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종교의 생명 문화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5 No.-

        종교의 존재 의미는 인간이 온전한 생명 문화 공동체를 이루는 것을 돕기 위하여 사상, 가치관, 문화 등을 먼저 창출하고 제시하여 세상을 이끄는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한국 신종교들은 조선과 한국에 생명 문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개벽의 기치를 들고서 각 시대가 처한 위기 극복으로 국민들을 이끌었다. 그런 열정과 정신은 지금도 계승되어야 한다. 현대 한국은 G20에 포함될 만큼 선진 국가 반열에 들어서게 되었지만, 자살과 타살의 증가로 인한 죽임 문화가 세계 1위를 차지하는 오명을 남기면서 국가적 위기의식을 갖게 되었다. 이런 시대적 과제 해결을 위하여 한국 신종교의 올바른 생명 문화 수립이 요청된다. 한국 신종교의 생명 문화는 4개의 체계로 구성된다. 그것은 ``신령 문화-모태 문화-지상 생명 문화-영계 생명 문화``이다. 이에 대한 통전적인 자각이 보편화될 때에 죽임 문화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 고통이 동반되는 이 세상의 삶만 바라보는 미시적 생명관을 넓혀서 거시적이고 영원한 생명 체계를 수용하고 살도록 국민들을 각성시키는 과업 수행에 한국 신종교가 앞장서야 한다. 국민들이 죽음과 죽임의 차이를 분명히 인식하도록 생명 문화를 심화시키고 확대해야 할 것이다. The meaning of Religion`s existence is to cultivate new thought and culture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whole life culture community, and leads the society and nation. Korean new religions lead Korea to overcome crises under the motto of Gaebyok, which succeed realization of life culture. Such passion and spirit should be inherited in now and here. Korea, on the one hand, has become one of G20, the other hand, has a dishonor with suicide and murder, which gives us national crisis consciousness and collective mental depression. It means that Korean new religions have to promulgate true life culture. Life culture consists of 4 systems ; Holy Spirit Life Culture-Womb Life Culture-Physical World Life Culture-Spiritual World Life Culture. When people get whole understanding of the life culture and life system, killing culture will be disappeared. Korean new religions have to lead people to leave the narrow viewpoint of life that focus on suffering to holisitc and forever viewpoint of life. People have to recognize the difference of death which is a phenomenon of life and killing life culture which causes disorder of community.

