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학파의 중흥

        조남호(Cho, Nam-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8 인천학연구 Vol.9 No.-

        This paper has been studied the thought of Lee Choong-Ik. He is influenced by Lee Zhi, Chinese Yang Ming Scholar. He learns from Lee Zhi especially on essay and he constructs a buddhist temple at Mt. Mani as Lee Zhi done. But he recognizes the limit of Lee Zhi's thought on history. Lee Zhi insists the utilitarianism of history. So he points out Lee Zhi's limitation of the history recognition. Most of Cho-Sun Yang Ming scholars. criticize him, however, Lee Choong-Ik follows Lee Zhi who is willing to get out of the contemporary limitation through his individual liberalism. Lee Choong-Ik wants to get example of his liberalism. However it is ignored. After this he starts to deliberate on the dimension of total society, which is different from Chinese Yang Ming to dream on reform and renovation from the lower class through private lectures. Lee Choong-Ik is deeply interested in buddhism much more compared of any other Cho-Sun scholars. He understands all around the school of Middle way, Yogacara, and Zen. This interest is not in the buddhism simply, but he seeks salvation of human being's anxiety which Yang Ming school finds in human nature. And he has another interest of the philology. He seeks on the philology of a language and character based on Confucian canonics which shows Yang Ming's rational characteristics. He has a difference from his former generation, Lee Kwang Sa, Lee Kwang Shin, who have another thinking on the relation between Zhu Xi and Yang Ming. Furthermore Lee Choong-Ik studies the way of buddhism and philology. This is a distinction of Gang-hwa Yang Ming.

      • KCI등재

        특별논문 : 주시경과 제자들의 단군에 대한 이해

        조남호 ( Nam Ho Ch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9 No.-

        이 글은 주시경과 그의 제자들의 단군에 대한 이해를 종교적 문화적 언어적 역사적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주시경은 일본의 침략에맞서 정신을 보존해야겠다는 결심으로 기독교에서 대종교로 개종하였다. 그는 본체론에서 가장 궁극적인 존재를 일, 본성, 천, 리라고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깨달음에서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은 대종교를 통해서 얻은 것이다. 언어적인 측면에서 그는 단군시대의 언어가 있었고, 그것은 중국과 달리 독자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사고는 그의 제자들에게 계승되어진다. 종교적인 측면에서 이병기와 권덕규는 대종교 경전번역사업에 참여하고, 삼신일체론을 주장한다. 문화적 측면에서, 이윤재는 개천절이 경축절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국민국가의 정체성을 주장하였고, 백두산의 의의에 대해서 최현배는 당시를 동방 대 서방의 대결로 보고, 아시아 동방의 백두산에 단군이 내려와서 밝은 빛을 맞이하여 서방의 암흑세계에 빛을 준 것이라고 하여 백두산이 가지는 지정학적 의미를 강조한다. 홍익인간의 정신에 대해서 최현배는 기독교의 창세기 신화가 천국에서 지상에서 추락한 데 비하여 우리신화는 홍익인간을 통해 인류를 구제하려고 지상에 강림한 것이라고 한다. 정열모와 이병기는 우리가 한글과 단군을 통해서 세계의 문명국가이었다고 한다. 언어적 측면에서 최현배와 권덕규는 주시경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 말과 글이 단군때부터 있었고, 그것이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고, 그것이 조선심과 조선혼이 되었다고 한다. 역사적인 측면에서 이들은 단군조선을 높이고 기자조선을 낮추는데, 기자조선이 조선의 서쪽에 있었다는 주장과 아예 기자조선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주장으로 나뉜다. 전자는 권덕규, 김윤경, 신명균이고 후자는 이윤재이다. This essay focus on Dangun by Ju, Si-Gyeong and his followers. It have religious, cultural, linguistic, historical parts. Ju, Si-Gyeong convert Chistianity to Daejonggyo, for the sake he preserve korean spirit against Japanese invasion in Korea. He insists il, nature, cheon, li is same in ontology. I think it is an enlightenment with mystery experince in Daejonggyo. He says language exist in Dangun dynasty. this idea is succeed to his followers. In religious parts, Lee, Byeong-Gi and Kwon, Deok-Kyu join in Daejonggyo cannon interpretation, and insists trimurti. In cultural part, Lee, Yun-Jae asserts the foundation day of Dangun dynasty is a national holiday, it means a identity of national state. Choi, Hyeon-Bae insists Dangun descend in Baek-Du mountain, it is oriental light in occidental darkness, and relief for mankind. Jeong, Yeol-Mo and Lee, Yun-Jae asserts korea is civilized country for hangul and Dangun. Choi, Hyeon-Bae and Kwon, Deok-Kyu says language and letter exist in Dangun dynasty, it is a Cho-Sun spirit. Kwon, Deok-Kyu, Kim, Yun-Keyong, Sin, Myeong-Gyun, Lee, Yun-Jae insist on Kija-chosun have not exist in korean peninsula, or exist in Dangun teritory western part.

