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난소에 발생한 뮬러리안 점액성 경계성 종양 2 예

        조성범(Sung Bum Cho),이은주(Eun Ju Lee),박창수(Chang Soo Park),배덕수(Duk Soo Bae),이제호(Je Ho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Borderline m llerian mucinous tumor of the ovary is the disease entity that was recently identified. Ovarian mucinous cystadenoma of borderline malignancy that contains foci of intestinal differentiation is well recognized. In contrast, m llerian mucinous borderline tumor has a mucinous epithelium of endocervical type which does not show intestinal differentiation and papillae architecturally similar to those of serous borderline tumors. Clinically, m llerian mucinous borderline tumor present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intestinal mucinous borderline tumor. So far as now, none had died of disease recurrence. We report two cases of m llerian mucinous borderline tumor of ovary. Patients age was 24 and 29 years, and their FIGO stage was Ib and Ia, respectively. None of them showed any evidence of recurrence.

      • SCOPUSKCI등재

        혈액담즙증을 동반한 간외담관 소세포암종

        조성범 ( Sung Bum Cho ),박선영 ( Sun Young Park ),주영은 ( Young Eun Joo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4 No.3

        We report a case of small cell carcinoma of extrahepatic bile duct presenting with jaundice and hemobilia. A 59-year-old woman was admitted due to right upper quadrant pain and jaundice. A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2 cm sized mass in the extrahepatic bile duc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revealed bloody discharge coming out of the papillary orifice in endoscopic view and a dilated extrahepatic bile duct with multiple irregular filling defects in cholangiogram. A coronal T2-weighted image revealed a hyper-intense mass at extrahepatic bile duct. Laparotomy was performed, and pathologic examination of resected specimen showed tumor cells having round to oval nuclei with coarsely granular chromatin and scanty cytoplasm, which were immunoreactive for synaptophysin and chromogranin A, compatible with the diagnosis of small cell carcinoma. The small cell carcinoma of bile duct, despite its rarity, should be considere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causes for obstructive jaundice and hemobilia.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186-190)

      • 아토피피부염 통합치료 프로그램에서의 심리적 개입의 실제

        조성은 ( Sung Eun Cho ),전지은 ( Ji Eun Jeon ),조하나 ( Ha Na Cho ),손동국 ( Dong Koog Son ),김혜원 ( Hye One Kim ),이수형 ( Soo Hyung Lee ),염혜영 ( Hye Yung Yum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0 천식 및 알레르기 Vol.30 No.2

        Backgrou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have potentials for improving disease 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D) and their families. However, integration of med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care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D is very rare in Korea.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descriptive data from a hospital-based interdisciplinary program that provides integrated medical and psychological health-care for children with AD. Method: Clinical records were reviewed for 127 children seen in our program as well as common problems and interventions addressed during family visits with the program psychologist. Age group differences in problems and interventions addressed during psychology sessions were evaluated. Also, the differences by symptom severity and sex in problems addressed during psychology sessions were analyzed. Result: Significant age-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oblems and interventions addressed during psychology sessions. Among the age groups, sleep problems were most common in the <5 age group (50.0%). Negative self-image, problems of being bullied and attention problems were most common in the 6~12 age group (25.4%, 23.7% and 16.9%, respectively). Anxious/depressed mood, study burden and parent-child relational problems were most common in the 13~18 age group (65.0%, 60.0% and 45.0%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need for and feasibility of providing integrated care for children with AD and their families. Age-group differences found in problems and interventions addressed during psychology sessions could be useful especially in planning for group session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0; 30:100-109)

      • KCI등재

        조직검사가 직장 유암종의 내시경 절제에 미치는 영향

        조성범 ( Sung Bum Cho ),박선영 ( Sun Young Park ),윤경원 ( Kyeng Won Yoon ),이석 ( Seok Lee ),이완식 ( Wan Sik Lee ),주영은 ( Young Eun Joo ),김현수 ( Hyen Soo Kim ),최성규 ( Sung Kyu Choi ),유종선 ( Jong Sun Rew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1

