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이산화탄소에 의한 메탄올 합성 (제 1 보). Cu / ZnO 촉매계 연구

        조성운,전기,박대철,이규완,Sung Yun Cho,Ki Won Jun,Dae Chul Park,Kyu Wan Lee 대한화학회 1989 대한화학회지 Vol.33 No.5

        여러가지 조성비로 만든 Cu/ZnO계 촉매로 이산화탄소를 수소화시켜 메탄올을 합성하였다. 촉매제조시 각 성분의 조성비가 촉매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반응촉매에 대하여 표면적 측정(BET), 주사전자현미경 측정(SEM), X선회절분석(XRD), X선광전자분석(XPS) 등을 실시하여, 각 촉매의 촉매특성을 조사하고 촉매활성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반응생성물은 메탄올과 일산화탄소 뿐이었는데 메탄올의 생성은 CuO의 함량이 증가하면 그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CuO:ZnO의 조성비율이 30:70일 경우에 최대이었고, CuO가 70 이상이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촉매에 대한 SEM 측정과 BET 측정결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이점은 미세결정크기가 증가되고 표면적이 감소하는 점과 일치되었다. 또 XPS 측정결과에서 촉매표면상에서의 Cu의 농도는 Cu/Cu+Zn(atomic ratio)을 비교할 때 CuO의 함량이 50% 이상인 경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각 촉매들의 $Cu(2P^3)$에 대한 결합에너지의 수치상의 값은 거의 같았으나 환원된 상태의 $Cu(2P^3)$의 결합에너지는 소성된 상태의 것과 비교하여 낮아졌고, 표면에 분포된 Cu 는 대부분 $Cu^{\circ}$로 확인되었으며 CuO:ZnO의 조성이 30:70인 경우에서 최대가 되었다. 이것은 또한 CuO의 조성비율이 30인 때에 메탄올생성이 최대라는 실험결과와도 잘 일치하였다. 그리고 환원된 각각의 촉매로 펄스(pulse)형태의 반응기에서 이소프로판올을 분해시킨 결과 아세톤의 생성율이 프로필렌보다 컸음으로 이들은 염기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촉매라고 추측하였다. The synthesis of methanol from carbon dioxide and hydrogen was studied for various compositions of Cu/ZnO catalyst system. Effect of the composition ratio of CuO and ZnO on the catalytic activity in the above re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alysts were explained from the result of surface area measurements, SEM, XRD, and XPS. The major products of the reaction were methanol and carbon monoxide. The selectivity to methanol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pper oxide content in the catalyst up to CuO: ZnO = 30:70 weight ratio, and decreased rapidly when the content is above 70%. SEM and BET measurements, indicate that this point corresponds to the increasing point of the catalyst crystallite size and the decreasing point of the surface area. As to the Cu/Cu + Zn atomic ratio, the surface concentration of copper measured by XPS decreased remarkably when the copper oxide content in catalyst was higher than 50%. All the unreduced catalysts had almost same binding energy of Cu(2P3) level, but the binding energy for $Cu(2P^3)$ level of reduced catalysts was lowered than that of calcined catalysts. The surface copper species which was in the maximum amount when the CuO:ZnO composition in the catalyst was 30:70, existed as zero valent copper. This result agre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 that the highest rate of methanol formation was observed when the CuO content in the catalyst was 30%. It was postulated that these reduced catalysts performed with a relatively strong basicity because the formation rate of acetone was higher than that of propylene in isopropanol decomposition as measured in a pulse type reactor.

