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倭 山田寺址에서 본 百濟의 建築文化

        조원창 한국문화사학회 2006 文化史學 Vol.0 No.26

        The site of Sanjeonsa temple(山田寺址) in Japan is a clan temple which was built in 641 by the prayers of the Soa(蘇我倉山田石川麻呂) presumptively of Baekje origin, and it shows the architecture culture of Baekje. In other words, the architecture techniques of Baekje, observed from the ruined temple site in Yongjeong-li, Mireuk temple site, Jeonglim temple site, Neung temple site, and Keumgang temple site, are implied in the arrangement, the axis part under the basic platform, and the platform of the temple site on a field in the mountains. The commonness of the architecture of Baekje and that of Japan shown from this proves that the two countries had constantly exchanged their culture until after the second quarter of the seventh century like they had done before. It also verifies that the active subject of the exchange was Baekje. However, after the first half of the seventh century, Japan started its cultural interchange with Goguryeo, Silla, and China. Therefore, they might have influence on the site of Sanjeonsa temple(山田寺址). This is a topic for later discussion. 倭 山田寺址는 백제계로 추정되는 蘇我倉山田石川麻呂의 발원에 의해 641년에 창건된 氏寺로 여기에는 백제의 건축문화가 내포되어 있다. 즉, 용정리 폐사지를 비롯한 미륵사지, 정림사지, 능사지, 금강사지 등에서 살필 수 있는 백제의 건축기술들이 산전사지의 가람배치, 기단 아래의 축기부, 기단 등에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백제와 왜의 건축문화 상통성은 한편으로 7세기 2/4분기 이후까지 양국의 문화교류가 이전처럼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한편, 그 전파 주체가 백제였음도 알게 한다. 하지만 7세기 전반 이후 왜는 백제뿐만 아니라 고구려, 신라, 중국 등과도 교류를 맺고 있어 산전사지에서 이들 문화의 존재 또한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해선 차후의 논제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百濟 二層基壇 築造術의 日本 飛鳥寺 傳播

        조원창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2 百濟硏究 Vol.35 No.-

        백제는 威德王 35년(588, 일본 崇峻天皇 元年) 3월 寺工 太良末太·文賈吉子를 瓦博士, 露盤博士, 畵工 등과 함께 일본에 파견하였다. 이는 당시 야마토 朝廷의 실권자였던 蘇我馬子의 요청에 의한 것이었다. 이 같은 백제의 전문 장인집단 파견으로 인해 일본은 최초의 사찰인 飛鳥寺를 창건하게 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호남지역 고려사지의 가람배치와 조영적 특징

