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artree Analysis of χ for a Pressure-Responsive Diblock Copolymer: Temperature-Pressure Superposition

        조준한 한국고분자학회 2012 Macromolecular Research Vol.20 No.5

        The response of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ANS) to pressure for a molten block copolymer in the disordered state has been studied through a Hartree (fluctuation correction) analysis. A slightly polydisperse diblock copolymer from deuterated polystyrene and poly(n-propyl methacrylate), denoted as dPS-b-PPrMA, was chosen for our purpose, because its ordering transition is highly sensitive to pressure. It was shown that the isotherms of effective Flory-Huggins parameters χ’s from the Hartree analysis are superposed into a characteristic curve when χ is scaled by χ(P0) at a reference pressure P0, and plotted against pressure difference ΔP (≡P-P0) divided by temperature dependent bulk modulus B0 at P0. Such a procedure required a scale factor τ, which was completely determined by B0. The established superposition yielded the interconvertibility of temperature and pressure effects on the Hartree χ. This behavior of χ was revealed to manifest that components of χ rely on the ratio of volume V to V0 at the reference P0, which is an exclusive function of ΔP/B0 to satisfy the temperature-pressure superposition concept in volumetric properties of polymeric liquids.

      • KCI등재

        블랙박스 영상 기반 고속도로 사고유형 분류 및 사고 심각도 예측 평가

        조준한,이성준,박성민,박준영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블랙박스 영상을 기반으로 군집분석과 예측모형 비교를 수행하였다. 분석자료로 사고 직전의 도로 및 교통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차량 주행행 태, 노면 상태 등 사고 영상에서 추출이 가능한 항목을 설명변수로 활용하였다.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교통사고 데이터의 특징을 고려하여 데이터의 이질성을 반영하는 군집분석 을 활용하였다. 군집분석으로 분류된 각 군집을 사고 심각도 수준의 비율을 기준으로 나누고, 종속변수인 인명피해 수준을 반영하여 사고 예측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고 예측모형은 로짓 모형(Logit model)을 적용한 결과, 전체 데이터를 분석한 경우보다 군집분석에 의해 두 개의 사고 심각도 그룹을 분류하여 예측했을 때 우수한 예측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군집분석을 통한 그룹별 사고 특성과 사고 심각도를 반영하여 사고위험을 예측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 으로 판단된다. 또한 2차 사고와 같은 정차 중 추돌사고, 차로변경 중 측면 추돌사고 등이 중요 한 주행행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black box images of traffic accidents on highways, cluster analysis and prediction model comparisons were carried out. As analysis data, vehicle driving behavior and road surface conditions that can grasp road and traffic conditions just before the accident we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Considering that traffic accident data is affected by many factors, cluster analysis reflecting data heterogeneity is used. Each cluster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was divided based on the ratio of the severity level of the accident, and then an accident prediction evaluation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Logit model, the accident prediction model showed excellent predictive ability when classifying groups by cluster analysis and predicting them rather than analyzing the entire data. It is judge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predict accident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ccidents by group and the severity of acci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collision accident during stopping such as a secondary accident and a side collision accident during lane change act as important driving behavior variables.

      • KCI등재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도로특성분류에 관한 연구

        조준한,김성호,노정현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3

        This research is to the establish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that supports road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from a new point of view in order to complement of the existing road functional classification and examine of traffic pattern. The road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RCC) is expected to use important performance criteria that produced a policy guidelines for transportation planning and operational management. For this study, the traffic data used the permanent traffic counters(PTCs) located within the national highway between 2002 and 2006. The research has described for a systematic review and assessment of how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uld be applied from 12 explanatory variables. The optimal number of components and clusters are determined by interpretation of the factor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the scenario including all 12 explanatory variables is better than other scenarios. The four components is produced the optimal number of factors. This research made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road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further applying the objective input data for various analysis method, such as clust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본 연구는 기존의 도로기능 분류체계를 보완하면서 유형화된 도로구간들의 교통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새로운 관점에서 도로특성분류 개념을 정립하였다. 도로특성분류는 교통계획, 교통운영관리 등의 교통전반으로 설계 및 정책을 수립하고 지침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판단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도로특성분류를 위해 일반국도 상시지점 조사자료를 토대로 12개의 설명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 설명변수들간의 상호상관을 통한 잠재구조 및 다중공선성 검토, 요인점수를 추출하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방향은 탐색적 요인분석의 각 실행단계별 접하게 되는 의사결정 문제를 세밀하게 검토하였으며, 각 논점별로 올바른 평가기준 방법을 제시하여 최종적인 종합결론을 도출하였다. 적정 설명변수와 요인 수를 결정하기 위해 10개의 시나리오를 비교분석한 결과, 처음 제시한 12개의 설명변수를 모두 포함한 경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4개의 요인이 가장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에 다양한 분석방법(군집분석, 회귀분석, 판별분석 등)에 있어서 객관적인 입력자료로 사용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연구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신호교차로 지체 산정 비교

        조준한,김성호,조용찬 대한교통학회 2005 대한교통학회지 Vol.23 No.1

        In this paper,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research are to review the methods currently avaliable for estimating the delay incurred by vehicl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paper compares the delay estimates from a deterministic queueing model, a model based on shock wave theory, the steady-state Webster model, the queue-based models defined in the 1994 and 2001 version of the Highway Capacity Manual, in addition to the delays estimated from the TRANSYT-7F macroscopic simulation and NETSIM microscopic simulation. More especially,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delay estimates obtained using macroscopic and microscopic simulation tools against state-of-the practice analytical models that are derived from deterministic queueing and shock wave analysis theory.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s indicate that all delay models produce relatively similar results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with low traffic demand, but that increasing differences occur as the traffic demand approaches saturation. In particular, when the TRANSYT-7F and NETSIM are compared, it is highly differences as approach for traffic condition to over-saturation. Also, the NETSIM microscopic simulation is the lowest delay estimates among the various models. 신호교차로의 용량 및 서비스수준을 분석하는데 지체를 기본적인 평가척도로 이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다양한 지체모형은 비포화와 포화상태를 고려한 교통조건하에서 교차로 신호운영전략 및 기하구조 개선에 중요한 척도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기행렬모형, 충격파모형, 정상상태 확률적 모형, 시간종속 확률적 모형, 거시적 및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에 대한 지체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v/c ratio가 증가함에 따라 지체는 단조증가형태를 띠고 있다. 비포화상태에서는 결정적모형과 확률적 모형의 지체 모두 비슷한 값으로 나타났으며, 포화상태에서는 1994 HCM모형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사한 곡선의 패턴을 유지하면서 지체값은 어느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대기행렬모형과 충격파모형은 이미 이론적으로 검증되었듯이 동일한 지체값이 나왔다, 정상상태 확률적 모형인 webster모형은 v/c=0.8이하에서는 2001 KHCM과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냈으며, v/c=1.0에 가까울수록 무한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시간종속 확률적 모형은 결정적 포화상태모형을 점근선으로 하여 지체를 산정하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단조증가 형태를 띠고 있다. 거시결정적 시뮬레이션인 TRANSYT-7F의 두 모형인 link-wise simulation과 step-wise simulation은 v/c=1.0까지는 2001 KHCM모형과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냈으며, v/c=1.0 이상에서는 step-wise simulation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시확률적인 시뮬레이션인 NETSIM모형은 개별차량간의 상호작용과 교통량 변화에 따른 미시적인 운전자 행태를 모사하기 때문에 다른 모형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TRANSYT-7F와 NETSIM을 비교하였을 때 지체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은 차량행태 알고리즘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비교한다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