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지털지적구축 시범사업의 전국 확대방안 연구

        조병현,정택승,정해익 한국국토정보공사 2010 지적과 국토정보 Vol.40 No.1

        With the confirmation of the necessity and the feasibility on the cadastral reform project (CRP) in consequence of the pilot project on digital cadastral establishment, 5 strategic action plans are produced to make the nationwide escalation of the CRP successful. Firstly, it is concluded that the project area based on administrative unit of local government being allowed its autonomy looks like it is more feasible. Secondly, it is required to provide total funds by central government financial aid at the early stage of the CRP to encourage local governments' active participation. However the split funding system by local government and beneficiary organizations can be also considered after the early stage. Thirdly, it is important to escalate the CRP by rousing public opinion with a successful case if the pilot project for the CRP results in success. Fourthly, it is desirable to carry forward the CRP by, not so much radical and full-scale, but by moving gradually and phasing-out. Lastly, administrative authorities should foster advanced cadastral system to share the benefits resulting from the CRP with citizens living beyonds the project area since the CRP will be carried out in long-term period as one of national policy projects. 디지털지적구축 시범사업 추진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적재조사사업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전국 확대를 준비할 때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업지구 선정은 가급적 행정구역별로 지정하되, 해당 지방자치단체별로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둘째, 사업비는 단체장의 적극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초기에는 전액 국비 지원을 원칙으로 하고 그 다음에는 지방비와 수익자 부담 방식도 검토할 수 있다. 셋째, 이들 초기 사업지역이 성공적으로 종료될 경우, 성공사례를 집중적으로 홍보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본 사업은 급진적이고 전 방위적으로 추진하기보다는 점진적이고 단계별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지적재조사사업은 장기간에 걸쳐 국가 정책 사업으로 시행되므로 실시지역 이외의 주민들로 지적재조사로 얻어지는 이익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적제도 선진화를 촉진하여야 한다.

      • KCI등재

        간도문제에 있어서 일본의 책임론에 관한 연구

        조병현 한국지적학회 2019 한국지적학회지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on Gando by analyzing Japan’s perceptions about Gando and the process of Japan’s intervention in the Gando problem, and identifying Japan’s responsibility for the Gando problem.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found that although at first, Japan intervened in the Gando problem with recognizing Gando as the Korean territory, it concluded the Gando Convention with China and surrendered Gando to China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for the sake of its own benefits, rather than solving the Gando problem fundamentally. As for Japan’s responsibility for the Gando problem, first, Japan has the responsibility for having surrendered Gando to China and not having taken measures after its defeat in the second world war. Second, it has the responsibility for the suffering of Joseon people in Gando and the education of wrong histor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ird, it has the responsibility for having made Manchuria be recognized as the Chinese territory through its control of Manchukuo. And fourth, it has the responsibility for having given cause for the division of Korea into south and north and blocking the opportunity for Korea to restore Gando. Conceivable Methods for holding Japan responsible include first, making diplomatic efforts to have the Japanese government raise the Gando problem to China, together with the promotion of the ‘joint declaration of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second, claiming compensation from Japan, and thir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간도 인식과 개입과정을 분석하여 간도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규명하여 우리 정부의 간도문제와 관련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일본은 간도를 한국 영토로 초기에는 인정하고 간도문제에 개입하였으나, 중국과 협상과정에서 간도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하기 보다는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간도협약을 체결하여 간도를 중국에 넘겨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간도문제에 있어서 일본의 책임은 첫째, 간도의 중국 양도와 패망 이후 조치하지 않은 책임이다. 두 번째, 간도 조선인의 고통과 일제강점기 잘못된 역사교육에 대한 책임이다. 세 번째, 일본의 만주국 경영으로 만주를 중국영토로 인식하게 한 책임이다. 네 번째, 남북분단 원인 제공으로 한국이 간도회복을 위한 기회를 차단한 책임이 있다. 일본에게 책임을 묻는 방법은 첫째, ‘한‧일 지식인 공동선언’ 추진과 함께 일본 정부에 간도문제를 중국에 제기하도록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다. 두 번째, 일본에 보상을 요구하는 것이다. 세 번째, 북한과 협력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토지조사사업의 지적학적 성격에 관한 연구