      • KCI등재

        한국 신종교의 물 신앙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물은 인간 삶에 있어서 필수불가결의 요소이다. 물은 생명의 근원, 신성의 상징, 풍요의 상징과 관련되며, 고대로부터 인류는 다양한 신화와 신앙을 낳았고, 그것은 동서고금의 종교들에 있어서 의례에서 중요하게 반영되어 왔다. 한국에서는 물 신화에 이어서 정천 신앙과 정화수 신앙이 민중들 사이에서 보편화되었고, 한국 신종교를 개척한 동학은 이를 청수 신앙으로 총합하고 자리매김을 하면서 물이 갖는 신화와 신앙에 대한 비신화적 합리적 현대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청수는 법수, 봉록수, 천수, 생수, 생명수, 천신수 등의 이름으로써 다양화되었고, 각 신종교들은 각자 독특한 물 신앙을 계승해 오고 있다. 본 고찰에서 물 신앙은 이수와 치수의 범주로 구분된다. 이수는 물을 의례, 정화, 치병 수단 및 일상생활 제품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수에 적극적인 신종교로서는 동학 천도교, 수운교, 태극도, 증산도, 찬물교, 천부교, 승리제단, 대종교, 통일교, 갱정유도회 등이 있고, 소극적인 신종교는 원불교, 대순진리회, 금강대도 등이 있다. 이수는 천신, 산신, 수신, 화신, 조상신 등을 함의하는 물 신앙이다. 치수는 바다를 개척하여 식량 증식으로서 민중의 고통을 덜어주고 나아가서 인류로 하여금 기아로부터 벗어나게 하며, 해양 레저 스포츠 선도와 태평양 문명권 시대의 중심 역할을 한국 신종교가 하려는 적극적인 생활종교로서의 운동을 의미한다. 치수에 적극적인 신종교는 창교 당시의 원불교와 증산교에 이어서 현대에는 통일교가 그 맥락을 잇고 있다. 치수는 해양 신앙을 함의하는 물 신앙이다. 한국 신종교에 있어서 물 신앙은 이수와 치수의 측면에서 생명문화를 개벽하였던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지금도 큰 비중을 차지하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Water is indispensable to human society. So from ancient times it has been considered as the origin of life and abundance and as having the function of divinity and purification, and also has been used in various religious rites. The Water Faith of Korean New Religions has two paradigms; water-utilization for ceremony and ocean improvement. Having inherited the Jeonghwasu Faith which had been handed down from the old times, Korean New Religions tried to reform the society with the Cheongsu Faith, and it has continued up to now. Such a `Water Faith` reflects rites as the names of Jeonghwasu, Beobsu, Cheonsu, Saengsu, Bongloksu, Saengmyoungsu, and Cheonsinsu. The New Religions active in water-utilization in ceremony include Cheondogyo, Sooungyo, Taegeukdo, Jeungsando, Chanmulgyo, Cheonbugyo, Seunglijedan, Daejonggyo, Unificationism, Judogaengjeonghoe, and the New Religions inactive in it are Won-Buddhism, Daesunjinlihoe and Keungkangdaedo. The view of god such as heaven god, water god, fire god, ancestor god and so on, the thought of unity of heaven and earth and man, and immortality thought are inherent in the Water Faith. And the phenomenon to cure diseases with water is being supported by modern scientific view of value on water; yeukgaksu and possibility of feeling sympathy. So after this characteristic has cast off its enchanting elements it changes itself into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to future. As for ocean improvement Won-Buddhism was active as executing embankment construction in the initial period, but since then it has changed its activities to the fields such as education, charity, self-dependence and so on. But from the name of Ocean Providence, the time of birth to now, Unificationism has performed the ocean improvement business in the International Highway(Korea-Japan Undersea Tunnel), Bering Strait Tunnel, Marine Equipment Operation License acquisition, Marine Officer License acquisition and so on. Members who got the license will develop marine management(solution to food problem) and marine development(resources development, future energy) and leisure culture(boat, fishing) to contribute to realizing world peace. This marine fishery will be valued as a modernization of marine god faith. Korean New Religions has been kept strong Water Faith with dimension of water-utilization for ceremony and ocean improvement. It will be continued for the future and have main characteristic.

