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기 기독교수용의 성격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조재국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1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이 한국과 일본에서 어떤 성격을 가지고 정착하게 되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양국에서 처음으로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인 수용계층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들의 신앙적 성격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양국 의 기독교가 어떤 형태로 발전하였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오늘의 한국 기독교와 일본 기독교의 성격을 비교하였다. 초기선교에서 한국과 일본은 모두 기독교를 서양문명의 핵심으로 이해하고, 기독교의 수용을 근대화의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수용자들의 사회계층적 차이로 인하여 매우 다른 형태로 기독교신앙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로 한국의 초기 기독교 신앙의 수용자들은 청년상인들 및 만주 피난민들, 그리고 선교사들을 돕는 도우미들이었기 때 문에 신자그룹이 서민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면, 일본의 초기 기독교 신앙의 수용자들은 사족출신 청년들 및 상류층 지식인들이었기 때문에 일본교회는 처음부터 지식층 신자들로 구성되었다. 둘째로, 초기 한국인 신자들은 개인의 영혼구원을 신앙적 가치의 중심에 두고 있었지만, 일본인 신자들은 서양학문의 수 용을 통한 국가발전 및 사회개혁을 신앙적 가치의 중심에 두고 있었다. 셋째로, 초기 한국인 신자들의 신앙은 외적으로 서 민층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현세구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고, 내적으로 죄의 고백과 회개, 성경탐독 등을 중시하는 영혼구원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반면, 일본인 신자들의 신앙은 일본사회를 개혁하는 동력으로서의 윤리적 규범을 성서 에서 찾으려고 하였고, 과거 충성의 대상이었던 영주를 대신하여 하나님을 충성의 대상으로 삼는 충효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로, 초기 선교에 있어서 한국기독교는 서민종교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부흥사경회와 같은 종교적 감정에 호소하는 샤 머니즘적 신앙을 배태시켰고, 외세의 침략에 대항하는 저항적 에너지를 축적시킨 반면, 일본기독교는 자유주의적 신학을 바탕으로 강한 독립지향성을 가진 지식인 공동체를 배타적으로 형성하였고, 강한 엘리트적 윤리의식을 가지고 사회개혁 을 추진하는 기제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양국의 신앙적 성격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양국의 교회는 교류와 협력을 통하여 지난 세기를 통하여 이룩한 선교의 결실을 나누어 서로의 약점을 보완하는 지혜를 발휘하여야 할 것이다. The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aith and church of Korea and Japan in the early Christianity. The paper analyzes the primitive seekers in the two countries, and the character that has been formed by the class of their Christian faith. And then the paper compares two different types of Churches that were formed in the process of Church growth. In early mission, Korea and Japan accepted the Christianity as a core of European civilization, and understood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as a task of modernization. However, it is known that two countries made differences in forming churches and having faith due to the class of the initial seekers. At first, the primitive Churches in Korea were composed of seekers from lower social class, such as young trade-man, refugees of Manchuria, and supporters or servants for missionaries. Meanwhile the primitive Churches in Japan were composed of intelligent seekers from higher social class such as young sons of Samurai family(warrior). Second, Korea's early believers were interested in salvation of inner soul of individuals as value of faith, while Japan's early believers emphasized modernization and social reform in terms of acceptance of European culture as value of faith. Third, Korea's early Christians po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worldly blessing as an attitude of lower class society, and the character of salvation of soul in Script reading, prayer, and confession of the sins as well. In contrast, Japanese early Christians sought the ethical norm of modern society from the Bible in order to take motivation for social reform as well as sought God instead of a feudal lord as the sense of filial piety and loyalty. Fourth, the early Korean Church bore shamanistic faith. It appealed religious emotions as the revival meeting to form the characters of people's religion, so that it might accumulate the energy to protest against aggression by foreign powers. However, the early Japanese Church built strong elite christian community to be oriented to independence through theological liberalism and strong ethical conscience based on christian faith, so it would initiate social reform. Today, these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the churches of Korea and Japan. The two different styles of churches, together, can make up for the weak points and share fruits of achievement in the past century through interchange and cooperation.