      • KCI등재
      • KCI등재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영토 인식

        조남호 ( Cho Nam-h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2 No.-

        이 글은 독립운동가들 그 중에서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영토인식을 크게 단군조선의 영토, 백두산, 평양, 한사군, 발해, 울릉도·독도·제주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단군조선의 영토에 대한 독립운동사들의 인식은 대종교의 그것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독립운동가들의 단군조선의 영토, 평양, 한사군 인식은 대종교의 그것과 밀접한 관현을 맺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는 조선 후기의 단군조선의 영토·평양·한사군과 연결되어 있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단군조선의 북쪽은 흑룡강(김교헌·박은식·신채호·안확·신태윤·이윤재·장도빈·권덕규·정인보)등 대부분이고, 그중에서 대흥안령(안재홍, 단군교종지서)가 있고, 바이칼호수(정윤)도 있다. 남쪽은 황해북쪽(정윤), 춘천(권덕규), 한강(안재홍), 조령(김교헌), 남해(박은식), 현해(신채호), 제주도(장도빈)등 다양한 견해를 보인다. 동쪽은 대부분 동해(박은식·신태윤·안재홍)이고, 울릉도(장도빈), 더 나아가서 태평양(신채호)까지 라고 한다. 서쪽으로는 황해(박은식), 요하(김교헌·신태윤), 난하(장도빈), 연나라(신채호), 산서(안재홍)등 다양하다. 평양에 대하여. 김교헌·신채호·김윤경·정윤 등은 평양은 한반도 북부에 있는 것만 아니고 중국 요서지역에 있다가 점차로 요동을 거쳐서 한반도에 이르렀다고 한다. 패수도 마찬가지의 변화를 겪는다. 한사군도 대부부의 학자들은 중국 요동에 있었다고 하지만, 안재홍과 장도빈은 한반도내로 보았다는 점도 주목된다. 대종교 계열 학자들은 대체로 태백산을 묘향산이 아니라 백두산이라고 비정한다. 이는 단군조선과 긴밀하게 관련이 있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들은 백두산 정계비에 특히 관심을 표출하였다. 발해를 한국사의 범주에서 인식한 것은 공통된 것으로 보인다. 울릉도·독도·제주도 인식에서 드러난 영해인식은 이윤재의 경우에서 보듯이 확고한 한국의 영토로 이들은 인식하였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영토 인식은 한국 상고사의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단군조선을 정점으로 하는 역사인식 위에 다양시각에서 영토를 연구하였다. 대종교 학자들의 영토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은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었다. This essay is the territory of Daejonggyo scholars. This essay has six parts. territory Tan Kun Cho Sun, Baek Du Mt, Pyung Yang, Han Sa Gun, Bal Hae. Ulleng island, dok do(island), Jeju island. Daejonggyo scholars have diversity on territory Tan Kun Cho Sun. It`s north is Heilong river in China that many scholar have insist, Baical Lake in Russia, etc. south is Hawang Hae Do, Chun Cheon, Han River, Jeju island in Korea. east is Dong Hae, Ulleng island, Tae Pyeong yang etc. west is Hawang Hae, Nan he and Liao he, Shan xi in China, etc. In location of Pyung Yang, many scholars insist that Pyung Yang exist in north china, several transfer to north korea now. In location of Han Sa Gun, many scholars insist Han Sa Gun exist in north china, but Ahn Je Hong·Chang Do Bin claim it exist in north korea. Daejonggyo scholars insist Tae Bae MT is not Myo Hwaeng MT, but Baek Du Mt. This Baek Du Mt have a meaning that is Tan Kun Cho Sun. Bal Hae is korea history by Daejonggyo scholars `Lee Yun Je` wrote at 「Kweguol Ahn Yong Bok, the diplomatic question of Cho Sun two hundred years ago around as the center `Dok island` that Ahn Yong Bok was explaining in matters of Japanese activities. Especially about `Song island`. This is just Dok island`. In addition to, `Kwon Duk Kyu`, `Kim Yun Kyung`, also exposed territory-sea consciousness around at the center `Je Ju isla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어천절 기념식과 독립운동

