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급사슬 파트너십 하에서 공급자-구매자 이익공유와 가격결정 정책에 대한 계량 모형

        조건,소순후 한국경영과학회 2006 韓國經營科學會誌 Vol.31 No.1

        Supply chain management (SCM)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the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Moreover, supply chain partnerships between suppliers and buyers in SCM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for supplier-buyer's profit sharing and pricing policies based on supply chain partnerships. For this purpose, we assume that a two echelon supply chain with a single supplier and a single buyer is given and the buyer faces deterministic demand which is not only a function of buyer's selling price, but also strictly decreasing, concave, and twice differentiable function. Then we will prove the following. Firstly, without supply chain partnerships, there exist supplier and buyer's selling prices per unit such that their total profits are maximized, under the assumption that buyer's order quantity is exactly equal to the demand buyer faced. Secondly, buyer's selling price per unit which maximizes supply chain's total profit with supply chain partnerships is lower than buyer's selling price per unit which maximizes buyer's total profit without supply chain partnerships. Thirdly, given supplier's selling price per unit, buyer's total profit without supply chain partnerships is greater than that with supply chain partnerships, whereas the opposite case happens for supplier's total profit. Finally, there exists supplier's selling price per unit which makes the maximum total profits for both supplier and buyer with supply chain partnerships greater than those obtained for any given supplier's selling price per unit without supply chain partnerships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대 『朝鮮文 朝鮮』에 나타난 조선인 面吏들의 面治 인식

        조건 숭실사학회 2019 숭실사학 Vol.0 No.42

        Joseon Myeon ruling(面制) in 1917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eant that the ruling policy of Joseon rural area by Imperial Japan which started from the latter era of Joseon dynasty was at an end. This was a part of reorganization of regional system which started from Residency-General and in line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al ruling and merge of Gun and Myeon in 1914. Above all the implementation of Myeon ruling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t that time is marked by the fact that it nurtured low-level officials in Korea, which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ruling method. Meanwhile Korean Myeon officials who were nurtured by Myeon ruling grew as working-level of local ruling in 1920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tended to make Myeon official root out the traditional power relations in the local area and take root of colonial government policy in rural area. I took a look at the whole of colonial government's ruling policy and its characteristics by collecting the voice of Myeon officials shown