      • KCI등재

        1910~20년대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8

        1910~20년대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 조성운 본고는 1910~20년대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를 당시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본고를 작성한 이유는 신문기사가 이 시기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수원지역의 근대관광은 1910년대 이래 1920년대까지의 수원관광단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수원을 찾은 관광단의 수는 모두 154개였으며, 1910년대는 관광단ㆍ시찰단이 주로 찾았으나 1920년대가 되면 수학여행단이 급증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이 주로 찾은 곳은 권업모범장, 수원농림학교 등 근대 시설이었으며, 화성을 중심으로 한 고적은 아직 두드러지지 않음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1931년 조직된 수원보승회의 활동은 향후 화성을 중심으로 수원의 관광지가 확대될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를 계기로 개최지인 경성은 물론이고 수원을 비롯한 인천, 개성, 고양 등의 경기도 일원, 그리고 금강산까지도 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개발이 본격화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근대관광에 대한 연구가 식민지 근대화론을 뒷받침하는 논거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없지 않다. 필자는 오히려 이의 연구를 통해 식민지 근대화론을 비판,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관광을 주도한 세력이 보여주고자 한 것이 어떠한 성격의 것인가를 분석함으로써 근대관광을 통해 일제가 목적으로 한 것을 찾아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확인했듯이 수원지역의 주요 관광지가 권업모범장과 수원농림학교라는 것은 근대시설을 관광자에게 직접 보여줌으로써 일제의 조선 지배가 조선을 근대적으로 발전시켰다는 눈으로 확인시키는 일이기도 하였다. 이는 일제의 관광정책의 목적이 무엇이었나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근대관광의 기본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원지역의 근대관광을 살핀 것은 이러한 근대관광 연구에 대한 일부 연구자의 시각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Status of Modern Tourism in Suwon in 1910-20s Cho, Sung-woon This essay looks at the state of modern tourism in Suwon in the 1910s and 20s,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at that time. The reason that this writing is based on the newspaper articles is because it best illustrates the state of modern tourism in Suwon during this period. Through the newspaper articles, the trends of the Suwon tour group from the 1910s to the 1920s are able to be identified. The total number of tourist groups visiting Suwon during this period was 154, and in the 1910s, the number was mostly consisted of tour groups and inspection team, but by the 1920s, the number of school tour groups increased sharply. They visited modern facilities such as agriculture technology testing institutes and the Suwon agriculture school. The historical sites centered in Hwaseong district wasn't shown at that time. However, the activities of the Suwon Reclamation, which was organized in 1931, show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tourist sites in Suwon with the focus of Hwaseong in the futur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Gyeongseong, the host city of Chosun Products Exhibition, but also Suwon, Incheon, Gaeseong, Goyang, Mt. Kumgang, and the Gyeonggi Province were developing as tourism cities to attract tourists. On the other hand, people tend to think that the study of modern tourism can be used as an argument to support the theory of colonial imperialism. The writer thinks that the research on tourism will actually serve as an opportunity to criticize and overcome the modernization of colonial imperialism. It is because through the study in modern tourism, Japan's goals can be analyzed by discovering the purpose of the tourist industry development. As the essay confirmed, the main tourist attractions in Suwon were the agriculture technology testing institutes and the Suwon agriculture school, which intended to show the influence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modernization of Chosun. This shows the purpose of the Japanese tourism policy, and this is the basic characteristic of modern tourism. In this regard, it is believed that the prospect of modern tourism in the Suwon area could dispel some researchers' view of the modern tourism research.

      • KCI등재

        『슬픈 조국의 노래』를 통해 본 趙文紀의 독립운동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9