      • KCI등재

        칼빈과 통일교회의 신정공동체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13 신종교연구 Vol.29 No.-

        인간은 더불어 사는 존재이기에 공동체성을 선천적으로 갖는다. 인류사에서 다양한 공동체가 형성되어 왔고, 특히 신을 중심한 집단체제를 형성하는 속성을 가진종교에서 신정공동체의 이름으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칼빈은 성경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여서 하나님 나라를 이루기 위하여 신정공동체의 토대와 출발을 제네바에서부터 시작하였다. 비록 인구수는 많지 않았지만 그는 그리스도 통치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교회와 국가는 영적공동체 및 복지공동체로서의 관계를 가지며 동심원 형태를 갖는다. 기독교 신도들은 한 성도로서의 삶만이 아니라 국민으로서의 의무도 준수해야 하고, 관헌은 거룩한 통치자로서의 사명을 해야 하였다. 칼빈의 이념은 초기 미국 건국이념 형성에 기여하였고, 근대 서구 문화 형성에도 지대한 영향력을 미쳐왔다. 그가 의도한 제네바의 신정공동체 유형은 이후로 그리스도 정치의 실행을 위한 본보기가 되어 왔다. 통일교회는 구약과 신약을 이어서 성약 사상을 중심하고 신정공동체로서 천일국창건을 위하여 전력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확산된 축복결혼가정들이 천일국 국민으로서 노력하고 있다. 천일국 관헌들로서는 축복가정들이 주축이 된 신종족적 메시아, 평화대사, 평화경찰, 평화군 등이 있다. 이들은 ‘거룩한 통치자’로서 천일국의 형상적 패러다임 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이들의 자발적 봉사적 활동과 치리는 평화로운 질서 유지에 기여할 것이다. 천일국은 성약 말씀을 중심하고서 <선남선녀-축복가정-이상사회-이상국가-지구촌에덴동산-천주-천지인 참부모님-하나님>의 횡적 동심원들이 합쳐진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계에 있는 조상해원과 조상축복도 거행되어 왔다. 그리하여 천일국 국민은 지상에서 현존하는 인류는 물론 영계에 있는 모든 영인체들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는 지상과 영계를 아우르면서 미래의 희망으로 제시되고 있다. Human beings have been kept a community character which means to live together. Through long history there were diverse communities, especially most religions have been developed their own community or group system, that is Theocracy Community. Calvin started the establishment of God`s Kingdom on earth with basement of the Bible, at Geneva. Although about 13,000 citizens had lived there, he tried to establish heavenly city with enthusiasm. He thought church and state have a relationship as a spiritual community and welfare community, and magnified concentric circle paradigm. All christians should follow the God`s commandments and national duty as a citizen. Civil servants have to keep attitude as a Holy Governor. Calvinism has been adopted as a Ideology of the basement of America and the formation of European culture. His idea, Geneva Theocracy, has been understood as a model of Christocracy. Unification Church has been tried to establish Cheonilguk as a Theocracy which center is Completed Testament Ideology. It inherits the tradition of Old-New Testament concept. International Blessed families are living all around world as a member of Cheonilguk. Many people were chosen among them as a Cheonilguk governors; new tribal messiah, peace embassador, peace office officers, peace soldiers. They are recognized as a Holy Governor and can contribute the new paradigm formation of Cheonilguk. They will join a voluntary service and peaceful order. With Completed testament, Unification Church members could make a cone formation which gather some concentric circles; <Pure love young people-Blessed families-Ideal society-Ideal state-One world as a garden of Eden-Cosmos which combines physical world and spiritual world-Heaven and Earth True Parents-God>. They could join special ceremonies to liberate ancestors who are living in spiritual world and prepare own blessing for ancestors. Cheonilguk community, Theocracy Community, includes human beings who are living on earth and spiritual beings living on spiritual world. Cosmic Unification Theocracy Community, Cheonilguk, should combine physical world and spiritual world and would be understood as a alternative community concept.