        조원창 한국중세고고학회 2022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2

        In the Honam area, while there are temples that have continued since its foundation, such as Gurye Hwaeomsa Temple, Yeongoksa Temple, Haenam Daeheungsa Temple, Namwon Silsangsa Temple, and Gimje, Geumsansa Temple but there are also considerably temple sit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Among them, the Goryeo temple sites representing the Honam area are Hwasun Unjusa Temple Site, Namwon Manboksa Temple Site and Silsangsa Temple Site, Gangjin Wolnamsa Temple Site and Wando Beophwasa Temple Site. Also, The traces of Goryeo Temple Site can be seen in various places in Iksan, Mireuksa Temple Site, but it was excluded from the paper in that it was found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re are various characteristics in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 of Goryeo temple site in Honam area. The first is diversity. In other words, there are Pattern of Single Pagoda-Image Hall (one pagoda with one image hall), Two Pagoda- Image Hall (two pagodas with one image hall), Single Pagoda-Two Image Hall(one pagoda with two image halls), Single Pagoda- Three Image Hall (one pagoda with thee image halls) and No pagoda. In addition, the change of status through the location of the stone lantern, and among the three main temples, the use of the western part of the temple as a main Buddhist Temple, rather than the middle of the three temples, are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can not be foun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 Unification Silla period. Second, it is a large fence that can be seen in Wando Buddhist temple site. This can be judged by the fact that the outskirts of the temple is surrounded by a perfect square, which implies the history, functionality, and religiosity of the Goryeo Dynasty's War against the Mongolian Invasion, which can not be seen in the Buddhist temple site of the previous period. In particular, the fence, which is about 120-150cm, is so large that it is difficult to see it in other Goryeo temple site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Temple Site in Honam area can be seen in Hwasun Unjusa Temple Site (Yonggang-ri Building site). This was identified as a Won<chamber院> in the late Goryeo Dynasty compared to the previously excavated ruins of Oeseonmi-ri in Uljin. In addition, there are considerably Goryeo temple sites in Honam area. However, most of them are limited to only a few part of the investigation, such as Yeongam Saja Temple Site, so it is not possible to examine the detailed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 Therefore, it is not easy to grasp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uddhist temple site, there are many things to think about at the excavation site than other ruins. In this regard, architectural archaeological participation is urgently required. 호남지역에는 구례 화엄사나 연곡사, 해남 대흥사, 남원 실상사, 김제 금산사 등과 같이 창건 이후 법등이 이어져 내려오는 경우가 있는 반면, 사지로 전해오는 것들도 적지 않다. 그 중에서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고려사지로는 화순 운주사지, 남원 만복사지·실상사지, 강진 월남사지, 완도 법화사지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익산 미륵사지의 경우도 고려사지의 형적을 여러 곳에서 볼 수 있지만 이의 창건이 삼국시기라는 점에서 본고의 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호남지역 고려사지는 가람배치에서 여러 특징이 간취되는 데 첫 번째로 들 수 있는 것이 바로 다양성이다. 즉 일탑일금당식을 비롯한 쌍탑일금당식, 일탑쌍금당식, 일탑삼금당식, 무탑식 등을 살필 수 있다. 이 외에도 석등의 위치를 통한 위상 변화와 삼금당 중 중금당이 아닌 서금당을 주불전 등으로 사용하는 사례는 삼국∼통일신라시기 사지에서 볼 수 없는 특징적인 요소로 파악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완도 법화사지에서 볼 수 있는 대형의 담장시설이다. 이는 사찰 외곽을 완전 방형으로 감싸고 있는데 이전 시기의 사지에서 볼 수 없는 대몽항쟁이라는 역사성과 기능성, 종교성 등이 함축된 유구로 판단해 볼 수 있다. 특히 120∼150cm 정도 되는 담장체는 다른 고려사지에서 보기 힘들 정도의 넓은 규모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호남지역 고려사지에서 살필 수 있는 특징은 화순 운주사지(용강리 건물지)에서 볼 수 있다. 이는 기존에 발굴된 울진의 외선미리유적과 비교하여 고려 후기의 원(院)으로 파악하였다. 이외에도 호남지역에는 고려사지가 적지 않게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영암 사자사지와 같이 일부분에만 조사가 국한되어 자세한 가람배치를 살필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축조기법이나 특징들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아울러 사지는 여느 유적보다 현장에서 고민할 것이 매우 많다. 그런 점에서 건축고고학적 참여가 시급히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백제시대 부여지역 저습지에 조성된 유적에서 나타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 연구

        조원창,Cho, Weon-Cha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건축역사연구 Vol.19 No.6

        King Seong carried out the large-scale construction transferring the capital from Wungjin (Gongju) to Sabi (Buyeo) in 538. But because most of the Buyeo area was the low swamp in the time, it needed above all to form a site before transferring the capital. Until recently, in addition to the scientific excavation, the relief excav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 or the formation of road were conducted on many sites in the Buyeo area. As a result, many remains which were formed on the low swamp including the temple site of Neungsan-ri, Dongna Castle, the remains of Ssangbuk-ri (280-5 Bukpo, Hyeonnaedeul) and the remains of Gua-ri were identified. Also in these remains, the various engineering construction methods irrespective of the nature of remain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oft ground reinforcement as follows: mattress method of construction, pile designation, stone alignment, filing of decomposed granite soil, culverts and storage tanks. Especially, the mattress method of construction and the pile designation are thought to be the traditional engineering construction method at least in that they are appeared since the Three Han Sates era. And these soft ground construction methods had an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reservoir in Japan at the time. In the future, the construction method for soft ground reinforcement shall be concerned and studied further in the architecture and the civil engineering as well as the archeology.

      • KCI등재

        웅진천도후(熊津遷都後) 백제(百濟) 와건물(瓦建物) 적심토(積心土)의 편년(編年)과 축조기법(築造技法)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硏究)

        조원창,Cho, Weon-Cha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07 건축역사연구 Vol.16 No.3

        Jeoksimto which was build up as the reinforcement establishment made with the soil under the cornerstone in the site of tile-capped building is the representative construction technique which become popular in the Sabi capital era after the Wungjin capital era. Especially from the fact that no site of tile-capped building with this Jeoksimto has been found in the Silla area, we can see the originality Baekje technique. We can analogize the specialization of Josagong (造寺工) (craftsman building the temple) and the diversity of technique, on the basis of the technique raising the ground level which is different with the middle gate site of Neung-sa and the Hall enshrining Buddha site in Buyeo. Moreover, we can have the confidence the dispatch of craftsman and the transmission of building technique from the Buyeo area to the Iksan area through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Jeoksimto in both area are almost the same. However the concerns in the construction archaeology are necessary because almost no study for Jeoksimto has been conducted and the term of Jeoksimto also is unfamiliar even if excavation of Baekje Jeoksimto in the several remains.

