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nhancing the Enzymatic Activity of the Multifunctional β-Glycosyl Hydrolase (Cel44C-Man26A<sub>P558</sub>) from Paenibacillus polymyxa GS01 Using DNA Shuffling

        강영민,강태호,윤한대,계만,Kang, Young-Min,Kang, Tae-Ho,Yun, Han-Dae,Cho, Kye-Man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2

        본 연구자들은 이전에 cellulase, xyalnase 및 lichenase의 다기능 효소활성을 지니는 절단된 Cel44C-$Man26A_{P558}$의 ${\beta}$-glycosyl hydrolase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절단된 Cel44C-$Man26A_{P558}$ 효소의 다기능성 ${\beta}$-glycosyl hydrolase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DNA shuffling을 시도하였다. DNA shuffling에 의해 단일변이(P438A)를 가진 M2Cel44C-$Man26A_{P558}$와 이중변이(A273T 및 P438A)를 가진 M21Cel44C-$Man26A_{P558}$를 얻었다. 이중변이를 가진 M21Cel44C-$Man26A_{P558}$은 단일변이를 가진 M2Cel44C-$Man26A_{P558}$ 보다 효소활성이 낮게 나타났으나, M2Cel44C-$Man26A_{P558}$와 M21Cel44C-$Man26A_{P558}$은 대조구인 Cel44C-$Man26A_{P558}$ 보다 약 1.3에서 2.2배 정도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단일변이를 가진 M2Cel44C-$Man26A_{P558}$는 대조구인 Cel44C-$Man26A_{P558}$보다 cellulase, xylanase 및 lichenase 효소활성이 약 1.5에서 2.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beta}$-Glycosyl hydrolase의 cellulase, linchenase 및 xylanase 최적 효소활성은 각각 pH 7.0, 7.0 및 6.0에서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미노산 잔기인 Ala438이 다기능성 ${\beta}$-glycosyl hydrolase 활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We previously reported that the truncated Cel44C-$Man26A_{P558}$ ${\beta}$-glycosyl hydrolase protein exhibits multifunctional activities, including cellulase, xylanase, and lichenase. DNA shuffling of the truncated Cel44C-$Man26A_{P558}$ enzyme was performed to enhance the enzymatic activity of the multifunctional ${\beta}$-glycosyl hydrolase. Two mutant enzymes, M2Cel44C-$Man26A_{P558}$ that carries one mutation (P438A) and M21Cel44C-$Man26A_{P558}$ that carries two mutations (A273T and P438A) were obtained. The enzymatic activity of the M21Cel44C-$Man26A_{P558}$ double mutant was lower than enzymatic activity of the single mutant (M2Cel44C-$Man26A_{P558}$). However, both mutants displayed the enhancements in their enzyme activities that were ${\approx}1.3$- to 2.2-fold higher than the original enzymatic activity in Cel44C-$Man26A_{P558}$. In particular, the mutant M2Cel44C-$Man26A_{P558}$ exhibited an approximate 1.5- to 2.2-fold increase in the cellulase, xylanase, and lichenase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Cel44C-$Man26A_{P558}$). The optimum cellulase, linchenase, and xylanase activities of ${\beta}$-glycosyl hydrolase were observed at pH 7.0, pH 7.0 and pH 6.0, respectively. These results, therefore, suggest that the amino acid residue Ala438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enhancement of the activity of multifunctional ${\beta}$-glycosyl hydrolas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심사논문 : 주거용 모기지 상품리스크와 금융소비자 보호