      • KCI등재

        한국 신종교의 축제 문화 연구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3 No.-

        본 고찰은 21세기 이후로 축제 문화가 양산되는 상황에서 신종교가 본래적 축제 문화를 창안하여 제시해 보자는 것과 축제에 익숙한 현대인들에게 축제 문화를 활용한 포교 효과를 올리는 방안을 강구해 보려는 두 가지 목적을 갖는다. 세계의 국가들은 현재 거대한 다문화 공존 지구촌 건설을 위한 새 문화콘텐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사회는 축제 문화 홍수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다문화 축제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영성공동체를 추구하던 본래적 축제 모습은 사라져가고 상업성과 유흥성이 난무하고 있다. 그리하여 자칫 축제 난립이 국력 손실이나 물질제일주의 인간화에 부채질 하여 영성을 더욱 고갈 시킬 수 있는 역기능을 초래할 수 있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한국이 선진국 대열로 들어설 정도로 경제적 여유로움이 커지면서 국민들 사이에서 문화적 욕구가 강렬하게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자본주의 속성인 경제 목적 달성과 지방자치단체의 자주 자치적 의욕이 합하여서 세속화된 축제들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보국안민과 신문화 운동으로 사회 개혁과 발전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던 신종교의 개벽 정신을 이 시대에 되살려서 축제 문화에 건전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으며, 포교 효과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종교가 문화를 만들어 내는데 주도권을 갖던 기능을 회복하여서 제의(경건, 신비, 영성, 코스모스)와 놀이(자유분방, 흥겨움, 카오스)가 조화를 이루는 본래적인 축제 문화를 창안하여 미래의 다문화와 축제 사회를 이끌어가는 데 있어서 신종교가 명실상부한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신종교라는 개혁과 르네상스의 열정을 지속함으로써 신종교라는 이름에 어울리는 문화 개혁의 선봉이 되어야 할 것이다. 축제 문화의 관점에서 창시자의 탄생, 득도, 사망일을 기념하는 의식과 행사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며, 원불교의 대각개교절에 이은 `아하 Day`, 대종교의 개천절, 금강대도의 특별한 가무 공연, 통일교의 다문화 명절 행사 등이 새 축제 문화의 대안으로서의 가능성 및 포교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Je-u Choi insisted a new cultural revolution ; `people-nation-new culture`. He raised a torch, which fascinated Minjung, lower class people, gave them a new hope. It was the sign of Cataclysmic change of New Heaven and Earth. Although he was martyred by the innocence and inability government, Culture Revolution was spread whole country. Donghak and Chondogyo had the initiative for the new Korean culture. After that many new religions had risen and made their own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culture. They had key role to drive away Japanese militarism and created a new culture and social system. Through the long history, Korean New Religions affected Korean culture trend and made great result. But now Korea has many Festivals all over the country, usually developed by the local governments and companies, which eliminated the religious rituals, the core value of festival, in the name of folk festivals. Many of them, therefore, can affect the organization of non-spiritual community, which lead Korean to a secular humanization. Undoubtedly such a phenomena will bring about the crisis of spirituality community. Therefore Korean New Religions should try to develop new festivals and ideas, and how to spread them effectively cross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essential fact that religion should lead new culture, Korean New Religions should lead the future of Korea with new religious feasts cultures. Many modern people are familiar with festivals, so New Religions should have a attitude to approach and persuade them with new festival cultures, especially centering on some feasts of establisher`s birthday, the day of spiritual enlightenment, and death. I found a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new feasts cultures. For example, Won Buddhism has `Aha Day!` which celebrate the day of spiritual enlightenment with many citizens, Daejonggyo has special festival of the national foundation of Korea enjoying with many citizens, Kumkangdaedo has special songs and dances made by the second leader, Tongilgyo has 8 main feasts which has special abundant and international culture elements. Although there a weak concern about feast culture among Korean New Religions, some have a unique feast cultures, which can be the torch of new culture revolution. With them and another new feasts culture idea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real feast culture and lead Korean toward spiritual community, as New Religions`s founders already showed new culture concept to us.

