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업사원들의 일-가정 갈등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조광주(Jo, Kwang-Joo) 글로벌경영학회 201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0 No.3

        기업경영의 성패를 최일선에서 직접적으로 좌우할 수 있는 영업인력 자원의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영업사원이 경험하는 업무 관련 자율성은 일-가정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할가능성이 크다. 이는 다양한 고객을 상대하면서 겪어야 하는 감정노동의 결과로 많은 긴장과 스트 레스를 경험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정에서의 역할에 소홀할 수 있을 가능성으로 인하여 일-가정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갈등(WFC)을 일초래 갈등(WIF)과 가정초래 갈등(FIW)로 분류하고 이러한 갈등이 직장에서 상사ㆍ동료의 사회적 지원, 가정에서의 가족의 사회적 지원과 기업에서 실시하는 가족친회적 제도의 유용성 정도가 일-가정 갈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친화적 지원제도가 시행되는 기업에 근무하는 영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기업에서의 가족친화적 근무제도의 유용성과 직장에서의 상사ㆍ동료의 사회적 지원은 일초래 갈등에 대해 동료의 사회적 지원만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에서의 가족친화적 서비스제도의 유용성과 가정에서의 가족의 도구적․ 정서적 지원은 가정초래 갈등 (FIW)에 대해 재정서비스 지원과 가족의 사회적 지원이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업사원들의 일-가정 갈등(WFC)이 개인 삶에 대한 만족과 성과에 대해 가족의 사회적 지원, 상사ㆍ동료의 사회적 지원 그리고 기업의 가족친화적 제도적 지원을 분석한 연구로서 가지는 의의 및 이 연구가 지니고 있는 한계점을 언급하였다. 앞으로 일-가정 갈등(WFC)과 균형 (WLB)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속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자 한다. This change has mostly influenced sales persons, especially those who are standing in the front of business due to the autonomy of work. This autonomy might cause obscurity between the two sectors and brings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Besides, many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 sales persons heavy stress from work could make the salesmen give less attention to their own famili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 classified WFC (Work-Family Conflict), FIW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and WIF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and figured out How Supervisory and Coworker social support, Family social support and Family-friendly support system of the companies can be a buffer in a WFC.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 question survey of car sales, we have found the results as follows. The first part of the study presents two results. First, only Supervisory and Coworker social support have a significance on WIF. Second, Family-Friendly support system of companies and family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show significant relation to FIW. This study analyze how WFC, WIF and FIW of sales persons influence his/her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can give an idea to some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FC and WLB (Work-Life Balance) in the future.

      • KCI등재

        플립러닝 수업에서 대학생들의 행동 성향

        조광주(Kwang-Joo Jo),김종두(Jong-Doo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4

        이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 플립러닝 수업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일어나는 현상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최근에 새롭게 대두되는 플립러닝 수업기법을 대학수업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관찰과 질문지조사를 병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플립러닝 수업은 아직 대학생들에게 생소한 용어로 대학수업에서 보편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둘째, 학생들은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학기 중에 이루어지는 교과목의 학습준비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은 플립러닝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에 대한 실천은 낮은 것으로 인지되었다. 다섯째, 플립러닝 적용을 위한 복잡한 전달과정, 즉, 연구자가 학생들에게 수업진행을 위해 전달해야하는 많은 수업설계요소들은 전달과정에서 충분히 인지시키기 어려운 경향도 있다. 여섯째, 동료학습의 효과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플립러닝에 대한 수업 효과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조금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플립러닝은 기본적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행학습을 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학습동기가 낮거나 부족한 학생들에게 일상적인 선행학습 방식을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when applying the flip-learning teaching methods in college classes. Therefore, in recent years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flip the classroom learning techniques applied to university instruction in emerging placed purposes. Research methods were combined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lip-learning instruction were still unfamiliar to university students. Second, students could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flip-learning instruction. Third, students were learning course consisting of unfaithful prepared during the semester. Fourth, the college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positive flip-learning instruction. However, for practical learning it was perceived as low. Fifth, the complex transfer process for flip-learning applications, that is, researchers, students need to pass a lot of instructional design element for the educational process are also trends are difficult to recognize fully in the delivery process. Sixth, the effect of peer learning appeared to be higher from boys than girls. Seventh, the effect on the flip-learning instruction was found that boys recognized a little bit higher than girls. Eighth, the flip-learning students are basically in a direction that is designed to voluntarily prior learning. Therefore, learning motivation is low or insufficient students to apply prior learning everyday how difficult it was found.