      • KCI등재후보

        기독교적 리더십 배양을 위한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조재국,박정세,박명철,한인철,정종훈,이대성 한국대학선교학회 2010 대학과 선교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d explore the servant leadership and to propose it as a model for Christian leadership in the 21st-century society. The article is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to a group of freshmen of Yonsei University in 2008. The chi-square method is employed in the analysis of the survey from which the writers differentiate views on leadership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nd also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following four aspects are questioned and subsequently analyzed: 1) leadership in general 2) Christian leadership 3) leadership programs 4) servant leadership. According the answers in the survey, responsibility and ability to commend are defined as leadership in general among its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service and inspiration are viewed as the two essential elements of leadership among the Christian participants. In terms of Christian leadership, faith, commitment, and altruism ar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Christian leadership. One finding from the survey is that most of college students have no experience in any kind of leadership training. As for the definition of "servant leadership," most students understand it as leading others with humbleness. In analyzing the answers, the authors recognize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on character building for leaders. This necessitates the in-depth exploration and the redefinition of role models in leadership – their life, thought, ideals – and the examination on how to adapt their values to the present globalized society. Finally, the authors urge to seek for a common ground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n the understanding on leadership, on which the servant leadership is to be further developed in the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society. 이 논문의 목적은 섬김의 리더십을 소개, 분석하면서, 더 나아가 21세기 사회의 기독교적 리더십에 대한 모델로 섬김의 리더십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2008년 연세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작성된 본 논문에서는 각 문항의 응답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chi-square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저자들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간의, 그리고 남성과 여성간의 리더십에 대한 견해의 차이를 도출하고있다. 설문에서는 다음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행해졌다: 1) 일반 리더십; 2) 기독교적 리더십; 3) 리더십 프로그램들; 4) 섬김의 리더십. 설문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참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책임감과 통솔력을 일반적인 리더들이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꼽고 있었다. 이에 비하여 기독교인 학생들은 봉사와 영적 지도력을 지도자가 갖추어야할 필수 요소로 들고 있다. 기독교적 리더십에 대한 정의에 있어서,학생들은 신앙, 헌신, 이타주의를 기독교 리더들이 지니고 있어야 할자질이라고 응답하고 있다. “섬김의 리더십”의 정의에 있어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를 겸손한 태도로 다른 사람들을 이끄는 것이라고 보고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밝혀진 사실들 중의 한 가지는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리더십 훈련에 참여한 일이 한 번도 없었다는 것이었다. 이에 저자들은 리더십 배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자각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불가피함을 지적하면서, 역사상으로 뛰어난 리더들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분석과 연구, 글로벌화된현대사회에 맞게 그들의 가치를 재적용하고, 더 나아가 이상적 리더의정의에 대한 재정립을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사이의 공통분모를 찾을 것과, 이를 바탕으로섬김의 리더십을 정립시키고, 다원화되고 다인종적인 사회에 맞게 계속 개발시킬 것을 주창하고 있다.