      • KCI등재

        몽촌토성 출토 전 백제와당의 제작주체 검토

        조원창 한국고대학회 2008 先史와 古代 Vol.29 No.-

        A various types of pattern such as the diamond shape, the lotus flowers including the branch pattern are caved on the known Baekje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Mongchon Castle. Of these types of roof-end tiles, the branch-pattern roof tiles only have a close connection with the roof samples excavated from Pungnap Castle. But the earthenware and the building sites of Goguryeo style show the possibilities that the Goguryeo roof tiles may be collected from this castle. The detailed patterns such as diamond shape and lotus flower have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not found in Backje or Shilla in the same period.But these patterns found easily in the Goguryeo roof-end tile show that these roof tiles are presumably the Goguryeo roof-end tiles manufactured with the roof tile manufacturing technique of Goguryeo. Hereafter it is believed to need the review on the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the Han River basin and the vicinity of Seoul. 몽촌토성에서는 백제작으로 알려진 다양한 문양의 능형문와당, 수지문와당, 연화돌대문와당 등이 출토되었다. 이들 중 수지문와당은 몽촌토성과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풍납토성에서도 검출된 바 있어 백제작으로 보는 데에 큰 이견이 없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능형문와당과 연화돌대문와당은 그 동안 풍납토성을 비롯한 웅진기의 와당에서도 전혀 검출되지 않아 이의 국적을 백제로 정함에 많은 의문이 있다. 특히 몽촌토성에서는 많은 양의 고구려토기와 건물지 등이 확인된 바 있어 출토 와당의 국적을 선정하는데 더욱더 어려움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능형문와당과 연화돌대문와당은 적어도 5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백제 및 신라에서 전혀 살필 수 없다. 반면, 고구려의 국내성 및 평양지역 주변에서는 귀목형의 자방, 자방외곽의 원권대, 판구 외곽의 원권대, 2-3조의 양각대 등 두 와례에서 보이는 와당 요소를 어렵지 않게 살필 수 있다. 따라서 몽촌토성에서 검출된 능형문와당 및 연화돌대문와당은 고구려의 제와술로 제작된 와당임을 추정해 볼 수 있겠다. 향후 한강유역에서 수집되는 와당의 검토를 통하여 건물지의 국적과 축조기법 등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서천읍성의 축조와 조성기법

        조원창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

        서천읍성의 축조는 서천지역이 서해안의 관문이라는 지정학적 측면에서 제기되었다. 이는 특히 영중추원사 최윤덕(崔閏德)과 좌찬성 신개(申槪) 등에 의해 주장되었다. 그 결과 서천읍성은 둘레 2천2백65척,높이 9~12척, 여장 높이 3척, 적대 14개소, 문 2개소, 여장 5백개, 우물5개 등을 갖춘 치소성으로 조성되었다. 문헌기록으로 보아 서촌읍성의시축은 세종 20년(1438) 혹은 그 이전으로 파악되고, 이의 필축은 문종1년(1451) 이전으로 파악된다. 최근 서천읍성에 대한 발굴이 동문지 및 성벽, 해자 등을 중심으로진행되고 있다. 동문지는 개거식으로 파악되어 이미 문루가 완공된 상태이다. 특히 문구부 전면으로 전구부가 축조되어 조선 전기의 보령읍성 남문, 남포읍성 남문, 당진 면천읍성 남문 등과 같은 구조를 보이고있다. 성벽의 내벽은 계단식으로 조성되었으며, 이와 접해 내탁이 이루어졌다. 특히 경사내탁의 하단부는 성토된 토양을 역전시켜 토양이 경사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발굴조사를 통해 드러난 서천읍성의 성과는 바로 해자의 존재이다. 이는 문종실록에 해자가 없다는 기록으로 보아 후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자 내부에서는 목익흔이 발견되어 부산 동래읍성이나 보령 남포읍성과 같은 구조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발굴조사 과정에서 치성, 수혈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후자는 성벽과 해자 사이에서 내외 2열로 조사되었다. 이의 성격은 현재정확히 알 수 없지만 함정이나 목책과 관련된 유구로 추정되고 있다. 향후 서천읍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계속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축조기법과 새로운 유구가 확인될 것이다. 이에 대해선 앞으로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