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생활교육이 건강식생활 실천 및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 식생활교육네트워크 활동지역과 비활동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조춘봉(Cho, Chun-Bong),최루미(Choi, Roo-Mi),강국주(Kang, Kook-Joo) 한국외식경영학회 2018 외식경영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식생활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을 비교하고, 동시에 식생활교육 필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건강 식생활 실천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조사대상 및 범위로는 충남도내 사단법인 식생활교육네트워크 체제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과 인근의 비활동 지역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t-검정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식생활교육 필요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건강식생활 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교육은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생활교육 만족도는 건강식생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etary-related education experience group with the inexperienced group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dietary practi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level of dietary education necessity.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areas of dietary education network system in Chungcheong province and in the inactive area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he t-test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too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among the group with and without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Secon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practice of healthy diet life. Thir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dietary education affects healthy dietary practice.

      • KCI등재

        마이크로파 이미징 기반 뇌졸중 진단

        조춘식(Choon Sik Cho) 한국전자파학회 202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1 No.2

        뇌조직으로 흐르는 뇌혈류 이상으로 갑작스럽게 유발되는 국소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통칭하는 뇌졸중은 심장병과 암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사망원인이며, 골든 타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초기치료가 매우 중요하며, 접근 가능한 진단기기의 사용이 중요하다. 뇌졸중을 진단할 수 있는 주요 장비로는 CT와 MRI가 있으나, 가격 및 운영 상 지속적으로 검사하기가 어렵고 휴대가 불가능하다. CT는 전리 방사선을 사용하므로 환자에게 해로우며 이는 새로운 기기의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마이크로파 기반 이미징 기술은 조직 간의 유전율 차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산란 지도 작성에 기반하여 CT등을 대체할 의료 영상화 도구로 각광 받고 있다. 마이크로파 이미징은 생체 조직 전체의 조망, 저가격, 휴대 가능성 및 무 방사능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뇌의 혈액 흐름 이상을 진단하는 훌륭한 기술이 될 수 있고, 뇌졸중을 관리하는 훌륭한 영상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우선 단층영상화기법이 두부 이미징(head imaging)에 적용되어 휴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저가인 영상화 기술로 발전해 오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표적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의 시간 지연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이 제안되어 홀로그래피 기법을 마이크로파 방식에 적용하기 시작하였으므로 마이크로파 이미징 기반 뇌졸중 진단은 향후 계속 진화하여 인류의 생명을 구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많은 쓰임을 받을 것이다. Brain stroke, referred to as a local neurological deficit suddenly caused by abnormal blood flow to brain tissue, is the third leading cause of death after heart disease and cancer. Additionally, because of its very short golden hour, initial treatment and access to diagnostic devices are critical. The main equipment for diagnosing brain stroke are CT and MRI, but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continuous tests and the equipment are not portable. CT is detrimental to patients because it uses ionizing radiation, leading to the demand for new devices. Microwave-based imaging technology is emerging as a medical imaging tool to replace CT, based on the mapping of the electromagnetic scattering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 in dielectric constant between tissues. Microwave imaging has the advantages of viability, low cost, portability, and radioactivity throughout a living tissue. Hence, it is an excellent technique for diagnosing blood flow abnormalities in the brain and a good imaging tool for managing brain stroke. In this study, tomography imaging has been applied to head imaging to develop portable and relatively inexpensive imaging technology. Further, a method for generating a 3-D image using the time delay of the reflected wave from the target has been propos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holography technique to the microwave method, the microwave imaging-based stroke diagnosis will continue to evolv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Directions for Smart SDI in Global Spatially Enabled Society

        Cho, Chun-Man(조춘만),Moon-Sub Chung(정문섭) 한국지적정보학회 2017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9 No.2

