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TiO<sub>2</sub> 광촉매의 효율향상을 위한 표면 개질 연구

        조상진,정충경,김성수,부진효,Cho, S.J.,Jung, C.K.,Kim, S.S.,Boo, J.H. 한국진공학회 2010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9 No.1

        $TiO_2$의 표면의 친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에 의해 발생된 대기압 플라즈마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PP)를 이용 RF power 50~200 W 범위에서 Ar과 $O_2$ 가스를 사용 대기압 플라즈마로 광촉매 표면을 개질하였다. Ar 가스 단독으로 처리한 시료의 접촉각은 20도에서 10도로 감소하였으며, $O_2$ 가스를 반응성 가스로 하여 처리한 경우에는 접촉각이 20도에서 1도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동일한 RF power에서 $O_2$ 플라즈마 처리 시 더 낮은 접촉각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TiO_2$ 표면과 산소원자의 결합으로 인하여 표면의 polar force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어 대기압 플라즈마로 처리된 시료의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의 스펙트럼 분석결과 OH 작용기의 증가로 표면의 친수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대기압 플라즈마로 처리된 시료와 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접촉각은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지만 플라즈마 처리 된 시료의 접촉각 증가는 플라즈마 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접촉각 보다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페놀 분해 실험을 통하여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통하여 $TiO_2$ 광촉매의 분해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o improve surface wettability, each sample was treated by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PP)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system. Argon and oxygen gases were used for treatment gas to modify the $TiO_2$ surface by APP with RF power range from 50 to 200 W. Water contact angle was decreased from $20^{\circ}$ to $10^{\circ}$ with argon only. However, water contact angle was decreased from $20^{\circ}$ to < $1^{\circ}$ with mixture of argon and oxygen. Water contact angle with $O_2$ plasma was lower than water contact angle with Ar plasma at the same RF power. It seems to be increasing the polar force of $TiO_2$ surface. Also, analysis result of X-ray photoelectron spectra (XPS) shows the increase of intensity of O1s shoulder peak, resulting in increasing of surface wettability by APP. Moreover, each water contact angle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past time. However, contact angle increase with plasma treatment was lower than without plasma treatment. Additionally, the efficiency of $TiO_2$ photocatalyst was improved by plasma surface-treatment through the degradation experiment of phenol.

      • 형태학적 마스크 확장을 이용한 웨이블릿 계수의 영상압축 알고리즘

        조상진,추형석,안종구 울산대학교 2002 공학연구논문집 Vol.33 No.1

        본 논문에서는 EZW에서 사용한 제로트리 개념을 중요계수에 적용시키고, 선택된 중요계수를 중심으로 형태학적 확장을 시행하여 중요계수의 위치를 코딩하였다. 형태학적 확장을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마스크의 중심을 중요계수에만 한정시킨다면, 어떤 경우에는 단독 중요계수(isolated significant coefficients)를 코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마스크의 중심이 적응적으로 변화하도록 하여 단독 중요계수의 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하였다. 적응적 마스크의 확장을 이용한 코딩법은 불필요한 코딩의 수를 줄이게 되고, 비트율(bit-rate)을 낮출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location of the significant coefficients is possibly found with the mask operations and the magnitude of the coefficients is reconstructed using SAQ by taking advantage of EZW and MRWD. If only significant coefficients are used on the center of the mask operations, the isolated significant coefficients are not able to be coded in some cases, therefore the center of mask is changed adaptively.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 that the number of coding and bit-rate is lowered by the method of coding with the adaptive dilation of the mask.