        조만 ( Man Cho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11 금융소비자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거용 모기지 상품의 특성 및 리스크 공유 (risk-sharing) 현황을 국제비교를 통하여 분석하고 관련 정책 사안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의 주요 결과로, 우리나라 모기지 시장은 대출심사 측면에서 대체로 견실하게 운영되어 온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모기지 상품의 미시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시장안정화와 대출기관-차입자 간의 리스크 공유 측면에서 몇 가지개선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전체 대출 잔액의 95%에 달하는 변동금리 모기지, 그리고 3년 만기 원금 일시상환 형의 상품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에서 통용되던 상품과 유사한점이 있고, 이들 상품은 주택가격 하락 및 이자율 상승과 같은 시장여건의 악화 시기에는 부실채권이 급증할 수 위험도가 큰 상품구조로 보인다. 둘째, 우리나라의 모기지 상품은 외국에 비하여 차입자에게 부과되는 이자율변동 리스크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금리조정 상한선설정, 변동금리상품에 부과되는 조기상환 벌금의 폐지, 10년 이상의 만기와 초기 5-10년 고정금리 기간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상품의 도입 등이 검토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모기지 시장의 안정적인 발전과 금융소외 계층에 대한 주택금융서비스의 지속적인 확대를 위한 정책제언으로 ``한국형 프라임모기지 시장``의 확립, 상품리스크를 반영한 차별화된 규제의 실시, 그리고 모기지 상품리스크에 대한 금융소비자 교육 강화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ssess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rtgage loans in Korea via international comparison, particularly with regard to risk-sharing arrangement among market participan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are also made. As to key findings, the paper elaborates three issues. First, the non-amortizing three-year maturity loans that still tak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mortgage stock share some similarities with the subprime mortgage loans traded in the U.S. at the peak of the credit cycle, which makes the mortgage finance system in Korea vulnerable to economic downturn driven by home price decline and interest rate hike. Second, in the Korean mortgage market, the interest rate risk borne by borrowers is more burdensom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hich requires several consumer protection mechanisms including interest rate cap, abolition of prepayment penalty on adjustable-rate mortgages, and hybrid loans with reasonably long fixed-rate periods (e.g., 5-10 years) and long maturity. Finally, for the purpose of further development of stable mortgage market that can serve more underserved households, three policy recommendations are made: that is, developing a prime mortgage market suited to Korea, requiring capital rules differentiated by degree of mortgage product risk, and enhancing consumer training on mortgage product risk.

      • KCI등재

        임대료 대비 매매가격 비율(PRR)을 통한 주택금융시장과 실물경제 간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조만(Man Cho),송인호(In-Ho Song),김현아(Hyun-Ah Kim) 한국주택학회 2013 주택연구 Vol.21 No.2

        2010년~2012년 우리나라의 거시경제 환경은 성장률 둔화와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고, 이는 주택시장의 작동기제에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07년~2009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질 GDP 성장률은 빠른 회복세를 보였으나, 2010년 1/4분기 전년동기대비 8.7%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하여 2012년 4/4분기 현재 1.5%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자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인 저금리 추세에 힘입어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30년 동안 유례없는 저금리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 본 고는 현재와 같은 저성장·저금리 환경 하에서 저성장 및 저금리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PRR을 통한 실물경제와 금융시장간의 연계성을 규명하여 주택금융 관련 장·단기 정책과제의 시사점을 정리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은행과 부동산 114, 그리고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당 평균주택매매 및 전세 가격, 주택금융변수(주택담보대출 잔액 및 금리, 주거용 투자 등), 주택공급변수(인허가물량, 착공면적 등)를 이용하였으며, LIR과 LVR은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PRR을 통한 주택 실물시장과 금융시장의 연계성이 외국의 경우와 유사하게 작동함을 보여주고 있다. 실물경제의 침체는 미래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를 약화시키고, 이는 주택의 투자재로서의 매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주택가격 하락을 유발한다. 즉, GDP의 하락은 기대가격 상승률의 하락, 사용자 자본비용의 증가, PRR의 감소, 그리고, 주택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주택은 투자재로서 가지는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주택시장에서 매매수요는 감소하는 반면 임대(전·월세)수요는 증가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금리 하락이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PRR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금리 하락 시 주택담보대출금리 하락으로 금융 비용이 감소하고, 이는 주택을 소유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용자 자본비용을 줄이고 PRR는 증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 결과 주택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Macroeconomic conditions surrounding Korea between 2010 and 2012 can be described by a slowing growth rate and low interest rates, which consequently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housing market mechanism through various channel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whether the PR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hannels in Korea. Moreover, the paper is to study the effects of low interest rates and GDP growth on financial sectors of housing. In this study, the data come from average house purchases and Chonsei prices per ㎡, housing finance variables (house mortgage loan balance and its interest rates, residential property investment, etc.) and housing supply variables (volume of building construction permits and initiated construction area, etc.) released by the BOK, Real Estate 114 Inc. and Statistics Korea. LIR and LVR were calculated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Results show that Korea also shows a significant linkage between the real housing market and financial market through PRR similar to foreign countries. Stagnation in the real economy weakens the sentiment of expectations for house prices to rise in the future and hence pulls down house prices. In other words, the fall in GDP could lead to a fall in the expected increase in house prices, a rise in users’ expenses, a decline in the PRR and eventually a fall in house prices. This means that housing would loose its value as an investment good and therefore the housing market would experience a decrease in the demand for house purchases and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rent (Chonsei and monthly rent). A decline in interest rates causes financial costs and user costs, which increases PRR, so that house prices may increase.