        조남호 ( Cho Nam H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9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어천절 기념식과 독립운동을 연구한 것이다. 일제 강점시기 어천절은 개천절과 함께 단군과 관련한 중요한 기념일이었다. 어천절 기념식은 국내뿐만이 아니라 상해와 만주에서도 거행하였다. 개천절 이 단군이 조선을 개국하고 문명화를 이루었다는 것을 기념하였다면 어천절은 단군이 죽어 소멸하지 않고 하늘로 돌아간 것을 기념한 것이다. 다시 말해 어천절은 삼신의 영원성을 종교적 신앙으로 믿었다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민족의 동질성을 확인하고 만들어가는 역할을 하였다. 어천절 기념 식은 대종교 또는 단군교 신도들만의 행사는 아니었다. 상해에서는 이승만을 비롯한 많은 임시정부 요인들이 참석하여 기념사를 하였다. 이들의 기념 사는 단군의 은총과 자손들의 잘못, 자손들의 국가를 되찾겠다는 책임의식을 강조하였다. 국내에서도 이병기의 국학 연구에 대한 다짐은 단군을 중심으로 뭉쳐야 한다는 생각을 보여준다. 만주지역을 갔다온 신명균은 만주를 비롯한 북방영토가 우리민족의 영토임을 주장한다. 어천절에 벌어진 마산 창신학교 학생들의 선전운동, 만주지역의 대한독립단이 어천절에 독립단체를 결정한 것과 한족노동당이 국어교과서에 어천절을 넣은 것은 일본에 맞서서 단군을 통해 민족의 정체성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Eocheonjeol Ceremony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ocheonjeol was an important holiday related to Dangun along with Gaecheonjeol. Eocheonjeol was celebra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Shanghai and Manchuria. While Gaecheonjeol commemorated Dangun’s opening of Joseon and civilization, Eocheonjeol commemorated Dangun’s return to heaven without dying out. In other words, Eocheonjeol means that he believed in the eternal nature of the Three Gods as a religious faith. It was not just an event for members of Daejonggyo. In Shanghai, Rhee, Syng Man and many other member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ttended and delivered a commemorative speech. Their commemorative speeches emphasized the grace of Dangun, the wrongs of his descendants,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o restore his country. Even in Korea, Lee, Byung Kee’s commitment to Korean studies shows the idea that Dangun should be united. Shin, Myung Kyun, who has been to Manchuria, claims that Manchuria and other northern territories are part of the Korean people. The propaganda campaign of students at Changshin School in Masan on Eocheonjeol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Han Korean Workers’ Party in Manchuria emphasized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group is the way to unite against Japan, which should be reexamined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국민학교 졸업장 텍스트의 변천 양상

        조남호 ( Cho Nam-ho ),이은경 ( Yi Eun-gyeong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6 텍스트언어학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nges of elementary school diploma texts. In Chapter 2, we described the collectio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diploma texts from 1946 to 1979.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transcriptional method of elementary school diploma texts. We analyzed whether texts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ters or in Korean alphabets, whether texts were written horizontal writing or vertical writing and whether texts were written leaving space between the words or not. In chapter 4, we examined the structure and the aspect of expressions in elementary school diploma texts. As a result of analysis, constituent elements of elementary school diploma text are the title, the name of graduate, the legal domicile of graduate, the date of birth of graduate, the body of elementary school diploma texts, the date of graduation, the nam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name of principal. We analyzed expressions of these constituent elements in elementary school diploma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