        This paper examines Cho Mun-Gi's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on July 24, 1945, just before liberation, focusing on his memoir "Songs of Sad Fatherland. Jo Mun-Gi's anti-Japanese movement is roughly divided into leading the strike at the Kawasaki(川崎) plant in May 1943 and the Patriotic Dead of Blown Up of the Bumpingwan府民館) on July 24, 1945. Cho Mun-Gi was forcibly mobilized to the Kawasaki plant of Japan Steel Co., Ltd. in October 1942 and returned to Korea in January 1945. In May 1943, he led the strike with Yu Man-Su at the Kawasaki plant of Japanese Steel Pipe Co., Ltd. for insulting Korean workers. After the strike, he returned to Korea in January 1945 with the help of Seo Sang-Han(서상한), organized the Korean Patriotic Youth Party in March, and launched the Patriotic Dead of Blown Up the Bumpingwan on July 24. The Korean Patriotic Youth Party was organized around people who returned home after being forcibly mobilized by Japan Steel Co., Ltd. This party had a four-stage independence movement policy for comradeship, formation of secret organizations, pro-Japanese groups, and invasion protection, and China. Japanese colonial era The Patriotic dead of blown up the Boomingwan, considered the last hero and noble struggle, was a preliminary step toward going to China and carrying 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Later, he fled to his hometown of Suwon. He was liberated while raising funds for the Korean Patriotic Youth Party to gather comrades there. After liberation, he participated in the campaign against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and lived in prison. He was not treated as an independent merit, as he was subject to government surveillance for anti-government activities such as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Lee Syngman(이승만). It was not until 1982 that he was honored as an independence merit. He began to gain public attention when Kim Hyung-Geuk(김형극) announced through various media that he led the Patriotic Dead of blown up the Boomingwan under the ord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he refuted and denied such fact, and the media also provided correction reports on this. After the 1990s, he launched a pro-Japanese liquidation movement while serving as the head of the Gyeonggi branch of the Liberation Society and the president of the Institute for Research in Collaborationist Activities. He died in 2008. In the end, his life can be evaluated as a lifetime devoted to the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and the pro-Japanese liquidation movement. 본고는 해방 직전인 1945년 7월 24일 조문기의 항일민족운동을 그의 회고록 『슬픈 조국의 노래』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조문기의 항일민족운동은 1943년 5월 일본강관주식회사 가와사키(川崎) 공장 파업을 주도한 것과 1945년 7월 24일 부민관폭파의거를 전개한 것으로 대별된다. 조문기는 1942년 10월 일본강관주식회사 가와사키(川崎) 공장에 강제동원되어 1945년 1월 귀국하였다. 그는 1943년 5월 조선인 노동자를 모욕했다는 것을 이유로 일본강관주식회사 가와사키(川崎) 공장에서 유만수와 함께 파업을 주도하였다. 파업 후 서상한 도움을 받아 피신을 하던 그는 1945년 1월 귀국하여 3월 대한애국청년당을 조직하고 7월 24일 부민관폭파의거를 전개하였다. 대한애국청년당은 일본강관주식회사에 강제동원되었다가 귀국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조직한 것으로 동지규합, 비밀단체 구성, 친일 거두와 침략 원흉 처단, 중국행의 4단계의 독립운동방침을 갖고 있었다. 일제강점기 최후의 의열투쟁이라는 평가를 받는 부민관폭파의거는 중국으로 가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전단계였던 셈이다. 이후 고향인 수원으로 피신하여 동지 획득을 통해 대한애국청년당의 활동자금을 마련하던 중 그는 해방을 맞이하였다. 해방 이후 그는 단정수립반대운동에 참여하여 수감생활을 하였고, 이승만 암살 미수 사건에 관련되는 등 반정부 활동을 하여 정부의 감시대상이 되는 등 독립유공자로서의 대우를 받지 못하였다. 1982년에야 비로서 독립유공자로 서훈되었다. 그가 대중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김형극이 자신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명을 받아 부민관폭파의거를 지휘했다는 주장을 각종 언론을 통해 발표하면서부터였다. 그러나 그는 이를 반박하며, 부인하였고, 해당 언론도 이에 대한 정정보도를 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광복회 경기지부장과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을 역임하면서 친일청산운동을 전개하다가 2008년 사망하였다. 결국 그의 삶은 항일민족운동과 친일청산운동에 평생을 바친 일생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920년대 정읍지역의 민족운동