      • KCI등재

        직무능력표준(NCS)기반 기업활용패키지와 교육ㆍ훈련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조광주(Kwang-Joo J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는 M사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기업활용 컨설팅 결과와 관련 NCS의 능력단위, 수준, 내용을 직무분석을 통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이 M사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리 및 교육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M사의 생산팀과 경영지원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직무 맵핑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사에서 도출한 대부분의 직무분석은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연계될 수 있다. 일부 직무는 기업의 규모와 조직의 재정립을 통해 도입할 예정이며, NCS의 능력단위가 보다 세분화되어 있어 이를 활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M사의 직무 수준과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한 수준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업의 규모와 요구되는 숙련수준이 아직 미비하기 때문에 향후 조직의 재정립을 통해 NCS 기업활용패키지를 근간으로 도입 활용할 예정이다. 셋째, M사의 직무 내용보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내용이 보다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기업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리 및 직원들의 교육·훈련의 목적으로 활용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기업의 직무향상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제시하는 기업활용패키지가 직원들의 선발과 직무향상 및 교육·훈련을 위한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o develop, manage and train human resources of M company by analysing NCS competence unit, level, and content. Some representatives of production team and management team in M company were given job mapping and were interviewed for this purpose. The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job analysis derived from the data of the M company can be linked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Some other jobs are expected to be introduced by redefining the size of enterprises and its organizations, Indeed, competence unit of NCS is quitely subdivided so that M company does not seem to have difficulty in utilizing it. Second, in respect of job level,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M company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t can be explained that M company might be insufficient in the size and competency level. Thus M company is required to redefine its organization and introduce NCS-based company application package. Thir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have included more extensive contents than those of M company so that those can be useful to develop, manage and train human resources of M company. In conclusion, company application packages for improving job task in future company can be expected to applied usefully to select and train their employees in order to improve their job competence.

      • KCI등재후보

        영업사원들의 일-가정 갈등과 사회적 지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광주(Jo, Kwang-Joo),문기(Cho, Mun-Kee)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4

        최근 산업사회로부터 지식사회로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일과 가정사이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이 두 영역의 갈등은 당사자인 영업사원의 삶의 질과 건강만 해칠 뿐 아니라 가족구성원, 직장동료, 나아가 조직의 성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수준에 걸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일과 가정사이의 갈등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과 가정사이 갈등으로 힘들어하는 영업사원을 조사하여 일과 가정사이의 상호 역할관계를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과 가정사이 갈등을 WIF(work interference with family:일 초래 갈등), FIW(family interference with work:가정초래 갈등)으로 분류하였고, 이 갈등 요인들이 가족 또는 회사 상사, 동료의 사회적 지원과 기업의 제도적 지원으로 얼마나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보험회사에 근무하는 직장인 10명과 자동차에 근무하는 직장인 7명을 심층면접 설문 조사 하였다. 연구의 결과, 영업사원들이 일과 가정사이 개체들의 깊은 부정적 갈등관계를 확인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직장, 가정 내 조절 장치들 중 효과적으로 이 갈등을 줄이는 지원요소들의 긍정적 작용과 부정적 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의 사회적 지원은 업무에 큰 영향을 가져왔으나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 지원은 시기, 질투를 야기하였고, 기업의 제도적 지원은 조직기강의 해이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일과 가정사이 갈등을 더욱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정량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 and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were re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sales persons who has relatively more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In addition, these conflicts were studied how to adjust the factors of conflict by family’s social supports and Supervisory and Coworkers’ social support, and how family friendly support system from their companies to adjust the conflicts between work- family.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 question survey of 10 insurance sales and 7 car sales, we have foun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of all, WIF of sales person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role overload, job conflict and job ambiguity. In second, FIW of sales person was classified as husband and wife conflict, and economic conflict. Considering these kinds of family induced conflict, sales person could face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WIF). In third, moderating role from social support to FIW which gives negative effect to sales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From this study, social support and company’s support system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the results implied an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research constructs.