        국가공간정보인프라(NSDI;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는 공공이 기획, 구축 및 운영 관리하는 국가의 핵심 공공인프라의 하나로서 국토공간의 계획적 관리 및 활용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한다. 또한 지적, 측량, 원격탐사, 측지 등 핵심 기반기술의 성장을 바탕으로 국토계획, 토지, 주택,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행정정보화 및 국토관리의 역량강화에 기여해오고 있다. 이러한 국가공간정보인프라는 국가정책에 기반을 둔 다양한 공간정보 사업들을 통해 1995년 1차 NGIS계획을 수립 및 집행한 이래로 정책, 기술, 표준, 인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발전과 성숙을 이뤄왔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공공 SDI 모델의 발전 방향을 수립하고, 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GSDI-NSDI-LSDI로 이뤄진 수직적 공간계층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공 SDI의 개발은 하향식 접근 방식에 의한 정책적 배려와 상향식 접근법으로서 선도 기업을 발굴하고 촉진함으로써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날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젊은 세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과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요컨데, 사회의 모든 데이터 중 가장 기초데이터에 속하는 공간정보는, 공간적 계층 구조마다 SDI를 기반으로 스마트 도시 기술을 적용 할 경우,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창조적 스마트 도시를 창조하고 전파하여 훌륭한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one of core national public infrastructure that national government plans, establishes and manages,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NSDI)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people’s daily lives and plan-based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national territory. Also, based on the core technologies of cadastre, survey, remote sensing and etc, it has been contributing to the capacity building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national territorial management in various areas such as physical planning, land, housing, transportation and so on. Actually in Korea, the NSDI has been advanced in many aspects including geospatial policy, technology, human resources, standards and so on since its 1st NGIS Plan in 1995. This study, in this context, aimed at the establishment of the advancement directions of public SDI model in Korea, differentiated into the vertical spatial hierarchy of GSDI-NSDI-LSDI which are organically linked among them.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public SDI should be accompanied by policy consideration by a top-down approach and by discovering and promoting leading companies by a bottom-up approach. For today"s government, the top priority issue is job creation an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for the younger generation. As very basic data of all data in the society, spatial data will be able to help see great achievement by creating and spreading creative smart cities applying digital technology and smart city technology based on the SDI for each spacial hierarchy.

      • KCI등재

        사회복지교육과정에서의 온라인 PBL 수업의 적용과 효과

        조춘범 ( Choonbum Cho ),이현 ( Hyu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교육과정에 온라인 PBL 수업을 기획하고 실제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습결과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학습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2020년 2학기 S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 중 청소년복지론 과목을 수강한 총 9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PBL 수업을 실시하였고, 그 효과를 대응표본 T-test를 활용한 주요 역량 변화와 성찰일지의 토픽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 PBL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태도 역량이 모두 사전 대비 통계적으로 향상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찰일지에서 나타난 학습자의 의견을 토픽모델링으로 살펴본 결과 총 6개의 토픽이 확인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교육 제공과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편, 협력학습 과정 촉진과 교수자의 역할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nline PBL and explore learning experiences by planning and applying online PBL in social work curriculum.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n online PBL was conducted for total 90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on youth welfare class of S university. We verified the effect of the main competency change using paired sample T-test and explored the topic of reflection journal through topic mod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PBL class all statistically improved. In addition, a total of 6 topics were identified in the reflection journal through topic modeling.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o provide digital literacy competency-enhancing education, systematically reorganize the social work curriculum, promote the cooperative learning process, and the role of instructors.

      • 일반원고 : 사격 선수의 루틴 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

        조춘식 ( Chun Sig Cho ),구본칠 ( Bon Chil Koo )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理論과 實踐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highschool shooting players the data pools according to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of routines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utine`s training. The 25 of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highschool shooting team in Kyungnam province. The each routines program of shooters had been built by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then trained for 6 weeks. The data pools were extracted from the raw data and divided into the dimensions and first-order themes in using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effects of routines program were tested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after finishing the routines training. I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5 cognitive factors of routines program were consisted of positive energy, event strategy, imagery, self-confidence, and arousal control, the 2 behavioral factors were consist of physical relaxation and focus on attention. The effects of routines training were identified in the automatic processing, event strategy, and goal orientation in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quantitative effects of routines training of self-confidence, anxiety reduction, and arousal control.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연구

        조춘범(Cho Choon Bu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도피이론을 근거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또래관계의 영향을 검증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서·남부지역의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을 조사대상으로 할당표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802개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SPSS 1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또래경험이 긍정적일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감소하였고, 우울도 감소하였다. 그리고 우울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증가하였다. 우울의 매개효과를 Aroian Test로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가 있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또래관계의 개입방안과 이로 인한 청소년들의 우울에 대해 사회복지적 정책 및 실천적 개입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dolescent s peer relationship on smartphone addi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ased on escape theory. A total of 802 students from the 1st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to the 2n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were colle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secondly, the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irdly, the adolescent s depression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he depressio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we are able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외식업종(태) 선택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춘봉 ( Chun Bong Cho ),김태곤 ( Tae Gon Kim ) 한국컨벤션학회 2014 MICE관광연구 Vol.14 No.1

        Recently, as the investigation of beginners`` settlement rate after the opening restaurant shows, the rate of failure within 5 years after the opening is higher than 50%. The reason is that they open their business recklessly with the possibility of failure after business value is incorrectly analyzed from early stage or the plan of business is established with insufficient pre-survey or weak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of new items for the effect of foodservice starting business factors and foodservice business type selection factors on administrative results.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ounders must consider the items of administrative ability and competitiveness and select business type with creative idea. And, when selecting administrative form (independent store, franchise store), the starting business must be considered by thorough analysis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siness type, business condition, stable provision of food materials, business administrative system, etc.). Especially, when founding foodservice business, main issue will be cooperative opening more than 2 people rather than individual opening for differentiation from the aspect of administrativ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