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콜로이달 리쏘그래피를 이용한 건식부착물 제작

        조영삼(Young-Sam Cho),박현하(Hyun-Ha Park),김재현(Jae-Hyun Kim),김완두(Wan-Doo Kim)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5

        Nano/micro column-array structures are usually suggested as dry adhesive structure due to enlargement of contact area between dry adhesive structure and substrate. For the fabrication of column-array structure, UV lithography, molding, and etching techniques are adopted. Because the critical scale of dry adhesive structures exists from hundreds nanometers to tens micrometer, every technique needs expensive mask or mol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colloidal lithography, that is, a well-known etching technique using colloid as mask could be a promising fabrication technique for the dry adhesive structure with inexpensive mask.

      • KCI등재

        건식부착물 제작에 대한 개관

        조영삼 ( Young Sam Cho ) 한국고무학회 2009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44 No.2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명체 중 몇몇은 벽이나 천장을 자유자재로 걸어다니거나 뛰어다닌다. 이러한 생명체중 대표적으로 Tokay Gecko는 그 발가락 표피에 수십억개의 주걱모양의 나노헤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나노헤어는 부착하고자 하는 표면과의 원자수준의 끌어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 힘을 이용해 접착제 없이 부착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최근 7~8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이를 모방한 건식부착물의 제작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의 개관을 통해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In nature, some creatures have the ability to walk vertically or upside down on various natural surfaces. One of them, Tokay Gecko has billions of nano-hair at the epidermis of its digital. These nano hairs makes atomistic attractive force to the surface, therefore, it could walk and run on the vertical or upside surfaces. Recently, many researchers tried to fabricate the dry adhesive structure mimicking the nano-hair structure. in this study, I tried to survey these studie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future fabrication works of dry adhesive structures.

      • 요소망 구성이 편리한 3차원 MLS 기반 변절점요소 개발

        조영삼(Young-Sam Cho),박종연(Jong-Youn Park)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In this study, we developed 3D MLS-based variable-node elements for easy meshing. These elements should be derived from 2D MLS-based variable-node elements and would be utilized as key elements of easy meshing technique we proposed. Using developed 3D MLS-based variable-node elements, we demonstrated several examples having complex configurat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shing technique. Moreover, we compared with the stress results of our model and conventional one.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이 표면행동 및 내면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역할

        조영삼(Cho, Young Sam),이영우(Lee, Young Woo)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서비스 근로자를 대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표면행동, 내면행동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리더십과 감정노동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다양한 리더십 행위를 다루어 왔지만, 실제 현장에서 고객들과의 접점에 있는 서비스 근로자들에게 가장 필요할 수 있는 권한위임에 토대를 둔 임파워링 리더십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간과하였다. 또한 서비스 근로자들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는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감정노동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긍정심리자본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원보존이론에 기반하여 임파워링 리더십이 표면행동 및 내면행동에 미치는 차별적인 효과와 그 심리적 메커니즘으로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행위로부터 많은 자원을 보유하게 된 부하직원에게 표면행동은 내면행동에 비해 더 나은 감정조절전략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긍정심리자본에 기반한 긍정적인 정서와 인지적 유연성은 부하직원의 정서적 상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표면행동보다는 내면행동을 취할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과 표면행동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내면행동과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역시도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내면행동의 정(+)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표면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역할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감정노동 연구분야에 대한 이론적 기여점과 서비스 근로자들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for service workers. Although prior literature has paid attention to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leadership styles, they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empowering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service worker. Also, positive energy is essential to the service worker. Nevertheless, there were few studies investigating the psychological capital as a psychological resource for emotional labo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he two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as a mechanism in the relations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More specifically, deep acting would be better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an surface acting to the subordinates who gained abundant resources from empowering leadership behavior of their leader. Further, positive affectiv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based on psychological capital could lead emotional status of subordinates to the desired direction. Thus, they are likely to take deep acting rather than surface acting. The results show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was not related to surface acting while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deep acting. Empowering leadership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capital. Furthermore, psychological capital fu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deep acting.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surface acting. The findings provide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e research area of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emotional labor and the managerial implication for service worker.