        조성운 숭실사학회 2018 숭실사학 Vol.0 No.40

        This article examines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Jeong - eup area in the 1920 's. As a birthplace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t was thought that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colonial period was very active, but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Jejudo area of ​​the Japanese occupation was not actively developed. The reason is that not only the Donghak and Chondogyo forces were weakened by the repression of the Joseon government and Japanese imperialism but also the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movement within the Donghak and Chondogyo was conspicuous because the consciousness that they and their families would suffer damage was prevalent. Even in this situation, the national movement was developed in the Jeongeup area after the 3·1 movement. The characteristic of the local political movement in the 1920s, distinguished from other regions, is that it was centered around the labor movement. Thus, labor-related organizations were already organized before the 3·1 Movement. However, this group does not seem to have a socialist character. This is because the first socialist organization in the Jeongup area was the Owolheui(5月會) organized in 1925.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abor movement group before the May convention is a reformist group. Since then, socialist organizations such as Sinmyungheui(新明會), the Sanoi Peasant Union(山外農民組合), and the Jeongeup Youth Alliance(井邑靑年同盟) have been organized, but their activities have been sluggish. However, since the mid-1920s, the leaders of Jeongeup youth organizations such as Mamyung(馬鳴), Kimbugon(金富坤), Yiikgyum(李益兼) and Songsugyug(宋洙格) participated as the central members of the Bukpungheui(北風會), the Chosun Workers Peasants' Alliance(朝鮮勞農總同盟) and the Chosun Peasant General Alliance(朝鮮農民總同盟), Ju Nak Ki(朱洛麒) and Kim Jong Moon(金鍾文) participated in the Central Council of Chosun Social Societies held in 1927.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and research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region more deeply through the excavation of new materials or oral talks. 본고는 1920년대 정읍지역의 민족운동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정읍이 동학농민운동의 발상지로서 식민지 시기의 민족운동도 매우 활발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일제하 정읍지역의 민족운동은 타지역에 비해 그리 활발히 전개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조선정부와 일제의 탄압에 의해 동학과 천도교 세력이 약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학·천도교 내부에서도 민족운동에 대한 참여는 곧 자신과 자신의 가정이 피해를 본다는 의식이 팽배했기 때문이라 파악되었다. 이러한 상황에도 정읍지역에서도 3·1운동 이후 민족운동이 전개되었다.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1920년대 정읍지역 민족운동의 특징은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노동 관련 단체가 3·1운동 이전에 이미 조직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단체가 사회주의적 성격을 띤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정읍지역 최초의 사회주의적 단체는 1925년 조직된 5월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5월회 이전의 노동운동단체는 개량주의적인 성격의 단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신명회, 산외농민조합, 정읍청년동맹 등 사회주의적 성격의 단체가 조직되었으나 그 활동은 부진한 편이었다. 그러함에도 사회주의적 단체가 이처럼 조직된 것은 1920년대 중반부터 마명, 김부곤, 이익겸, 송수격 등 정읍지역 청년단체의 지도자들은 북풍회, 조선노농총동맹, 조선농민총동맹의 중앙위원으로 참여하였고, 김복수, 박동수, 주낙기, 김종문은 1927년 개최된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에 참여하는 등 중앙 차원의 운동조직과 교류한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향후 새로운 자료의 발굴이나 구술 등을 통해 이 지역의 민족운동을 보다 심층적으로 조산, 연구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근ㆍ현대사’의 출제 경향과 문항 분석-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성운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1 역사와 교육 Vol.12 No.-