        조병현,이현준,장대기 한국지적학회 2019 한국지적학회지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ruths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nd Colonial Exploitation Theory in the Chosun Land Survey Project in cadastral perspectiv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hosun Land Survey Project appearing in Japanese history textbooks and anti-Japanese nationalism on the basis of Cadastral Origin Theory.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the internet researches were conducted. Descriptive analysis method an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ssentials of the Chosun Land Survey Project executed by Imperial Japan in Chosun were drawn out as follows; first, the Chosun Land Survey Project aimed to exploit the colony of Korea based on Invasion Theory. Invasion Theory and Exploitation Theory corresponded with the contents researched as Chosun Land Survey Project was carried out as a means to expand Japanese territory and secure a firm foundation for colonial rule. Second, the argument that land ownership in Chosun could be established through Chosun Land Survey Project turned out to be a distortion of truth. The argument lacked the ground when compared to Inherent Development Theory that the Land Survey Project implemented by the Great Han Empire(大韓帝國) could sufficiently establish land ownership for itself in Chosun. Third,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proved to be a scheme to rationalize the Japanese colonial rule. Chosun Land Research Project cannot be glorified by the modernization of Chosun because it aimed to exploit land of Chosun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on Chosu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kes policy suggestions for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land survey project by the Great Han Empire, establishment of research institutes to revitalize researches on Chosun Land Survey Project and introduction of resident-friendly 'life cadaster' through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cadastral re-survey proje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 발생설을 토대로 일본 역사교과서와 반일종족주의에서 나타난 조선토지조사사업을 조사‧분석하여 조선토지조사사업의 식민지 근대화론과 수탈론의 진실이 무엇인가를 지적학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과 비교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토지조사사업의 본질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조선토지조사사업은 침략설에 기반한 식민지 수탈이 목적이었다. 일본의 영토확장과 식민 통치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선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침략설과 수탈론은 내용적인 측면에서 일치하였다. 둘째, 조선토지조사사업으로 조선에 토지소유권이 확립되었다는 것은 진실의 왜곡으로 나타났다. 대한제국에서 실시한 토지조사사업으로도 충분히 토지소유권 확립이 가능했다는 내재적발전론 보다 근거가 부족하였다. 셋째, 식민지 근대화론은 식민지배의 합리화 술책으로 나타났다. 조선토지조사사업은 식민지통치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토지 수탈에 있었기 때문에 조선근대화로 미화될 수는 없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한제국의 토지조사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조선토지조사사업 연구활성화를 위한 연구기관의 설립, 지적재조사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통한 주민친화형 ‘생활지적’ 도입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경계골조 및 접합방법에 따른 3경간 병렬 강판전단벽 내진성능평가

        조병현,오근영,장대희,이강민 한국강구조학회 2018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30 No.5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seismic performance and to analysis of yielding mechanism and to develop design method of coupled steel plate shear wall (Coupled SPSW) system. It was considered to the length of coupling, beam-column connection, boundary frame-plate connection and aspect ratio as variable. As result, Coupled SPSWs were showed excellent stiffness as well as strength. Also, Coupled SPSWs were redistributed after yielding of plate. And then, boundary frames were showed the plastic deformation after stress redistribution. The difference of seismic performance was shown by aspect ratio and length of coupling. 본 연구에서는 병렬 강판전단벽 시스템의 내진성능평가와 항복 메커니즘 분석 및 설계법 개발을 위해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준 실험체와 커플링 보 길이, 보-기둥 접합방식, 경계골조-강판 접합방식, 강판 형상비를 변수로 총 5개의 실험체에 대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병렬 강판전단벽은 1경간 강판전단벽 항복 메커니즘과 마찬가지로 인장역에 의해 강판이 선행항복한 후 하중이 재분배되었고, 이후 경계골조에 소성변형이 진행되었으며, 강판 형상비와 커플링 보 길이에 따라 내진성능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게임 캐릭터의 구현

        조병현,정성훈,성영락,오하령,Cho Byeong-heon,Jung Sung-hoon,Seong Yeong-rak,Oh Ha-r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1 No.7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 기반의 지능형 게임 캐릭터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지능 캐릭터를 구현하는 신경망은 상대방 캐릭터의 행동과 상대방 캐릭터와의 거리를 입력받아 지능 캐릭터의 행동을 결정하여 출력한다 신경망은 두 캐릭터들의 행동으로 인한 점수를 강화 값으로 사용하여 강화 학습된다. 제안한 방법의 효용성을 보이기 위해서 간단한 대전 액션 게임을 구현하고 그 환경에서 여러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견과 제안한 지능형 캐릭터가 게임의 규칙을 잘 학습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된 방법은 대전 게임뿐만 아니라 대규모 온라인 게임상의 캐릭터 구현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me to implement intelligent game characters based on neural networks. Neural networks that implement in-telligent game character receive the action of an opponent charact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decide intelligent character's action, and output the decision. The neural networks are trained by reinforcement learning using the scores acquired by the actions of two characters as reinforcement values.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cheme, a simple fighting action game is implemented and various experiments are perform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roposed intelligent characters can learn the rule of the game. The proposed scheme can be ap-plied to massively multiple online games as well as fighting action ga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