      • KCI등재

        한국과 싱가포르 종업원들의 상사, 동료, 부하에 대한 집단주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영삼(Cho Young Sam),신만수(Shin Mann So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mpact of employees' collectivistic orientation for supervisor, colleague, and subordinat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 and Singapore. According to Hosfstede(1980) and House et al. (2004), the two countries have relatively high collectivistic orientation and the levels are fairly similar. Also, Korea and Singapore in the East Asian region are traditionally rooted in Confucianism. Nevertheless, the two countries are quite different for race, ethnicity, national economy, and unemployment rate.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stic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those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perspectiv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ectivistic orientation for supervisor wa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both country samples. However, the collectivistic orientation for colleague was positively related to affective commitment only for Korean sampl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collectivistic orientation for subordinate was negatively related to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s in Korean sample.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the collectivistic orientations for colleague and subordinate in Singaporean sample. Second, the collectivistic orientation for supervisor was positively related to all the three face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s for the two countries based on Confucianism. Third, Singaporean employees' levels of collectivistic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relatively lower than Korean employees due to the ease of switching jobs.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managers in human resource department. 본 연구는 한국과 싱가포르 종업원들의 상사, 동료, 부하에 대해 느끼는 집단주의 성향이 그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Hofstede(2001)와 House et al. (2004)의 연구에 따르면 두 국가는 문화적으로 집단주의 성향이 높고 그 수준도 상당히 유사하다. 또한 두 국가는 동아시아권에 속하며 유교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사회ㆍ경제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두 국가는 인종, 민족정서, 국민경제수준, 실업률 등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사한 문화적 측면과 이질적인 사회ㆍ경제적 측면의 관점에서 집단주의 성향과 조직몰입의 관계 및 수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에 대한 집단주의는 한국과 싱가포르 두 국가 모두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하지만 동료에 대한 집단주의 성향은 한국에서만 정서적 몰입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상한 바와 달리 부하에 대한 집단주의 성향은 한국 종업원들의 정서적, 근속적 몰입과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싱가포르에서는 동료나 부하에 대한 집단주의 성향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유교사상에 기반하고 있는 두 국가에서 윗사람, 즉 상사에 대한 집단주의 성향은 종업원들의 정서적, 근속적, 규범적 몰입 세 가지 차원 모두와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상대적으로 실업률이 낮아 이직이 용이한 싱가포르 종업원들은 한국에 비해 조직 내 구성원들에 대한 집단주의 성향 수준이나 개인의 조직몰입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국적기업의 인사관리정책 실무자나 관리자들에게 한국과 싱가포르 종업원들에 대한 차별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변형률에 의한 광학결정의 밴드갭 수정

        조영삼(Young-Sam Cho),전석기(Sukky Jun),김성엽(Sung Youb Kim),임세영(Seyoung Im) 대한기계학회 200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3 No.11

        Strain-induced bandgap tuning of 2D silicon-based photonic crystals is performed using a real-space computation of band structures. We have proved that the uniaxial tension mode is more effective for bandgap tuning than both pure and simple shear deformations. We further verify that these bandgap modifications rely on the deformation-induced distortion of interfaces between inclusions and matrix. Our numerical results strongly imply that the real-space technique is indispensable for the accurate calculation of strained photonic bandgap materials.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비교

        조영삼 ( Young Sam Cho(first Author) ),신만수 ( Mann Soo Shin(corresponding Author)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5 國際經營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리더십 유형이 그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문화에 따라 선호되는 내재적 리더십 이론(culturally endorsed implicit leadership theory)을 기반으로 문화적 차이에 따른 리더십 효과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하나의 새로운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Bass(1985)에 따르면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리더십 유형 사이에는 정의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면 House(1996)는 종업원들의 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에 거래적 리더십은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제안하며 Bass(1985)의 주장에 반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문화적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 종업원 315명과 미국 종업원 181명을 그들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에 따라 네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 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 종업원들의 경우에는 네 집단 중 자신의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 높다고 느끼는 집단 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미국 종업원들의 경우에는 자신의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변혁적 리더십은 높고 거래적 리더십이 낮다고 느끼는 집단 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좀 더 명확히 살펴보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다양한 하위차원들 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한국 종업원들에 대한 분석결과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에 대해 그러한 하위차원들은 대부분이 상호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종업원들에 대한 분석 결과는 하위차원들 간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한국과 미국 종업원들이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에 따라 관리자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리더십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wo leadership styl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and job satisfaction (JS) are compared across countries. Based on culturally endorsed implicit leadership theory (CLT), we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a two-by-two matrix model to identify differences in leadership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cultural context. Bass (1985) argu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FL) is built on a bas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TSL); therefore,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may exist between these two leadership types. However, House (1996) challenged that argument by insisting that TSL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employee outcome.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SL may differ depending on the culture.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four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of subordinate workers (315 Korean and 181 U.S. employees) of TFL and TSL styles showed highest values for both OC and JS in the high-TFL and high-TSL groups in the Korean sample, while values for the high-TFL and low-TSL groups were highest for U.S. employees. To elucidate these findings further,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ous subdimensions of TFL and TS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FL and TSL had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OC and JS in Korea. However, no such moderating effect was evident in the U.S. sample.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two-by-two matrix.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how managers can lead Korean and U.S. employees more successfully.