        목적: 직장 유암종은 대장내시경 확대로 발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차로 내시경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진단 내시경 시 조직검사로 인한 병변 변형에 의해 내시경 절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조직검사 후 변형이 직장 유암종의 내시경 절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직장 유암종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한 42예를 조사하여 진단 시 조직검사 유무에 따라 조직검사군 22예와 조직검사 미시행군 20예로 분류하였다. 조직검사군과 미시행군 간 유암종 크기, 위치 등 임상 차이는 없었다. 각 군 간 점막하 주입 시 융기 제한, 내시경 제거 방법 차이 및 분할 절제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내시경 절제술 시 점막하 주입에 따른 점막 융기 제한을 보인 경우가 조직검사군에서 17예(77%)로 미시행군 9예(45%)에 비해 많았다(p=0.03). 점막 융기 제한에 영향을 미치는 내시경 소견은 조직검사로 인한 종괴의 함몰된 반흔이 관찰된 경우, 조직검사를 한 5 mm 이하의 유암종, 조직검사 후 활동 궤양이 있는 경우였다. 내시경 절제 시 올가미를 이용한 절제술, cap을 이용한 흡인절제술, 고무밴드 결찰 후 절제술에서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으나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을 이용한 경우는 조직검사군 5예로 미시행군 1예에 비해 많았다. 분할절제된 경우는 조직검사군 5예(23%)로 미시행군 2예(10%)에 비해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직장 유암종에서 조직검사로 인한 변형은 내시경 절제 시 점막 융기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절제 이전 조직검사는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Background/Aims: While endoscopic resection could be considered as the best choice for the treatment of small rectal carcinoid, the colonoscopic biopsies performed at the time of detection may lead to scar and ulcer formation and cause unpredicted difficulty in the endoscopic resection. This study was evalua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biopsy scar and the limitation of submucosal elevation for the endoscopic resection of rectal carcinoids. Methods: Twenty two cases of rectal carcinoid which received prior biopsies before the endoscopic resection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with 20 non-biopsied cases. All two groups were treated by endoscopic resection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ndoscopic findings such as size and lo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limited submucosal elevation was experienced in 17 cases (77%) in the biopsy group, significantly more frequent than 9 cases (45%) in the non-biopsy group (p=0.03). The colonoscopic findings which contribute to difficult submucosal elevation were the depressive scar formation after biopsy, the size less than 5 mm in the biopsy group, active ulcer formation after biopsy. Regarding the resection metho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as frequently adopted (23% vs. 5%) in the biopsy group. The frequency of endoscopic piecemeal resection in biopsy group was higher than non-biopsy group (23% vs 10%), and all cases were subsequently resected by other endoscopic methods. Conculsions: The post-biopsy scar can interfere with successful submucosal elevation for endoscopic resection of rectal carcinoids. The number of forcep biopsy should be minimized in the diagnostic colonoscopy when endoscopic resection is planned rectal carcinoid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36-42)

      • SCOPUSKCI등재

        학동기 아동에서 코골이의 유병률과 관련인자

        조성,김은영,노영일,양은석,박영봉,문경래,이철갑,Cho, Sung Jong,Kim, Eun Young,Rho, Young Il,Yang, Eun Suk,Park, Young Bong,Moon, Kyung-Rye,Lee, Chul-Gab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1

        목 적 : 코골음은 소아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 중 하나로, 일부에선 주간의 과다졸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야뇨증, 두통 등의 행동장애와 수면 시간 감소와 수면 중 잦은 깸 등의 수면장애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엔 수면 무호흡 증후군을 동반하기도 한다. 수면 무호흡의 고위험 인자로 비만이나 코골음의 가족력 그리고 동반질환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코골음의 유병율, 유발인자, 동반되는 수면장애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소아에서 수면 장애를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7월 광주광역시에 소재 2개 초등학교 학생 1,707명(남학생 816명, 여학생 89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분하여 부모님의 지도하에 무기명으로 기입하도록 하여 최근 6개월 이내의 코골음의 발생 빈도 그리고 코골음으로 인해 수면시간 감소, 잠꼬대, 낮잠, 졸음 및 학교 성적 저하 등의 수면장애로 인한 결과들과 비만이나 여러 질환 등의 유발인자와 코골음과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 1) 전체 대상 아동 29.0%에서 최근 6개월 이내에 코골음을 경험하였고 15.6%에서는 1주일에 1회 이상씩 자주 경험하였고 거의 매일 코를 고는 아이들은 4.3%이었다. 코골음군에서는 남녀 각각 19.5%, 12.0%로 남아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2) 두 군 모두 저녁에 잠자는 시간은 8-10시간이 가장 많았고, 코를 자주 고는 군에서 8시간 미만으로 자는 경우와 수면 중 잠꼬대를 하는 경우가 의의있게 많았으며, 주간에 과다하게 졸음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나 낮잠, 야뇨증, 학교 성적 저하, 피로감, 아침에 일어나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 등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3) 코를 자주 고는 군에서는 남아인 경우, 편도 비대,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 비만 등이 의의있게 많았고, 의의있는 관련 요인들 중에서 남아인 경우, 편도 비대, 비만, 부비동염 등이 의의있는 위험요인이었다. 특히, 비만인 경우는 고도 비만일수록 코골음과의 연관성은 증가하였다. 결 론 : 1주일에 1회 이상 자주 코를 고는 아이들의 유병율은 15.6%이었고 코골음으로 인해 수면시간의 감소, 수면 중 잠꼬대, 주간의 심한 졸음 등 수면장애로 인한 증상들이 의의있게 많았다. 유발인자들 중에서 편도 비대, 비만, 기관지 천식, 부비동염의 병력이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학동기 아동에서 적극적인 체중 조절과 호흡기 및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로 코골음의 발생을 줄여 수면장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We studied the prevalence of snoring and its association with diseases, obe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sleep disturbance arising from snoring, in school-aged children. Methods : The survey was performed by a special questionnaire on 1,707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from 1 to 30 July 2001 in Gwangju City. The prevalence of snoring, associated factors, and sleep disturbance were evaluated. Results : 266(16.5%) of the children snored at least once a week. 73(4.3%) of the children snored almost every day. Regarding the associated factors of snoring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noring and nonsnoring groups due to gender, obesity, sinusitis, tonsillar hypertrophy,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Of them, male gender, tonsillar hypertrophy, and obesity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snoring. Especially, the odds ratio increased to 1.048(CI, 1.004-1.659), 1.748(CI, 1.175-2.599), and 2.266(CI, 1.300-3.950) in children with an obesity index of 20-29%, 30-49%, ${\geq}50%$,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of snoring with decreased sleep duration, sleep talking, and drowsiness during the day as a result of sleep disturbance. Conclusion : 16.5% of school-aged children snored at least once a week. The association of snoring with tonsillar hypertrophy, obesity and gender as risk factors w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 KCI등재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Screen Translation : Culture-specific items in Dae Jang Geum