      • KCI등재

        한국 신종교의 개혁사상과 다문화가정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1 No.-

        본 논문은 현대 한국 사회 속에서 다문화가정이 갖는 고통이 한국 신종교들이 창교될 당시의 민중이 겪었던 고통과 같은 맥락에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서, 신종교들이 인간존중 사상과 조화와 융합사상으로 사회개혁에 앞장섰던 전통을 현대에 계승하고자 한다. 특히 금년은 동학의 창교 15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해를 맞이하며, 또한 한국이 다문화가정을 중심하고 다문화민족으로 전환해야 할 중요하고도 문화적 위기를 맞이한 시점에서 신종교들이 가정문화 개혁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사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길게는 150년에서 짧게는 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신종교들이 창교 정신을 망각하여 다문화국가를 향한 개혁과 새로운 질서 체계 구축과 통합을 위한 사회적 패러다임의 재편에 앞서지 못한다면 현대인들로부터 외면당하게 될 것이다. 자칫 다문화가정을 중심하고 기성종교가 신종교가 되고 신종교는 노화된 종교로 전락할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때가 지금이다. 현대인들은 기성종교나 신라종교라는 명칭보다도 고통당하는 이들에게 다가가고 동참하며 개혁을 위하여 노력하는 명실상부한 현대적 신종교를 찾고 있다. 그러므로 경제적, 문화적, 교육적, 법률적인 측면에서 다문화가정이 겪고 있는 고통에 관심하며, 저들의 고통 너머에 한민족과 인류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과 장점이 있음을 중시하여서, 신종교들이 다문화가정을 중심한 새로운 가정문화 정책개발과 실천을 통하여 한국을 다문화국가로 개혁시키고 하나의 지구촌 구현을 향한 전진에 앞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신종교들이 추구할 새 가정문화 컨텐츠로써 신종교들 사이의 개방적인 교류 확대와 결혼 정책 등을 제시하면서 종교들이 먼저 실제적 다문화가정이 되거나 의식적 다문화가정이 되어야 할 것을 주장한다. 본 고찰을 위하여 신종교들 중에서 동학, 증산교, 원불교, 통일교를 선택하였다. Korean New Religions were appeared among the social confusion and pains of people occurred by the inflow of foreign countries and the corruption of Joseon dynasty, and finally bestowed national religion or people`s religion. Now, however, they have long history, from 50 to 150 years. We should remember that to keep the original reformative spirit of Korean New Religions is more important than long history. We should not satisfy with comfort and richness. Without having courage to devote ourselves to suffering people, New Religions would lose their reputation and honor. Therefore we should move the New Religion to True Religion which would be accepted by the citizen who are not concern the title but true and pure function of religion. In modern society, most of Multicultural Families still stay in the suffering states which are equal to the pains of people(Minjung) during the first establishment of New Religion, Donghak. But their sufferings have a potential power and should be used for the bright future, ideal world that all New Religions have been pursued as the concept of new heaven and new earth. The new concept of multicultural family would be developed by New Religions, which is summarized 10 items. Some of main ideologies of New Religions are Anthropocentrism, Harmony, and Confusion of Religions. And especially with the Inter-new religious marriage or visiting each other religious communities, the main idea suggested by this paper, New Religions can revitalize and achieve the original spirit of new religions that the establishers had already suggested. It could lead us a new huge family culture and the great one world, where human beings enjoy life together as a siblings, and pains could not be found there. Korean New Religions should be changed to World New Religions and True Religion, and after that should change Korea sustained by the old concept of blood lineage, homogeneous nation, and patriarchy to multicultural nation, and change world separated by boundaries between neighbor nations to One Great Family. It means that the common hope of Korean New Religions will be accomplished by Mun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통일교의 민족주의와 세계주의 융합 과정 연구 -창교자의 출생(1920)에서 창교(1954)까지-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를 맞이하여 세계화의 물결에 휩싸인 한국이 처한 다양한 모순들을 극복할 실마리를 신종교의 하나인 통일교로부터 찾아보려는 것이다. 한국 신종교들은 민중이 처한 고통스런 현실을 타개하기 위하여 종교적 차원에서 민족주의를 주창하였다. 조선 말기와 일제 압제에서 발생한 정치적·종교적·문화적 집단우울증에 빠진 민중들에게 희망과 행복을 제시하기 위하여 신종교는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민족종교로서의 위상을 갖고서 민족 갱생을 안내하였다. 암담하고 불안하고 절망스러운 현실을 넘어서 이상향이 펼쳐질 미래를 향하는 가교(架橋)로써 새로운 민족주의가 제시되었다. 한국사에서 정치적 민족주의가 이데올로기나 편협한 국수주의로 왜곡되던 경향과 달리 신종교의 민족주의는 한국인의 전통적 심성인 화합과 융합이 만드는 공존의 미덕을 계승하면서 세계주의로 승화하여 가해국과 피해국이 없이 모두가 화해하며 평화 속에서 공생하는 ``지구촌 공동체``를 향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고찰의 주요 연구 대상인 통일교는 신종교들의 정신을 계승하면서, 일제가 준 박해의 고통과 공산주의가 일으킨 동족상쟁의 전화(戰禍)를 극복할 새 이념으로서 축복가정 확대를 통한 민족주의와 국제주의와 세계주의가 결합된 축복민세주의(祝福民世主義)로 출발하였다. 창교자의 유년기와 청소년기에 경험한 민족적 슬픔 체험과 기독교적 회심의 종교경험이 창교의 기반을 민족주의와 국제주의와 세계주의로 융합시켰다. 종교는 인간이 처한 비실존적인 삶에 대한 총체적 반응이 되어 왔고, 앞으로도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국 신종교는 조선말기의 위기를 이끌었던 전통을 계승하여서 과거와 달리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모순을 갖고 있는 현 시대의 한국과 세계를 아울러 이끄는 세계적 신종교가 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교도 그런 과제 수행에 진력하고 있다. Most of leaders who had establish a new religion had experienced special diverse processes to reach the achievement of spiritual enlightenment, new revelation(s). Sunmyung Moon who had started Tongilgyo, 1954, and still respected as a founder also experienced such a processes to awaken new truth which is called Completed Testament. His mysterious experiences can be divided four steps ; lack of enlightenment-meet Jesus Christ(16-year old)-to get a whole new truth(25-year old)-meet Jesus Christ and USA army(31-tear old). Such a holy experiences were affected to and implicated in the foundation of doctrine. He had painful personal life and persecuted by many religious people as a misconduct leader in Korea, America and many other countries. But he insisted a new con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being as a True parents-True children. According to this truth, he emphasized to overcome the boundaries between countries, developed nations-underdeveloped countries, west countries-east countries. His idea can be defined ``natipolitanism with blessing`` which harmonizes complex definitions; nationalism, cosmopolitanism, one world under God, and cosmicism. This new paradigm can devote to solve the multiple conflicts; multicultural families problem, foreign laborers, confrontation of south-north korea, suicide, education, environment pollution, etc. Especially this concept can remove and overcome the nationalism crisis that spreads all around world. Actually many believers of Tongilgyo had participated ``Intercultural-International holy blessing ceremony``, and they try to establish peaceful world. They follow Moon`s teachings as a new idea to open the new heaven and new earth.