      • 한국교회 설교의 상징어 사용에 관한 연구

        조재국 한국실천신학회 2006 신학과 실천 Vol.0 No.11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설교신학의 확립을 위하여 한국교회 설교신학의 과제를 종교문화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한국어의 언어문화적인 측면과 설교언어의 상징적 측면에서 탐구하기 위하여 먼저 한자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언어의 사회성을 형성하게 한국어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설교언어의 성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설교언어의 상징적 기능이 목회와 설교에 어떤 영향을 주어왔는가를 조용기 목사의 목회와 설교를 통하여 분석하여 보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용기 목사가 그의 설교에서 즐겨 사용하는 설교언어들이 어떤 상징적 기능을 가지고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설교언어의 상징적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탐구하려고 하였다. 한국교회의 설교언어를 상징어로 규정하고, 설교언어의 분석에 종교문화의 해석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조용기 목사를 비롯한 대부분의 한국교회 설교자들의 설교가 고도의 신학적인 논거를 지닌 본문설교나 교리 설교라기보다는 성서의 주제들을 한국의 문화나 교회의 사정과 청중들의 삶의 정황에 적용하여 메시지를 단순하고 명료하게 전달하는 이야기설교라고 보기 때문이다. 더구나 한국어의 신앙언어는 대부분 한자어이기 때문에 신앙을 표현하는 용어로 쓰이기 이전에 이미 독특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언어사용의 용례를 따라 면밀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로 설교언어로서의 한국어는 한국문화에서 형성된 독특한 개념을 가지고 전승되면서 한국인의 관념을 담지하게 되었으나 한자의 수용과정에서 일본어와는 달리 본래의 개념을 많이 상실하게 되었기 때문에 한국교회사에 나타나는 체험적 신앙과 영성적 신앙을 설명하고 변증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한국교회 설교는 성서와 신앙에 관한 조직신학적인 분석과 해석 보다는 말씀과 신앙체험을 설명하고 주제어들을 상징어법으로 사용하여 직관적 이해와 감동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나가게 되었다고 보여 진다. 둘째로 한국교회의 대표적 설교가인 조용기 목사의 설교는 강단의 설교자와 듣는 청중 사이에서 강한 교감이 일어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고, 그의 메시지는 최대한 강력하고 단순하게 전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은혜와 중보기도의 성취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모성적 성령운동의 전형으로 볼 수 있다. 셋째로 한국인의 삶의 자리와 체험적 신앙을 표현하기 위하여 설교언어를 상징어적 어법으로 사용함으로서 청중들의 신앙적 상상력에 풍부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는 설교언어로서의 한국어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그의 개인적 체험에 바탕을 두면서도 한국 서민대중의 공통된 종교적 니드인 “마나”라는 표상에 성서적 해석을 첨가한 것으로 보여 진다. 조용기 목사의 설교에 자주 나타나는 주제어들이 무속적 의미를 담지하고 있다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의 독특한 신앙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언어의 분석적이고 정교한 사용 보다는 상징적이고 통전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같은 말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어법은 한국교회 설교의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한국교회의 체험적 신앙을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concerned on analysing the task of the sermon theology in Korean church from the religious cultural point of view for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a sermon theology. Especially, this research is aimed on three analysis, for the sake of surveying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formed the unique linguistic sociality in the process of accepting Chinese character on the Korean linguistic cultural point of view and the and the symbolic point of view in sermon language, and of analys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sermon language, and of analysing what influence has been exerted on ministry and sermon by symbolic function of the sermon language in terms of ministry and sermon of Yong-gi Cho, Korean church minister. Finally, analysing what Cho's favorite sermon words on his message have a symbolic function, I tri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the function of sermon language. First, Korean as a sermon language has a characteristic conception built in Korean culture, and has been transcended, as a result of that, Korean language has been admitted in the concept of Korea. In spite of that, As Korean Language lost the intrinsic meaning in great, differing from Japanese, it has many difficulties to explain and demonstrate the faith from experience and spiritual faith shown in the Korean church history. Therefore, the sermon of Korean church seems to appeal to the intuitive appreciation and impression, explaining the bible and personal religious experience and using the symbolic language method to express the keywords rather than systematic theolog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bible and faith. Secondly, the Korean representative preacher, Yong-gi Cho's sermon is centered on building powerful mutual response between preacher and hearer, and his message is emphasized on conveying powerfully and simply at a maximum , and pointing to achievement for the mercy of God and common-pray. From this point of view, his preach is to be the archetype of motherly Holy Spirit movement. Thirdly, his message provides religious imagination of congregation with affluent meaning in terms of the symbolic word-using method in order to express the life-site and the faith of experience. It is thought to add biblical interpretation to the emblem, called "MANA", common need of the Korean masses, overcoming the margin of Korean language as a preach-language on the basis of his personal experience. Being blamed for shamanism, ministry Yong-gi Cho's preaching word is to b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hurch sermon and the appropriate method to express the faith of experience in Korean church. However his preaching method is repeating key words providing symbolic and throughout- meaning rather than analytic and delicate meaning preaching method.

      • 한방의료 이용자의 한방의료에 대한 태도 및 시장개방에 대한 인식도 분석

        조재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보건복지포럼 Vol.98 No.-

        2004년 4월 한방병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방의료의 이용행태, 인식정도, 시장개방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음. 조사대상한방병원들은 2003년 12월 현재 대한 한방병원 협회의 회원으로 등록된 153개 한방병원 중 지역의 인구와 지역내 한방의료기관현황, 병상수를 고려하여 표본으로 추출하였으며, 교육받은 조사원들이 직접 한방병원을 방문하여 조사를 수행하였고, 총 973명이 응답하였음. 주요 조사내용은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한방의료의 이용행태에 관한 내용, 한방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에 대한 내용, 한방의료 시장개방에 대한 내용 등 여러 가지를 조사하였으나 여기서는 주로 개방과 관련되는 항목에 대해서만 논의하였음. 조사결과 한방의료이용자들은 한방의료의 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은 잘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전통의학으로서 한방의료에 대한 선호도가 존재하고, 한방의료의 진료수준과 한약 및 침 · 뜸 등에 대한 신뢰도가 비교적 높으며, 의료진의 친절도에 대해서도 만족하고 있고, 향후 한방의료의 수요 역시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대부분의 한방의료이용자들이 의료시장 개방에 찬성하는 입장이었으며, 또한 한방의료시장개방으로 인해 긍정적인 변화와 발전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