입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6) 주탕도의 굵기: 4.5 × 5.0㎜의 주탕도로도 충분하였다. (7) 주형의 온도: 주형의 소성 온도는 600℃로도 충분하였다. 금속 용액 주입 시 주형의 온도는 성공률과 무관하였다. (8) 주조의 성공률과 수축률: 최고의 성공률은 54.0%였고, 전체의 성공률은 20.74%였다. 수축률은 3.08%였다. (9) 활자 자적의 특징: 「직지」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 모두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밀랍주조법은 직지활자를 주조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방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金屬活字 蜜蠟鑄造法 鑄型材料 : 炭紛의 復原 實驗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05 서지학연구 Vol.30 No.-

        This study applied empirical approach in order to restore mould material for metal type wax casting method, which has not been investigated until now. (1) Matrix Material: wax, pine resin-added wax and paraffin were used. (2) Mould Material: any sticky clay was acceptable as main material. Charcoal powder was useful as subsidiary material and its mixing portion was 10 percent.(3) Component, Quantity, and Method of Alloy: it was possible to make an alloy of copper with 55 through 70 percent. The amount of metal poured was a very small quantity of around 200 grams, and conventional pouring method was also applicable.(4) Number of Character Strokes: it was not specifically related to the success of casting method.(5) Success and Contraction Rate of Casting: the success rate of casting was 1.24%, and its contraction rate was 95.07%. 지금까지 전혀 연구된 적이 없는 금속활자 밀랍주조법의 주형재료를 복원하기 위하여 실험실습법으로 추적하였다.(1) 어미자의 재료: 밀랍송지를 첨가한 밀랍파라핀이 유용하였다. (2) 주형의 재료: 주재료는 점성을 가진 흙이면 가능하였다. 보조 재료는 숯가루가 유용하였으며, 이의 첨가 비율은 10%였다. (3) 합금 성분 및 주입 양과 방법: 구리 55~70%의 합금이 가능하였다. 금속의 주입 양은 200g 정도의 소량으로, 재래식 방법으로 주입하여도 가능하였다. (4) 문자 필획의 다과: 주조의 성공 여부와 구체적인 상관관계는 없었다.(5) 주조의 성공률과 수축률: 주조의 성공률은 1.24%였고, 수축률은 95.07%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