in 'Reader Forum' of Joseon Writing Joseon issued in 1920s. Approximately 500 cases of writing are confirmed in Reader Forum of ‘Joseonmun-Joseon(朝鮮文朝鮮)’ from 1923 to 1929. The analysis by local areas of the writing in Reader Forum shows that it is likely that Myeon officials in the area with less rural population like Gangwondo, Hamgyeongdo and etc. rather than regions actively involved in agriculture posted a lot of writing. The job title of Myeon officials is divided into Myeon heads and clerks which has frequency of approximately 18% in Myeon head and 68% in Myeon clerks. This paper analyzed the posting of Myeon officials by dividing into administrative affairs, industry, social general and cultivation b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writing of Myeon ruling administrative affairs accounted for majority until early and mid 1920s while posting related to social general had a huge presence toward the late era. The responsibility and importance of recognition to Myeon ruling of Myeon officials have been emerged but as times goes by, there were remarkable cases of showing discontent in working environment where the treatment were poor and room for improvement has no choice were noticed. But there was not intention of giving up Myeon job title even in case of shown discontent was not seen. To sum up, 1920s is the transitional period when local ruling system was being established in colonial era of Japan and Myeon officials nurtured in this period seem to be important backer in implementing war footing and full-scale mobilization in 1930s. 1917년 조선총독부가 식민지 조선에서 시행한 면제(面制)는 한말부터 진행된 제국주의 일본의 조선 농촌사회에 대한 통치정책이 일단락된 것을 의미했다. 이것은 통감부 때부터 시도된 지방제도 개편의 일환이었으며, 1914년 부제(府制) 시행과 군·면 통폐합의 연장선에 있었다. 무엇보다 당시 조선총독부의 면제 시행은 조선인 하급 관리를 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치 방식의 변화를 도모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한편 면제 시행으로 양성된 조선인 면리(面吏)들은 1920년대 지방통치의 실무자로 성장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이들을 통해 전통적인 지방의 권력 관계를 일소하는 한편 식민 당국의 정책을 농촌사회 곳곳에 뿌리내리고자 하였다. 필자는 1920년대 발행된 조선총독부 기관지 『조선문 조선(朝鮮文 朝鮮)』의 ‘독자논단’에 드러나 있는 면리들의 목소리를 모아서 식민 당국이 이들을 통해 의도했던 지배정책의 일단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1923년부터 1929년 사이 『조선문 조선』의 ‘독자논단’에는 모두 약 500건의 글이 확인된다. 독자논단에 수록된 글을 지역별로 분석해 보면, 농업이 활발한 지역보다 강원도, 함경도 등 비교적 농촌 인구가 적은 곳의 면리들이 글을 많이 게재하는 경향을 보인다. 글을 게재한 면리들의 직책은 면장과 면서기로 나뉘는데, 면장이 약 18%, 면서기가 약 68%의 빈도를 보였다. 이글에서는 면리들이 게재한 글을 행정과 산업, 사회일반, 수양 등 성격별로 나누어 분석하기도 했다. 그 결과 1920년대 초중반까지는 면치 행정에 관한 글이 다수를 점유한 반면 후반으로 갈수록 사회일반과 관련한 글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면리들의 면치에 대한 인식은 초기에는 면직 자체에 대한 책임과 중요성이 부각되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낮은 처우와 개선의 여지가 적은 업무 환경에 불만을 나타내는 사례도 눈에 띄었다. 그러나 불만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면직 자체를 포기하려는 의도는 보이지 않았다. 요컨대 1920년대는 일제의 식민지 조선에 대한 지방통치제도가 자리 잡아 가는 과도기였고, 이 기간을 통해 양성된 면리들은 1930년대 전시체제와 총동원체제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배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제1차 교육과정 성립기 문교부 조직과 반공 교육정책