      • KCI등재

        베르나르 마리 콜테스 Bernard-Marie Koltès 작품 속의 발과 신발의 상징

        조만수 ( Cho Man-soo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프랑스어문교육 Vol.28 No.-

        Bernard-Marie Koltès est un écrivain dramatique que l'on compare souvent avec Samuel Beckett afin d'en trouver lasimilitude. Pour ce point-là, Dans la solitude des champs du coton est une autre version d'En attendant Godot. Pourtant, à notre avis au lieu de répéter fidèlement et désespérément Beckett, Koltès tente de sortir de l'impasse de l'écriture théâtrale à laquelle son prédécésseur est arrivé. Comme le montre-t-il bien Jean-Marie Domenach, avec Beckett lavision tragique chez les Grecs est de retour. Nous remarquons d'abord le mythe d'Oedipe. Comme le montre bien ce nom en grecque, Oedipe, ades pieds enflés. A cause de ses pieds enflés, il amal. Les pieds sont le symbole de lalimite de mortel. Le mal au pied symbolise lasouffrace ontologique de l'homme. Sans connâitre qui il est, il tue son père et se marie avec samère. Il devient coupable. Beckett reprenant le symbole d'oedipe crée des personnages apparemment oedipiens. Ses personnages ont mal au pied. Ils sont immobiles. Ils sont plus tragiques que les héros dans les tragédies grecques. Epuisé dès le commencement, le combat contre le destin injustement imposé ne leurs est pas permi. Punissant ses yeux qui n'ont pas vu son identité, Oedipe obtient une connaissance tandis que les personnages de Beckett restent toujours aveugles. Chez Koltès, le symbole des pieds sont plus amplement employé. Il y aégalement des personnages oedipiens qui ont mal au pied. Ce qui est caractéristique, c'est l'usage des chaussures. Les chaussures protègent les pieds. Pour certains personnages, l'ascension sociale peut remplacer la transcendance ontologique. Il y aaussi des personnages qui n'ont pas mal au pied. Ils ont des pieds nus : Abad, Alboury et Zucco. Ils sont des tueurs comme Oedipe. Mais ils ne se considèrent pas coupables. Ils sont libres du sentiment de culpabilité qui constitue l'essentiel dans latragédie. Au lieu d'être épuisé et immobile à cause de lasouffrance originelle, les personnage koltésiens sont définis comme flâneurs infatigables.