      • KCI등재

        판매조직에서 영업사원들의 일-가정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광주(Jo, Kwang-Joo)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3

        정보통신기술 환경변화는 판매조직의 영업사원들의 판매활동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비즈니스 환경변화는 영업사원의 경우에도 업무갈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직장과 가정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갈등(WFC)을 일초래 갈등(WIF)과 가정초래 갈등(FIW)로 분류한 뒤 이러한 갈등이 영업사원들의 만족과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영업하는 전국 판매조직에 근무하는 영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했는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가정초래 갈등을 높게 지각할 수록 직무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만족에 대해서 일초래 갈등과 가정초래 갈등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초래 갈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이직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초래 갈등이 높을수록 오히려 영업성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갈등이 높아지면 성과는 감소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것으 로, 판매조직의 영업적 특성이 오랜 시간 지속적인 관계유지가 필요한 영업상 특징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nvironmental change is having an impact on the sales activities of the various sales representatives in the sales organization. These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re not only the business conflict but also the work and family conflicts, incase the salesperson. In this study, Work-Family conflict(WFC) is classified as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WIF) and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FIW) and is investigate how those conflicts have the impact on the satisfaction and the performance of sales persons. We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s with the salespersons who work on national sales organizations operating in the country for this purpose, and found the following facts through analysis. First, as the sales person recognizes deeper FIW, so his or her job satisfaction is lower. Second, higher FIW and WIF leads to lower life satisfaction. Third, higher FIW causes stronger desire of turnover intention. fourth,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 stronger conflict caused poorer performance in general sales fields. On the contrary, this study shows that higher WIF leads to better performance, holding a long-term relationshi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influential sales characteristics in sales organization.

      • 플립러닝 수업에서 대학생들의 행동 성향 Ⅱ

        김종두(Jong-Doo Kim),조광주(Kwang-Joo J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11

        이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 플립러닝 수업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최소한의 처치를 하였을 때 일어나는 현상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최근에 새롭게 대두되는 플립러닝 수업기법을 대학수업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방법은 관찰과 질문지조사를 병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플립러닝 수업은 아직 대학생들에게 생소한 용어로 대학수업에서 보편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둘째, 학생들은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학기 중에 이루어지는 교과목의 학습준비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은 플립러닝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에 대한 실천은 낮은 것으로 인지되었다. 다섯째, 플립러닝 적용을 위한 복잡한 전달과정, 즉, 연구자가 학생들에게 수업진행을 위해 전달해야하는 많은 수업설계 요소들은 전달과정에서 충분히 인지시키기 어려운 경향도 있다. 여섯째, 동료학습의 효과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효과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조금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플립러닝은 기본적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행학습을 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학습동기가 낮거나 부족한 학생들에게 일상적인 선행학습 방식을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enomena that occur when the lea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flip - learning method which is emerging recentl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combined with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esented. First, flip learning lesson is a term that is unfamiliar to college students. Second, the students did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flip learning lesson. Third, the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be neglected in the preparation of the subjects during the semester. Fourth, college students showed a positive aspect of flip learning lesson. However, the practice of learning was recognized as low. Fifth, the complicated delivery process for flip learning application, that is, the many instructional design elements that the researcher has to deliver to the students in order to proceed the class, tends to be hard to recognize in the delivery process. Sixth, the effect of peer learning was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It was also found that boys were slightly more aware than girls. Seventh, flip learning is basically designed to encourage students to do voluntary pre-stud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outine pre-learning method to students with low or no learning motivation.

      • KCI등재
      • KCI등재

        일·학습병행제 참여자의 성취동기와 만족도

        김종두(Jong-Doo Kim),조광주(Kwang-Joo J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6

        목적: 본 연구는 설문지 조사를 통해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기업근로자들의 성취동기와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폴리텍 대학에서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근로자들의 참여 후 기대는 현장실무능력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둘째, 교육훈련생들의 성취동기는 전반적으로 교육훈련이 짧고, 화학분야이면서,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훈련생들의 만족도는 교육기간이 길고, 화학분야이면서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에게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가치: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교육훈련생들이 가지고 있는 내적 성취동기와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제도의 적용에 대한 운영효과와 방향성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orporate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work-learning concurrence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work-learning concurrence program at Polytechnic University. Finding/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participation of workers participating in work / learning concurrence, expectation is focused on improvement of field work ability. Second,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trainees was generally short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and it was high in the people who aimed to advance to college while being in the field of chemistry. Third, the satisfaction of the trainees showed that the education period was long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among the people who are in the field of chemistry and who aim to acquire the qualification. Valu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al effect and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by examining the internal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work / learning concurrent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