        이 글은 2005학년도부터 2010학년도까지의 수학능력시험 한국근ㆍ현대사 과목의 문항을 분석한 글이다. 이를 통해 수능시험 한국근ㆍ현대사 과목의 출제 경향과 향후 전망이 가능하기를 바란다. 이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수능시험 한국근ㆍ현대사 과목은 정치사와 사회사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는 점, 해방 이전 시기에 대한 출제가 해방 이후 시기에 대한 출제에 비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 문항 소재는 일제의 침략과 그에 대한 우리 민족의 저항이나 독재에 대한 우리 민족의 저항 등 주로 정치사와 사회사에 관한 것으로서 한국근ㆍ현대사과목이 지향하고 있는 가치를 잘 보여준다는 점 등의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수능시험 한국근ㆍ현대사 과목이 상당히 민족주의적 편향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한국근ㆍ현대사 교육이 민족주의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성격은 이른바 ‘세계화시대’의 역사교육의 지향성과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한국근ㆍ현대사 교육은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이나 세계사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는 곧 한국근ㆍ현대사 교육에서만이 아니라 역사교육 전반에서 이루어져야 할 일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analyzes question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bjec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rom 2005 through 2010. It is our hope that our study will contribute to drawing the future prospect of the trend of examination question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bject. Our finding shows that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end to give too much importance to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and questions regarding history before liberation from Japan overwelmingly outnumber those concerning the period after liberation. Further, subject matters of the questions mostly concern Japan’s invasion of Korea and Korea people’s resistance and Korean people’s resistance against dictatorship, reflecting the values that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bject intends to aim for. This means that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bject exhibits nationalistic inclination to a great extent, suggesting that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has strong nationalistic character. This seems to be a move somewhat distant from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in this ‘global age’. In light of this, we suggest that future Korean modern and comtemporar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Japan’s colonial policy or context of world history. In fact, this should be done in the entire curriculum of history education, not just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일본 역사교육에서의 영토문제

        조성운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5 역사와 교육 Vol.20 No.-

        본고에서는 2013년 검정 통과된 현행 고등학교 일본사 교과서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일본에서는 영 토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가를 밝히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학습지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해설 의 내용을 살핀 후 고등학교 일본사 교과서의 독도, 남쿠릴열도, 센카쿠제도 등의 영토교육에 대해 살 펴본 것이다. 일본의 역사교과서에 대한 연구의 선행조건은 학습지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해설에 대한 이해에서 출 발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는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교육과정해설과 유사한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영토문제에 대한 학습지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해설을 우선 분석하고 이를 교과서의 서술 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영토문제에 대한 학습지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해설은 일본정부의 우경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1979년 지리분야에서 비로소 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 교과서의 영토문제에 대한 서 술은 ‘귀속문제’가 있다는 정도의 서술에서 시작되어 고유영토설로 점차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일본 정부의 중학교 역사교과서 검정에 대한 논란이 큰 가운데서 본고는 일본의 역사교과서의 영토문 제 서술의 변천을 살피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manuscript analyzes current Japanese high school text that were approved in 2013 to find out how territorial disputes are educated in Japan. In order to do so, it examines, firstly, content of the class guidance strategy and explanation, and then territory education on Dokdo, South Kuril Islands, and Senkaku policies through educational texts. Research of the Japanese educational texts has to start with the understanding on class guidance strategy and its explanation. This is because its functions serve a similar purposes in Korea. This manuscript firstly analyze class guidance strategy and its explanation, then compared the two narratives. As a result, class guidance strategy and its explanations on the territorial disputes reflect the conservative swing of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is has started since 1979 in the geography field. Also, narratives on territorial disputes started with the 'issue of jurisdiction' and gradually strengthened to 'original territory.'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examining the change of narratives of territorial disputes in Japanese history educational texts in the controversy on the recent examination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s especially in relation to territorial disputes.