      • KCI등재

        프랑스에서의 드라마투르기 개념

        조만수 ( Cho Man-soo )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5

        ‘텍스트가 구성되는 방식’이라는 극작법 차원의 용어인 드라마투르기가 프랑스에서 연극실천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브레히트의 영향의 받은 세대들로부터였다. 이들은 극을 읽어내고 이를 연출개념화하는 사유의 틀로서의 드라마투르기를 브레히트로부터 배웠다. 하지만 프랑스 연극은 극장 속에 드라마투르기를 전담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두는 것을 거부하였다. 프랑스 연극에서 드라마투르기란 베르나르 도르의 지적처럼 ‘정신의 상태’이지 특정 전문가의 기능과 임무가 아니었다. 프랑스에서의 드라마투르기 개념은 비평적 개념의 발전과 궤를 같이 했다. 다양한 해석 가능성 속에서 하나의 구체적 해석을 무대위에 구현하기 위한 사유가 바로 드라마투르기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사유의 틀로서의 드라마투르기는 최초의 설계도를 무대 위에서 구현하는 것으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무대 위에서의 배우들과의 연습과정에서 다시 영향받고 변형되는 사유의 틀이라는 점에서 ‘무대의 드라마투르기’라고 불리운다. 포스트드라마시대의 연극은 드라마 형식을 더 이상 유지하지 않지만, 언어가 아닌 물질적 재료들의 ‘행위’가 존재하며, 이 행위는 재현적 모방에 의해서가 아니라, 각기 다른 층위에 속하는 재료들을 조직하는 드라마투르기를 요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브레히트의 영향이래 포스트드라마연극에 이르는 60년간의 프랑스 연극 속에서 논의된 드라마투르기의 개념이다. It was from the generations of Brecht’s influence that dramaturgy, a terminology of dramatic composition in ‘the means for the construction of texts,’ was first accepted as the concept of theater practice in France. They first learned dramaturgy from Brecht in the framework of thought by reading a drama and conceptualizing it interpretively. However, theaters in France refused to institutionalize dramaturg, which was responsible for taking exclusive charge of dramaturgy in the theater. As Bernard Dort pointed out, dramaturgy is an ‘etat d’esprit’ in French dramas, not a function or a mission of a particular expert. The concept of dramaturgy in France developed and orbited coincidentally with the critical concept. It was precisely ‘dramaturgy,’ that was the reason for implementing a concrete interpretation on a stage in various possibilities for interpretation. However, dramaturgy in this framework of thought is not realiz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original blueprint on a stage, but by a ‘dramaturgie de plateau,’ in the sense that it is the framework of thought that is influenced and transformed recurrently in the process of practice among the actors on stage. Theatrical play in the post-dramatic era no longer maintains the form of drama; however, there exists an ‘action’ of materials that excludes language, and this deed requires dramaturgy that weaves materials belonging to different layers, not on the grounds of emulative reappearance. Such process is the concept of dramaturgy that was discussed in the French dramas over the 60 years from Brecht’s influence to postdramatic theatre.

      • KCI등재

        베케트 희곡의 새로운 해석 : 들뢰즈와 바디우를 통하여

        조만수(CHO, Man-Soo) 프랑스학회 2015 프랑스학연구 Vol.72 No.-

        Depuis des années 50 on parlait d’un Beckett absurde, pessimiste, tragique. La destruction de la signification, la vision pessimiste, l’immobilité des personnages et du temps, l’absence de l’action etc sont des caractéristiques stéréotypées de la critique sur Beckett. Après son décès en 1989 des philosophes comme Gilles Deleuze et Alain Badiou commencent à en parler différemment : l’Épuisé(1992) et Beckett, increvable désir(1995). Deleuze qui refuse le platonisme recontruit la relation de la réalité et des Idées. Selon lui, la réalité contient des Idées comme le potentiel. Pour Deleuze le personnage beckettien est un sujet lavaire qui contient ses Idées dans sa peau. En tant que le sujet lavaire, le héros beckettien semble rester immobile. Pourtant il n’est pas fatigué, il est épuisé. On peut comparer le fatigué, signe de l’impuissance avec l’épuisé qui fait le mouvement perpetuel d’épuiser toutes les possibliités. Le sujet lavaire n’est pas régressif mais vital, dynamique. Le sujet lavaire se dirige vers le temps pur d’Aïon qui se distingue du temps de Cronos qui s’accumule. L’espace pure est le vide. L’action beckettienne se compose de la répétition. Pourtant la répétition au sens du terme deleuzien n’est pas l’accumulation des éléments identiques. La répétition est une énergie vitale qui fait surgir l’évènement. La répétition qui contient la différence est un mouvement de devenir. Dans ce mouvement de devenir, le héros beckettien n’attend pas Godot. Il devient Godot. Les oeuvres de Beckett sont construits dans un mouvement de Devenir-Godot. Pour Alain Badiou, Beckett met son héros en ascèse méthodique. Des conditions générales des oeuvres beckettiennes qui ont fait des stéréotypes sont seulement une condition fictive. Le sujet s’en distingue. Il n’est pas épuisé. Il a l’increvable désir. C’est un désir pour l’autre. Platonien, Badiou croit des Idées. Pourtant des Idées chez Badiou se trouve dans des processus de la réalité. L’autre se présente comme une voix dans l’obscurité. L’événement chez Badiou consiste à nommer cette voix, l’apparition de l’Être dans la pénombre. L’increvable désir pour nommer l’autre est l’amour.