      • KCI등재

        외국신종교의 한국사회 이식과정과 그 의미(5) 재세례파 형성 및 한국 유입 과정과 신종교적 의의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0 No.-

        Anabaptist started trying to establish a pure Gospel community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Jesus Christ based on the New Testament. They rejected ideology of state church, infant baptism, violence and war, large church, hierarchy of priest, etc. But through long history Anabaptist has been understood as a nonbiblical religious and dangerous community. Now luckily they are understood as a new and fresh religious community. Futhermore they are attracting public attention, as a model of new religious denomination in multi- religious pluralism era. It will show a way which religion should follow in the future society. In Korea, Mennonite Central Committee helped Korea to overcome critical era, during the 6.25 Korean national war. They wanted to follow the way of Jesus Christ, and established small home church, vocational school for women and orphan, reconcile seminar, democratic community system, etc. Korean Anabaptist is growing in Seoul and Chooncheon. Now it tries to help other country all around world in the name of International Work Camp. Such a movement is being called as a new peace movement by modern religious groups. It can devote exportation of Korean culture in the midst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ge, and change the negative thought against religion to positive situation.

      • KCI등재

        동학 천도교의 예복 제정 역사와 의의

        조응태 ( Eung-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17 신종교연구 Vol.36 No.-

        동학 천도교는 한국 신종교의 효시로 주지되며, 특히 신문화로서 사회개혁에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그 중에서 예복 제정 역사는 또 다른 큰 의의를 갖는다. 종교공 동체에서 예복은 구성원들의 정체성 강화, 사회적 이미지 제고, 실용성 등의 차원에 서 중요하고 유익한 것이다. 동학 천도교의 예복 제정 역사를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은도시대에 최시형이 청의흑관을 갖춘 최제우를 만났고, 이것이 예복 결정에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둘째, 현도시대의 흑의단발은 조선 민중의 의복문화에 전환점을 제공하였다. 검은색의 옷이 예복과 일상복으로 중첩적으로 사용되었다. 셋째, 일제 및 한국 정부가 정한 흑색 법관 복장을 수용하였다. 넷째, 포덕 154주년(2013년)에 교단 차원에서 심도있게 논의하여 마침내 2014년 4월 5일, 최제우가 득도한 기념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교리 반영, 한국적 아름다움, 실용성 등을 제고하여 집례복, 청수봉전복, 교역자복, 수련복 등의 4가지를 최종 결정하였다. 동학 천도교가 한국의 신종교 효시로서 의의를 갖고 왔는데 비하여 예복 제정은 늦었지만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제안사항이 있다면, 글로벌 시대에 맞게 일상복도 좀 더 연구를 하여서 대중화 세계화하기를 바란다. 의복과 예복을 통하여 한국 신종교의 의의와 가치가 세계로 확산할 전환점을 만들어 주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enactment history of ritual dress in Donghak and Cheondogyo. Generally speaking, Donghak and Cheondogyo have been made important role among the Korean religious history as a pioneer of Korea New Religious movement. They introduced a new religious culture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Especially they innovated a new dress culture and ritual dress. A ritual dress has a one of the main concepts to introduce religious culture and doctrine. Ritual dress, one of the religious symbols, strengthen the identity of religious community and social image, practicality. Religious community, therefore, should improve new concept and cultural movement continually. There are four steps to adopt ritual dress of Donghak and Cheondogyo. First, in Eundosidae, the era of hidden way, among Je-u Choe who was known as a great master founder and Si-hyeong Choe who was second supreme leader, Blue ritual dress and black costume hat was adopted. Si-hyeong Choe met his master Je-u Choe between asleep and awake. The master put on blue dress and black costume hat. Second, in Hyeondosidae, the era of the transparent way, Byeong-heui Son who was the third supreme leader of Cheondogyo commanded to put on black clothes and cut long hair short. It gave a chance to renovate a new clothes culture. Black clothes was used in ritual dress and daily dress. Third, Cheondogyo adopted Japanese black court dress as a ritual costume dress.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most of new cultures were adopted through the Japanese culture. And it adopted Korea government black judiciary court dress. Of course there were some argument among the Cheondogyo believers, but they could not find another alternative. And other religions also adopted a black ritual costume dresses. It was nonavoidable social situation as a lower cultures. Forth, the headquater of Cheondogyo decided a new four kinds of ritual costume dress; special designed for a officiating minister, a woman who offering clean water on Siil worship(sunday worship), an emcee person, a training people. This new ritual dress regulation was started at April 5th, 2013, which was a ceremonial day to congratulate the day of awakening truth by Je-u Choe, April 5th, 1860. There are some tasks to accompany the rapid change trend and global mainstream. I hope the Cheondogyo will keep the pioneer to cultivate new religious cultures in the future. It would have a important task to promote Korea new religious value and culture all around world with a daily dress which designed and proud Korean beauty and traditional social morals and good manners.