      • KCI등재

        正庵 李鍾勳의 국내에서의 민족운동

        조성운 숭실사학회 2010 숭실사학 Vol.25 No.-

        이종훈은 1893년 동학에 입교하여 1931년 사망할 때까지 천도교인으로서 살았던 인물이며, 천도교의 사상과 조직 하에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그는 천도교를 대표한 민족대표로서 3·1운동을 준비하고 지도하였다. 그의 활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종훈은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하여 무력에 의한 변혁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경기도 편의장으로서 기포하여 손병희의 휘하에서 좌익으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동학농민운동 이후 최시형과 손병희의 피신을 돌보면서 측근에서 보좌하였다. 그리고 1904년 갑진개화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1905년 12월 동학이 천도교로 교명을 변경한 후 손병희를 지지하거나 받들며 지방과 중앙에서 천도교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이종훈은 1910년 일제의 조선 강점 직후 보성사 사장 이종일과 협의하여 민중시위운동의 방법으로 독립운동을 준비하였다. 그것은 범국민신생활운동, 민족문화수호운동, 기독교·유림 및 구정객과의 연합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종훈 등이 제시했던 대중화·일원화·비폭력이라는 민족운동의 3원칙과 민중시위운동의 방법론은 곧 3ㆍ1운동의 방법론과 같은 것이었다. 결국 천도교에서는 이미 3ㆍ1운동의 원칙과 방법론을 이미 일제의 조선 강점 직후부터 준비하고 있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3ㆍ1운동의 ‘민족대표’로 참여하였다. 3ㆍ1운동 이후 이종훈은 1922년 고려혁명위원회의 고문으로 참여하였다. 고려혁명위원회는 최시형의 손자이며, 손병희의 조카, 홍병기의 손위 처남인 최동희가 천도교 내의 인적 기반을 바탕으로 천도교에 대한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조직된 단체이다. 그리고 이후 고려혁명당으로 발전하였다. 이는 이종훈이 1922년 천도교의 혁신을 주장하며 조직한 종의사후원회와 그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라 보인다. 또한 그가 신구파의 분립시 천도교 신파를 선택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결국 이종훈은 천도교의 혁신을 주장하면서 근대적인 종교로의 발전을 꾀했던 인물이며, 이를 바탕으로 민족운동을 전개한 ‘천도교인’이었다고 할 것이다. Lee Jong-Hoon(pseudonym, Jeong-Am) joined Cheondo-Gyo(or Dong-Hak, a Korean religion) in 1893 and lived in accordance with its doctrine for life. And he developed a national movement under the doctrine of Cheondo-Gyo and its organization. In particular, he prepared the ground of the 1919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n behalf of Cheondoists. In this study, his activities wer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Lee Jong-Hoon participated in the peasant movement led by Cheondoists, and developed an armed uprising. He belonged to the group of Gyeonggi Province, and worked as a leftist under the command of Son Byeong-Hee. After the peasant movement, he helped Choi Si-Hyeong and Son Byeong-Hee to flee safely. And he actively participated in a cultural revolution that broke out in 1904. After the name ‘Dong-Hak’ was changed to ‘Cheondo-Gyo’ in December 1905, he contributed to its development not only at districts but at the central area, backing up Son Byeong-Hee. Immediately after Japan occupied Korea by force in 1910, he attempted to develop independence movements in cooperation with Lee Jong-Il the president of Bo-Seong Company, which was the alliance with Christians, confucianists and old politicians who aimed at nationwide new-life movement and national culture preservation. What is remarkably is that he developed such movements with the motto, ‘Popularization, Unification and Nonviolenc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It implies that Cheondoists had prepared the ground of the movement along with the same principle as the 1919 movement. In result, he had been a representative of the 1919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1919 movement, Lee Jong-Hoon participated in Korea Revolution Committee in the capacity of a councilor. The committee was organized by Choi Dong-Hee, a grandson of Choi Si-Hyeong, a nephew of Son Byeong-Hee and a brother-in-law of Hong Byeong-Gi, together with Cheondoists. Afterwards, the committee was developed to Korea Revolution Party, which was in collusion with an organization formed by him on purpose to renovate Cheondo-Gyo. What he chose the new school instead of the old when it is divided, shows his idea well. Altogether, it may be concluded that Lee Jong-Hoon was a Cheondoist who insisted on the revolution of Cheondo-Gyo and aimed to advance to a modern religion and developed a national movement on the basis of them.