      • KCI등재후보

        안족과 몸통의 임펄스 응답을 이용한 가야금 사운드 합성

        조상진,최진규,정의필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6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9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a sound synthesis of Korean plucked string instrument, gayageum, by physical modeling which use impulse responses of body and Anjok. Gayageum consists of three kinds of systems: string, body, and Anjok. These are a serial combination of linear time invariant systems. String can be modeled by digital delay line. Body and Anjok can be estimated by their impulse responses. We found three resonance frequencies in the body impulse response, and implemented resonator as body. Anjok was implemented as high pass filter in fundamental frequency band of gayageum. RMSEs of synthesized sounds are distributed from 0.01 to 0.03.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sulting synthesized sounds from the originals sound by ear. 본 논문에서는 가야금의 안족과 몸통의 임펄스 응답을 이용하여 가야금의 사운드를 합성하였다. 디지털 도파관을 이용한 물리적 모델링에서 가야금의 소리를 제어하는 부분은 현과 몸통, 안족의 세 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이 시스템은 직렬 선형적으로 결합된다. 가야금 현의 모델은 지연라인만으로 구현되었고, 몸통과 안족은 각각의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추정하였다. 몸통의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3개의 공명 주파수를 찾아 이를 공명기로 구현하여 몸통으로 대체하고, 안족은 기본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고역통과필터 특성을 갖는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합성된 가야금 사운드의 오차(RMSE)는 주로 0.01-0.03의 아주 작은 값의 분포를 보였다.

      • KCI등재

        안족이 있는 악기의 개선된 현의 모델 개발

        조상진,정의필,Cho, Sang-Jin,Chong, Ui-Pil 한국음향학회 2007 韓國音響學會誌 Vol.26 No.7

        본 논문에서는 안족이라는 움직일 수 있는 브리지의 특성을 이용하여 가야금의 물리적 모델링에서 지연 라인의 길이를 안족이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현의 물리적 모델을 제안한다. 안족은 양 끝이 고정된 현을 받치고 있어 실제 진동하는 현의 길이를 조절하고 현의 진동을 악기의 몸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안족의 위치에 따른 기본 주파수의 변화는 로그 스케일에서 일차 선형 적합성을 이용하여 파라미터로 나타내었고, 이는 현의 모델에서 지연 라인의 길이를 조절하는 컨트롤러인 안족 모델로 구현되었다. 안족 모델은 주파수 적합성, 장력 적합성, 리키 적분기를 이용한 적합성으로 나누어 구현하였는데, 이 중 리키 적분기를 이용한 모델이 가장 우수하였다. 제안한 현의 모델은 실제 가야금의 조율 시스템을 사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었으며 원음과 아주 유사한 음 합성을 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characteristics of a movable bridge called the Anjok and propose an improved string model which has delay line controller in physical modeling of the Gayageum. Movable bridge, the Anjok determines the length of vibrating string and transmits the vibration of each string to the body of the Gayageum. We analyze the variations in frequency domain and implement the Anjok model as parametric form using the first-order polynomial fitting in logarithmic scale graph, because the length of string changes fundamental frequency. In order to implement the Anjok model, frequency fitting, tension fitting and frequency fitting using leaky integrator are used. The frequency fitting using leaky integrator has the best results among those. Proposed string model with the Anjok model can represent real tuning system of the real Gayageum and the proposed model could synthesize sounds which is similar to original sounds.

      • KCI등재후보

        안족과 몸통의 임펄스 응답을 이용한 가야금 사운드 합성

        조상진,최진규,정의필,Cho Sang-Jin,Choi Gin-Kyu,Chong Ui-Pil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6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7 No.3

        본 논문에서는 가야금의 안족과 몸통의 임펄스 응답을 이용하여 가야금의 사운드를 합성하였다. 디지털 도파관을 이용한 물리적 모델링에서 가야금의 소리를 제어하는 부분은 현과 몸통, 안족의 세 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이 시스템은 직렬 선형적으로 결합된다. 가야금 현의 모델은 지연라인만으로 구현되었고, 몸통과 안족은 각각의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추정하였다. 몸통의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3 개의 공명 주파수를 찾아 이를 공명기로 구현하여 몸통으로 대체하고, 안족은 기본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고역통과필터 특성을 갖는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합성된 가야금 사운드의 오차(RMSE)는 주로 0.01-0.03 의 아주 작은 값의 분포를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a sound synthesis of Korean plucked string instrument, gayageum, by physical modeling which use impulse responses of body and Anjok. Gayageum consists of three kinds of systems: string, body, and Anjok. These are a serial combination of linear time invariant systems. String can be modeled by digital delay line. Body and Anjok can be estimated by their impulse responses. We found three resonance frequencies in the body impulse response, and implemented resonator as body. Anjok was implemented as high pass filter in fundamental frequency band of gayageum. RMSEs of synthesized sounds are distributed from 0.01 to 0.03.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sulting synthesized sounds from the originals sound by 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