      • KCI등재

        사례분석을 통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개선방안

        조만선(Cho Man Sun),박병현(Park Byung Hyu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8 No.-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부양의무자 기준에 대해서 여러 학자들이 연구를 수행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2015년 7월 급여체계의 개편과 함께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화되기 이전에 수행된 것이다. 본 연구는 부양의무자 기준에서 쟁점이 되어 온 가족부양과 사회부양의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본 후 2015년 7월 부양의무자 기준의 완화 이후에도 불합리한 기준으로 인해 기초생활수급에서 탈락하는 실제 사례를 제시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의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제안된 개선방안으로는 사회통념을 반영한 부양비 산정 개선, 이혼, 사별, 미혼모 딸에 대해 부양의무자 규정 완화, 부양비 하향조정, 부양의무자 재산의 소득환산제 비율 완화, 부양의무자 자녀의 임차료 비용 차감, 부모와 동거하는 부양의무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이다.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gram is costliest but also the most controversial public assistance program in Korea. Despite revision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in July, 2015, the deserving poor often are excluded because of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Considering the changes of family structure, consciousness younger generation about family support, and population composition, the policy of supporting the poor should go for social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public assistance law of Korea strongly emphasized the principle of family support while social insurance laws provide only limited and insufficient family maintenance. Therefore, as public aid, there must be revision on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In this paper, several methods are suggested for revision of family obligation rule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gram.

