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무용연구에서 데이터의 생산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실기기반 연구’를 중심으로
조기숙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3 No.-
무용은 한번 공연을 하면 뜬 구름과도 같이 사라져 버리는 휘발성이 강한 예술이다. 이 순간성을 극복하 는 길은 미약하나마 무용행위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기록․생산하고 관리․보존하는 것이다. 그렇게 생산 되고 보존된 데이터는 무용인들에게 공유되어서 창작과 교육 그리고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그러나 다수의 무용가들은 연습실에서 연습을 할 때나 공연을 할 때 이러한 데이터의 구축에 대한 개념이 없는 경우 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가들에게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게 하는 것과 창작현장에서 데이터를 생성 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무용가들이 창작 현장에서 생성하는 창작데이터의 유형은 일 반 학문의 데이터와는 많이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무용연구에서 창작데이터의 특성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둘째, 무용가들은 어떻게 창작데이터를 생산하는가. 셋째, 무용데이터의 유형은 어떤 것들이 있나. 넷째, 무용에서 연구․창작데이터는 어떻게 보관․관리되는가. 마지막으로 이런 데이터는 어떻게 공유 되고 활용되는가이다. 무용연구자들이나 안무가들은 작품을 공연할 때 주로 동영상을 촬영하여 자료를 만들 고 그것을 보관하는 정도에서 창작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다. 다른 학문과는 다르게 ‘실기기반 무용연구’에서의 데이터는 창작자가 이에 대한 개념을 갖고 직접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접 생산한 창작데이터와 다른 유 형의 데이터의 관리체계를 위해서 이의 장기보존 방식과 활용 방식에 대한 탐구들이 후속연구로 진행될 필요 가 있다. Once a dance is performed, the intangible art disappears. Dance is a highly volatile and seemingly futile form of art. In order to overcome this temporality, despite the difficulties, it is important to record, produce and preserve data about dance. When shared with dancers and people of the field of dance, this data is used as the basic material used to educate, create and conduct more research. However, the majority of dancers(choreographers) tend not to record practice sessions and performances for later use. The following study explores methods used to produce and manage data that has been collected during creation sessions. Collecting data from creative sessions in Korean dance is not the same as collecting data for other academic fields. Firstly,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data in dance studies. Secondly, we will see the how dancers can produce creative data. Next, we will look at the form of dance data. Then, the methods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research/creation data will be discussed. Lastly, we will see how this data can be shared and used. Dance researchers and choreographers are often content with filming dance performances as documentation for storing and creative data. As creative data from ‘practice based research in dance’ is different from academic research data, it is important for the creators to conceptualize their own data. In order to manage their own data and other forms of creative data,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 term follow-up research about preservation methods and utilization methods.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축제에서 예술콘텐츠 개발 사례 - <통통 통영골목예술제>를 중심으로 -
조기숙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 중에서도 예술축제인 <통통 통영골목예술제>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지역재생 과 지역축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이 하나의 목적을 향해서 같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통영에서는 이미 도시재생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통영이 갖고 있는 예술역량을 본격적으로 활용하여 예술콘텐츠를 개 발하는 축제를 한다면 이는 통영이 다시 활기를 차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한국에는 수많은 지역축제 가 있는데 과연 지역의 철학과 정체성을 확보하고 지역민들에게 성찰을 하게 하는 축제는 얼마나 있을까 생각해 볼 일이다. 이런 내용을 할 수 있게 하는 예술콘텐츠의 개발이 절실하다. 지역축제는 그 지역의 도시재생과 연결되어 있다. 즉 도시재생을 위해서 축제가 역할을 하고 지역축제를 위해서 그 지역의 도 시재생이 역할을 해야 그 도시의 발전이 지속가능하게 된다. 도시재생이란 죽어가거나 늙어가는 도시를 다시 살리는 것을 말한다. 이는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인 것에 그치지 않고 이 모든 요소를 통 섭하여 지역에 생기를 창발 시키고 영혼이 살아있는 문화예술적이고 생태적인 것이어야 한다. 즉 예술적 감수성과 예술이 함께 하지 않는 도시재생은 집을 현대화하는 주거환경의 개선 차원에서 끝날 수 있다. 지역재생을 위해서 예술로 예술이 녹아든 지역축제에서 예술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절실하다. 예향인 통영의 도시재생을 위해서 예술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서 <통통 통영골목예술제>에서 예술콘텐츠 개발을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그 예 술콘텐츠의 기능과 의미를 연구하여 지역축제에서 예술콘텐츠 개발에 하나의 유용한 사례를 남기고자 한다. In this study, an example of an art festival was studied among local festivals.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rt content that can secure the philosophy and identity of local festivals and allow locals to reflect on them. Local festivals are linked with urban regeneration in the region. In other words, in order for festivals to play a big role for urban regeneration and for local festivals to play a sustainable role in the regio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region must be shared. Urban regeneration refers to reviving a dying or aging city. This should not only be economic,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but also be cultural, artistic, and ecological, where all of these elements are brought to life in the region and the soul is alive. The festival is very important for urban regeneration in Tongyeong. In this context, we would like to present a case of developing art contents at local festivals by studying the development of art contents at Tongyoung Alley Arts Festival in Tongtong.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plore what art contents were developed and performed at the Tongtong Tongyeong Alley Arts Festival and study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art contents to leave a useful example for the development of art contents at local festiv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both natural environment and art resources should be used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revival of Tongyeong's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art contents will be recognized in the local art festival. It is also hoped that this case will serve as a reference in developing art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