        조건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6 역사와 교육 Vol.22 No.-

        1955년 8월 공포된 제1차 교육과정은 해방 이후 우리 정부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이후 교육과정의 전형이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런데 제1차 교육과정 속에는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더욱 철저해진 반공주의 이념이 삽입되었고 이는 남북 이념 갈등으로 인한 분단의 공고화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남겼다. 한국전쟁 이후 이승만 정부는 이전의 교수요목을 보완하는 한편 반공이념을 주요 기조로 한 새로운 교육정책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문교부 조직에 대한 개편을 감행하고, 문교부 장관을 비롯한 주요 직책자들을 반공주의에 철저한 인물들로 선임하였다. 문교부 조직은 1948년 11월 처음 마련된 이후 1950년 3월과 1955년 2월, 모두 두 차례 개편되었다. 이중 1955년 2월에 있었던 개편에서는 문화국의 업무 내용 확장과 사회교육과를 중심으로 한 부서 개편이 특징적이다. 당시 개편으로 문화국에는 기존 공보처에서 담당하고 있던 검열 관련 사무가 이관되었고, 사회교육과 내에 ‘국민사상의 연구지도’와 같은 업무가 부가되었다. 이것은 반공교육의 논리를 체계적ㆍ이론적으로 정비하여 사회 일반에 널리 반공이념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의도였다. 한편 반공주의 교육정책 추진의 가장 중심인물은 1954년 4월 문교부 장관으로 임명된 이선근이었다. 그는 역사학자로 널리 알려졌으나 국방부 정훈국장과 자유당 훈련부장 등을 역임하기도 한 대표적인 반공 인사였다. 이선근 외에도 제1차 교육과정 성립기 편수국장으로 임명되었던 조원환, 문화국장 신태현 등은 모두 정부의 반공주의를 교육이념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발탁된 인물들이었다. 주목할 점은 제1차 교육과정 성립기 문교부 주요 직책자들이 모두 친일 행적을 의심받는 인물들이었다는 사실이다. 이승만 정부는 1954년 10월 문교부 장관 훈령으로 교육정책의 기조를 ‘反共防日’로 분명히 한 바 있었다. 그러나 이선근을 비롯한 인물들의 면면을 통해 볼 때, 이승만 정부의 교육정책은 표피적으로만 ‘防日’을 주창할 뿐 실제 ‘反共’만을 역점적으로 추진했다고 판단된다. 1950~60년대 반공은 세계적인 냉전 체제에 따른 자유주의 진영의 중요 정책 중 하나였다. 이승만 정부 역시 해방 후 분단과 한국전쟁을 거치며 반공을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 내세웠다. 다만 제1차 교육과정기 반공 교육정책은 남북 간 이념적인 대립만을 부각ㆍ심화시켰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The first curriculum proclaimed in August, 1955 is crucial in that it was developed independently by Korean government after its liberation and it has been a model for Korea' model curriculum. But the anti-communist ideology becoming radical after the Korean War was added into the curriculum in Korea. This caused a lot of problems in that the ideological conflicts in South and North Korea caused solidification of the division of Korea. Syng-man Rhee government after Korean War tried to implement a new educational policy based on anti-communist as a keynote while making up for an outline program of previous instruction. And it went ahead with the re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Major officials including the Minister of Education were selected to thorough anti-communists. The organiz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was reshuffled two times of March, 1950 and February, 1955 after established first in November, 1948. Among them, in the restructuring in February, 1955, it is characteristics in that the shuffle was about the expanded work of Cultural Affairs Bureau and the reshuffle surrounding social education department. At that time, censorship related work was transferred from the Public Information Bureau to Cultural Affairs Bureau. The work including 'Research guide of people's ideology was added to social education department. This intended to spread the anti-communist across the society by reorganization systematically and theoretically of the logics of anti-communism education. Meanwhile the key figure who implemented anti-educational education is Lee Seon-geun who was appointed as the Minister of Education in April, 1954. He was known as a historian but representative anti-communist who worked as a director of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bureau and deputy chief of staff for training of Liberal Party. Cho Won-hwan as a director of editing bureau and Shin Tae-hyun as a director of Culture Bureau in the era of the first curriculum were people who were appointed to establish anti-communism of all the government as educational ideology. What is noticeable is that major officials of Ministry of Education were the figures who were doubted of having done pro-Japanese activities in the era of the first curriculum. Syng-man Rhee government clarified the keynote of educational policy of anti-communism and defense against Japan with the order of Minister of Education in October, 1954. But looking at the figures like Lee Seon-guen, we can judge that Syng-man Rhee government actually implemented anti-communism rather than the defense against Japan. The anti-communism in 1950s and 1960s was one of major policies of liberal camp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ystem of cold war. Syng-man Rhee government also argued anti-communism as a major policy of the nation by going through the division and Korean War after the liberation. But there is regret in that anti-communism education policy of the era of 1st curriculum highlighted and intensified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Koreas.