      • KCI등재

        아리안 므누슈킨 연극에서의 공간

        조만수 ( Man Soo Cho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1 No.-

        본 연구는 태양극단과 아리안 므누슈킨의 연극을 공간의 측면에서 이해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작인 <제방의 북소리>, <마지막 여행자숙소>, <짧은 순간들>, <미친 희망호의 난파자들>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기 보다는 즉흥연습을 통하여 집단창작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태양극단의 방식을 ‘무대의 글쓰기’라 부르기도 한다. 이는 문학적 상징보다는 공간적 표출 방식이 그들 연극의 본질적 표현방식이라는 것이다. 공간 속에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의 공간화가 중요한 것이다. 공간은 이야기가 펼쳐질 물질적 배경이 아니라 이야기 그 자체의 물질적 표현이 된다. 아리안 므누슈킨은 사회, 정치적 주제를 선호하며, 모든 사회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보다 행복한 삶이 가능한 인류의 미래에 대한 믿음을 포기하지 않는다. 때문에 현실과 현실 안에서의 진실의 파악을 중요시한다. 그러나 현실에 대해서 사실주의적인 접근을 하기보다는 시적으로 변용시키기를 원한다. 무대는 하나의 빈 공간이며, 아리안 므누슈킨은 이를 ‘공터’라고 부른다. 이 공터에 우리가 사는 세상이라는 현실을 가져오는데, 이 현실의 진실을 드러내기 위해 현실을 시적으로 변용한다. 그러므로 태양극단의 연극은 시와 진실 속에 동시에 존재한다. 현실과 시적으로 변용된 연극을 충돌시키는 방식 혹은 현실을 연극 속으로 또는 연극을 현실 속으로 액자화시키는 방식이 아리안 므누슈킨이 즐겨 사용하는 방식이다. <제방의 북소리>에서는 인간이 분라쿠 연극의 인형 역할을 맡는 방식으로 현실과 연극을 충돌시킨다. 더불어 엔딩장면에서 작은 손인형을 물이라는 현실 속에 잠기게 하는 방식으로 다시 현실과 연극을 충돌시킨다. <마지막 여행자숙소>와 <짧은 순간들>에서는 현실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편집한다. <마지막 여행자숙소>에서는 고통의 여정 하나하나를 마치 그 여정속에서 타고 왔던 운송수단과 같이 바퀴달린 작은 무대로 표시한다. <짧은 순간들>에서는 프랑스인들의 일상적 삶의 고통의 기억들이 무대 위에 떠오는 파편화된 공간으로 소환된다. <미친 희망호의 난파자들>에서는 영화, 연극, 그리고 연극하는 태양극단 자신들의 현실적 삶을 계속 액자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처럼 시와 진실, 현실과 연극 모두를 아우르는 공간적 글쓰기 이것이 아리안 므누슈킨의 연극세계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Ariane Mnouchkine``s world of theatre by examining the way she has constructed the space. The author has analyzed four recent plays such as Drums on the Dam, The Last Caravan Stop, The Ephemerals, The Castaways of the Mad Hope. For the Director of Theatre du Soleil, space is not a frame in which plot unfolds but rather a material expression of action. She defines the scene as a “terrain vague”. Terrain vague in french is not only an empty space. It is a place which is yet to be defined. Doing theatre consists of defining the space and this paper has call this writing on the scene. In her play, Ariane Mnouchkine seeks to reveal the socio-political truth of the world. However, she does not think of finding them in stark reality. For her, the most big danger of theatre is the realism. In Drums on the Dam, the actors play the role of bunraku marionette. In the ending scene, where all characters get drown, small dolls replace the bunraku-personages. They were thrown themselves into the real water. Last Caravan Stop and the Ephemerals both are a kind of documentary. For these plays, Mnouchkine employs a rolling small scenes. In the Last Caravan Stop, the anguished journey is depicted through the rolling small scenes which represents the transportation vehicle of the illegal immigrants. In the Ephemerals, memory of routined sufferings surfaces through fragmented space emerged on the scene. In the Castaways of the Mad Hope, there is a triple mise en abyme: movie has been framed in the theatre which is in its turn put into the real life of the actors of the Theatre du Soleil.

      • SCOPUSKCI등재

        약초 추출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감주의 젖산발효

        계만(Kye Man Cho),안병용(Byung Yong Ahn),서원택(Weon Taek Seo)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6

        한방발효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한방감주의 젖산발효를 유도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시료로부터 다양한 젖산균을 순수 분리하여 발효적성을 검토한 결과 최적균주로서 LAB19 균주를 선별하였다. LAB19 균주는 곶감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생리 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한방감주에 종배양한 LAB19 균주를 2.5%(v/v) 접종하고 25oC에서 60시간 발효시켰을 때, 한방감주는 141.3 g/L의 환원당과 5.33 g/L의 유기산, 그리고 1.19 g/L의 가용성 페놀을 함유하고 있었다. 당과 유기산 구성을 살펴보면 당의 약 90%는 맥아당이었으며, 유기산의 58%는 젖산이었다. 수용성 phenolics 성분 등에 기인하는 라디칼 소거 활성은 L-ascorbic acid의 92.4% 보다 낮은 76.6-75.7% 범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ctic fermentation of gamju manufactured using a medicinal herb decoction were assessed. A bacterial strain, LAB19, which is used for the induction of lactic fermentation into gamju, was isolated from dried persimmon and identifi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chemotaxonomical features, and 16S rRNA sequencing analysis. After 60 hours of lactic fermentation with Leuconostoc mesenteroides LAB19 at 25℃, the gamju was determined to contain 141.3 g/L of reducing sugar, 5.33 g/L of acids, and 1.19 g/L of soluble phenolics. Approximately 90% of reducing sugar and 58% of acids were maltose and lactic acid, respectivel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retained at levels between 76.6 to 75.7% during the lactic fermentation of gam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