      • 유효강성을 줄인 새로운 형상의 건식부착물 제작

        조영삼(Young-Sam Cho),정대환(Dae-Hwan Jung),한혁섭(Houkseop Han),김완두(Wan-Doo Kim) 대한기계학회 200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7 No.5

        In the fabrication of dry adhesive structure, increasing contact-points or contact-area is the primary goal because the adhesive force grows in proportion to the contact-area. The simplest way to extend the contact surface is the fabrication by using soft materials. However, the column-array structure could confront the matting phenomenon which columns are stuck together. Therefore, we need a novel design to reduce the effective stiffness with adequate stiff materials like a gecko’s setae. In this study, we propose a novel design for the dry adhesive structure. Moreover, we analyzed whether the adhesive structure conforms the rough surface sufficiently through finite element method adopted the non-bonding interaction as the body force. Also, we fabricated the novel structures via UV lithography and some techniqu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adhesive force of the novel structures.

      • KCI등재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의 매개역할 및 여가활동의 조절역할

        조영삼(Cho Young Sam),신종식(Shin Jong Sik) 한국인사관리학회 202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위가 부하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의 심리적 메커니즘으로서 부하의 직무소진을 고려하고, 직무소진과 일-가정 갈등 및 촉진 관계에서의 조절변수로서 부하의 여가활동에 주목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부하의 다양한 태도 및 성과 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고, 몇몇 연구자들은 비인격적 감독이 가정 영역에 미치는 전이 효과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일과 가정 양립의 중요성과 상사 갑질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증대됨에 비해 이를 고찰한 국내 연구는 거의 드물고, 일-가정 갈등 및 촉진이 한 연속선상의 극단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가정 촉진에 대한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력 검증은 간과되어 왔다. 특히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으로 인한 여파가 부하의 가정 영역에 이르는 과정에서 그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자원 모형 관점에서 자원보존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세 가지 교차 영역 즉, 직장 영역에서 비인격적 감독과 직무소진을 자원 손실의 원인과 과정으로 간주하고, 가정 영역에서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이 자원 손실의 결과이며, 개인 영역에서의 여가활동이 직무소진으로 인한 자원 손실의 보충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기혼 근로자 150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인격적 감독은 일-가정 갈등과는 정의 관계, 일-가정 촉진과는 부의 관계를 보였다. 아울러 직무소진은 비인격적 감독과 일-가정 갈등 및 촉진 각각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소진에 대한 여가활동의 조절효과는 일-가정 촉진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도가 낮은 그룹에서는 직무소진과 일-가정 촉진이 부의 관계를 나타낸 반면 여가활동 참여도가 높은 그룹에서는 그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비인격적 감독과 일-가정 갈등 및 촉진 관계에서 직무소진과 여가활동을 함께 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결과도 일관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과 가정 간의 교차 영역에 대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mediating role of job burnout and moderating role of leisure activity in the relation.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e negativ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attitude and outcome variables. Several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the spillover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to subordinate’s home domain. Nevertheless, few domestic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Furthermore, verifying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work-family facilitation has overlooked. We have especially limited knowledge about the solution alleviating subordinate’s job burnout resulted from abusive supervision. Thus,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we suggest and test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We regard abusive supervision and job burnout in work domain as source and process of resource los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in home domain as results of resource loss, and we expect that leisure activity in personal domain would serve as a supplement to the resource loss due to job burnout. Survey results from 150 married subordinates show that abusive supervi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while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facilitation. Also, job burnout significantly mediated abusive supervision and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respectively.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y with job burnout was significant only for work-family facilitation. The results for moderated mediation model considering both job burnout and leisure activity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show consistency. Drawing up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discussed informat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