      • KCI등재

        황토현전투의 전개와 역사적 의의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7

        Donghak Peasant Movement was originated from Gobu. I can be found from the course that Gobu Peasant Movement beginning on Jan. 10, 1994 from Sabal Tongmun Revolt Plan in Nov., 1893 expanded to the armed uprising and Baeksan Assembly. This position implies the view that Gobu Peasant Movement, armed uprising and Baeksan Assembly are understood as one. Hwangtohyeon Battle was one process of Dong Peasant Movement developed over Apr. 06 and 07, lunar calendar in 1894. This battle is the first serious battle in which peasant soldiers won the process of Dong Peasant Movement starting by Gobu Peasant uprising taking place by Jeon Bong Jun’s attach of Gubu public office on Jan. 10, 1894. As pointed out at existing studies, peasant soldiers laid a foundation to extend the force over Jeollado with the victory of this battle. After Hwangtohyeon Battle, the reason why Donghak Peasant Soldiers was able to conquer Jeollado was that government soldiers did not play its proper role since it defeated at Hwangtohyeon Battle. Thus, Hhwangtohyeon Battle tells us that it was a battle playing a crucial role in spreading the peasant movement as well as the awareness of the farmers made a revotionary change through this battle. In addition, in this battle, Donghak Peasant soldiers showed its attention and doctrine by its actual action, not documents like a manifesto. Since late Joseon Dynasty, it was a peasant class’ resistance to various tyranny and injustice, corruption as well as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Thus, it showed the nature of the peasant movement of anti-feudal and anti-foreign powers. And through this process, peasant class could grasp their class position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Korea at home and abroad through this movement. In particular, as Park Mun Gyu’s statement mentioned earlier, the eyes of the people against the government at the time was very critical as . In particular, Hwangtohyeon battle turned into a victory of Peasant soldiers, King Gojong requested Ching soldiers to mobilize to enhance the suppression of Donghak Peasant soldiers. The peasant movement became a chance to extend to as an issue in East Asia. As a result, the Sino-Japanese War became a chance for Japan to take control of the initiative in North-east Asia. As mentioned above, Hangtohyeon battle grew as a chance to spread the flow of social reform over Jellado to nationwide since Gobu Peasant Uprising. This showed that Jeon Bong Jun’s plan at Sabaltongmun was specifically practiced in preparation for Gobu Peasant Uprising. Thus Donghak Peasant Movement will be right to say it was from Gobu Peasant Uprising. 동학농민운동은 고부에서 기인하였다. 그것은 1893년 11월의 사발통문거사계획부터 1894년 1월 10일 시작된 고부농민봉기가 무장봉기와 백산대회로 확산되는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는 고부농민봉기와 무장봉기, 백산대회를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 황토현전투는 1894년 음력 4월 6일부터 7일 새벽에 걸쳐 전개되었던 동학농민운동의 한 과정이었다. 이 전투는 1894년 1월 10일 전봉준 등이 고부 관아를 습격하면서 발생한 고부농민봉기에 의해 시작된 동학농민운동의 과정 중 농민군이 승리한 최초의 본격적인 전투라 할 수 있다. 기왕의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이 전투의 승리로 농민군은 전라도 일대로 그 세력을 넓힐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황토현전투 이후 동학농민군이 전라도 일대를 제패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군이 황토현전투에서 패한 이후 관군이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황토현전투는 동학농민군이 동학농민운동을 확산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였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전투를 통해 농민들의 의식은 혁명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이 전투를 통해 동학농민군은 자신들의 주의와 주장을 격문 등의 문서가 아니라 실제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이는 조선후기 이래 농민층에 가중되었던 제반 학정과 부정, 부패에 대한 농민층의 저항이었으며, 외세의 침탈에 대한 저항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반봉건반외세의 동학농민운동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하여 농민층은 자신들의 계급적 입장과 조선을 둘러싼 국내외의 정세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앞에서도 언급한 박문규의 진술과 같이 정부에 대한 당시 민중의 시선은 매우 비판적이었다. 특히 황토현전투가 동학농민군의 승리로 돌아가면서 고종은 동학농민군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기 위하여 청군의 차병을 요청하였다. 이는 동학농민운동이 동아시아적인 문제로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발발한 청일전쟁은 향후 동아시아의 주도권을 일본이 장악하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황토현전투는 고부농민봉기 이후 사회변혁의 흐름이 전라도를 넘어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는 고부농민봉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발통문에 나타난 전봉준 등의 계획이 구체적으로 실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따라서 동학농민운동은 고부농민봉기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