        조성은(Cho Sung Eun)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8 통번역교육연구 Vol.6 No.1

        번역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통로이다. 영화나 드라마 작품을 번역하는 영상번역의 경우 문학번역이나 기술번역과는 큰 차이가 있다. 영화와 드라마 같은 영상 작품은 대본, 연기, 음악, 영상 등 복합적인 체계가 어우러져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영상 번역은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는 다른 번역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영상 작품이 국경을 넘어 이문화 영역으로 넘어가면서 언어 장벽과 문화차이가 생겨날 수밖에 없지만 영상 번역이라는 매개를 통해서 문화적인 교감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 번역은 언어 차이를 극복하고 해소해야 할 뿐만이 아니라 영상 속에 담겨 있는 문화적인 맥락에 대한 이해도 동반되어야 메시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는 문화적 배경, 맥락, 상황을 둘러싼 교감과 커뮤니케이션이 총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끈 한국 드라마 『대장금』의 영어 자막 번역의 분석을 통해 영상번역을 통해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이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점검해 보고자한다. 따라서 한국어 ST와 영어 TT의 번역과정을 델라바스티타(Delabastita)와 데이비스(Davies)가 언급한 번역 전략인 생략, 반복, 삭제, 추가, 변환과 통합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내용중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언급이 많은 대장금의 영상 번역에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소아 비만에서 Leptin, Adiponectin 및 Leptin/Adiponectin Ratio와 대사 장애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조성,김은영,문경래,Cho, Sung Jong,Kim, Eun Young,Moon, Kyung 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1

        목 적: 연구자는 adipocytokine의 일종인 leptin, adiponectin과 leptin/adiponectin 비를 이용하여 비만아에서 신체 계측치와 인슐린, 지질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방문한 BMI 95백분위수 이상인 7~15세 사이의 비만군 25명(남: 20명, 여: 5명)과 정상 체중 아동인 대조군 25명(남: 20명, 여: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 계측(신장, 체중, 팔둘레, 피부주름두께, 체지방률)을 시행하고 공복상태에서 채혈하여 adiponectin, leptin과 혈당, 인슐린, 지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는 Student t-test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팔둘레, 삼두박근 피부주름두께 및 견갑골하 피부주름두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인슐린 농도($17.9{\pm}15.6{\mu}U/mL$ vs $6.5{\pm}2.7{\mu}U/mL$, p<0.05)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고밀도 지질 단백 콜레스테롤($50.0{\pm}12.4mg/dL$ vs $68.9{\pm}15.9mg/dL$, p<0.005)은 유의하게 낮았다. Leptin은 비만군에서 $10.6{\pm}5.1ng/mL$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01), adiponectin은 비만군에서 $2.85{\pm}0.7{\mu}g/mL$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비만군에서 leptin은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adiponectin은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조군에서 leptin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인자가 없었으나, adiponectin은 인슐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Leptin/adiponectin 비는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4.03{\pm}2.8$ vs $1.53{\pm}0.74$, p<0.01), 비만군에서는 체지방률, leptin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소아비만에서 leptin과 adiponectin은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사장애를 나타내는 인자들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Leptin/adiponectin 비는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비만군뿐만 아니라 대조군에서도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the serum leptin, adiponectin, and leptin/adiponectin ratio with metabolic disorders in the childhood obesity. Methods: Fifty children (25 obese and 25 non-obese) were recruited in the pediatric outpatient clinic of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st to June 30th 2005. Adiponectin, leptin, anthropometric parameters, glucos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insulin levels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s of leptin and adiponectin levels with anthropometric parameters, glucose, insulin and lipids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Insulin and leptin levels of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obese group (p<0.05, p<0.001 respectively). HDL-cholesterol and adiponectin levels of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n-obese group (p<0.005, p<0.05 respectively). In the obese group, lept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iponectin level. Moreover, adiponectin level of the obese grou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I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level. In the non-obese group, only insul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iponectin. In the obese group, leptin/adiponectin ratio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leptin level. Also, leptin/adiponectin ratio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in the non-obese group. Conclusion: Leptin, adiponectin, and leptin/adiponectin ratio did not appear to have a major role linking various metabolic disorders in the childhood obesity, even though they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obesity indices. Also, leptin/adiponectin ratio was associated with obesity indices even in non-obese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