      • KCI등재

        종교평화를 위한 한국 신종교문화 비전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4 No.-

        만인이 희망하는 평화세계 구현을 위하여 먼저 종교문화의 창안과 공유를 통하여 종교평화가 이뤄져야 한다. 한국 신종교는 창교 당시부터 새로운 문화콘텐츠로써 민중에게 구원과 해방의 소식을 전해주었다. 그런 정신을 21세기 여명기에도 재현해보는 것은 의미가 깊은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역사에서 종교가 폭력의 원천지가 되어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경우가 많게 된 현대 사회에서 평화를 위한 종교문화비전창달은 긴급한 요구사항이다. 종교문화 공유를 통하여 공생공영의 건강한 공동체를 이룰 수 있고 그것은 평화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다. 본 고찰에서는 한국 신종교문화 전승의 입장에서 현시대 상황이 요구하는 주제를 선택하였다. ‘새천년 종교인 헌장’(2003)과 ‘종교평화 헌장 제정.선포’(2016)에서 중첩되는 주제가 문화로 나타났고, 이를 토대로 본 고찰에서는 한국 신종교문화 비전을 찾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 내용은 문화와 관련하여서 6개의 소주제로 다루었다. ‘제2의 축의 문화, 다문화사회, 생명문화, 문화올림픽, 경제영성문화, 문화비평’ 등이다. 21세기를 맞이하여서 평화를 위한 주요 요소로서의 위상을 한국 신종교문화가 차지하여서 신종교로서의 면목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종교평화공동체 구현으로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한국 신종교가 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던 창시자의 자세를 계승해야 할 것이다. To establish peaceful world, we should realize religious peace through a vision of religious culture. Korean New Religions started with a new culture view point called Gaebyuk, which gave Minjung salvation and liberation. So it will be a meaningful effort to research this title. We should correct misunderstanding of religion that is known as a violent ideology. The original role of religion is to become a foundation for peaceful world. We can establish a resonable community through live together and mutual prosperity. The role of religion should be more important thing for the 21century, peace world. Above all peace is come from religion because every religion pursued ideal world, which is now called peaceful world. This paper, therefore, suggests three steps; religious culture → religious peace → world peace. Korean new religions have a abundant concept of new culture for future society. Such a ideas can lead Korean peaceful society and should be appealed by us. We have mission to make Korean religious culture as world religious culture with a concept of ‘World in Korea with Korean religious culture’.

      • KCI등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남북통일론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07 신종교연구 Vol.16 No.-

        Family Federation was established by Sun Myung Moon, which has accepted the ideal and diverse activities of the Unification Church. Although Family Federation has some similar interpretations of the Christianity, it has its own conceptions. It emphasizes that Korea has a important role for the reunification of South-North Korea and World, and continuously has been sponsored diverse activities. The Godism is a new ideology that can combine democracy and communism. International Holy Blessing Marriage Families have been devoted themselves for the reunification and future of Korea, and especially Japanese members supported Korea Family Federation with money, American religious leaders participated the program of the education and lecture of Godism. It means that Family Federation has a wisdom to use foreign forces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which brings much practical profit to us. Such a worldwide movement would be connected to the world peace. And Family Federation has many institutes; Little Angels, Peace Cup Football festival, CAUSA, Washington Times, Segye Ilbo etc. They have been supported diverse activities for the reunification of South-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