      • KCI등재

        전시체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防空 조직과 활동

        조건 숭실사학회 2011 숭실사학 Vol.0 No.27

        전시체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防空 조직과 활동 조 건 1930년대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는 연합군의 공습에 대비하여 조선 주둔 일본군을 중심으로 관과 민이 참여하는 방공 활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일본군의 방공 활동은 연합군의 항공기가 일본 본토와 식민지 및 점령지역에 침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감시·탐지하여 격추시키는 일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군의 방공 활동 뒤에는 반드시 민간의 방공활동이 뒷받침되어야 했다. 이러한 면에서 조선 주둔 일본군의 방공활동은 단순히 연합군 항공기의 공습을 저지하는 행위를 넘어서 식민지 조선사회와 조선인들을 ‘방공’이라는 기재를 통해 전시체제 아래 동원하고 통제하는데 추동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일본은 1920년대 후반부터 도시를 중심으로 대규모 방공훈련을 시행했다. 이때의 방공훈련은 직접적인 공습에 대비하기보다 훈련을 통해 민간을 조직·관리하여 통제하는 데 주목적이 있었다. 조선에서는 1930년대 초부터 방공훈련이 실시되었는데, 경성·부산·평양 등의 대도시와 나남 등 군사도시에서 주로 행해졌다. 조선 내 방공훈련은 조선 주둔 일본군이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참여하고 있었다. 조선에서 공습이 실질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기 시작한 것은 태평양전쟁 개전 이후였다. 조선 주둔 일본군은 미군의 공습에 대비하여 방공지구를 개편하고 지속적으로 방공부대를 확충했다. 조선 내 방공부대는 크게 高射砲部隊를 중심으로 한 지상방공부대와 第5航空軍을 주축으로 한 항공부대가 있었다. 그러나 조선 주둔 일본군의 방공부대는 B-29를 앞세운 미군의 폭격기들에 맞서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없었다. 결국 조선은 미군의 공습에 거의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었는데, 실제 1944년 말부터 종전 때까지 부산을 비롯한 한반도 주요 지역이 공습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글은 조선 주둔 일본군이 시행한 조선 내 방공훈련과 태평양전쟁 이후 방공부대 실태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그리고 전쟁 말기 미군의 실제 공습 상황과 그에 따른 피해 내용을 살펴보았다. 결국 조선 주둔 일본군의 방공활동은 공습에 대비한다는 명목아래 조선인을 통제하고 동원한 虛僞에 지나지 않았다. The Air Defense System and Activities of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1930~1945) Cho, Gun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its colony, began to conduct air defense exercise (ADE) in public-private partnership with a view to cope with the air raid of the Allied Forces from the 1930s. The ADE was to monitor whether the aircrafts of the Allied Forces invade Japan, its colonies and occupied areas, and also to shoot down invaders. The military exercise involved civil supports. In this regard, the ADE was not only to restrain the air raid of the Allied Forces but to mobilize and control Joseon‘s people. Japan began to conduct ADE on large scales in urban areas from the late 1920s. The ADE was to systematically control civilians rather than to cope with air raid. In Joseon, ADE was begun from the early 1930s, especially in major cities, such as Gyeongseong, Busan and Pyeongyang, and fortress cities including Nanam. ADE in Joseon was led by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It was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that air raid was a threat to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Hereat, it rearranged air defense areas and expanded air defense Forces(ADF) continuously. ADF in Joseon was focused on antiaircraft batteries, e.g., ground air defense system and the 5th Air Forces. Nevertheless,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could not effectively take action against US air Forces’s bombers, preceded by B-29. In result, Joseon was exposed without protection to the air raid of the US air Forces; actually, major areas including Busan were damaged by air raid from the end of 1944 until the end of the war. This study is to clarify ADE in Joseon conducted by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the actual state of ADF after the Pacific War, the air raid made by US air Forces during the last period of the war, and the ensuing damages. In conclusion, ADE, conducted by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was to control Koreans in the name of military training.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밀리환초(Mili Atoll) 동원 조선인의 저항과 피해

        조건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7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은 남양군도 밀리환초에 조선인들을 군속으로 강제동원하였다. 1942 년 약 800~1,000명의 조선인들이 밀리환초에 동원되었으며, 주로 밀리섬의 비행장 건설과 보수 공 사를 담당하였다. 그런데 전황이 악화되고 1944년 6월 이후 보급까지 중단되자 밀리환초는 심각한 식량난에 빠 져들었다. 직접 농사를 지어 식량난을 해소하고자 했으나 기후와 토양 문제로 농작물이 잘 자라 지 않았다. 특히 식수 부족이 심각했는데 빗물을 받아 겨우 생활하는 형편이었다. 설상가상 미군 의 공습으로 생활 시설과 숲까지 파괴되자 식량난은 더욱 심각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군에 의한 잔혹 행위가 벌어졌다. 조선인들은 잔혹 행위가 계속되기 전에 섬 을 탈출할 계획을 세웠다. 1945년 3월 1일 새벽 일본군을 제압한 뒤 미군에 투항하려는 계획이었 다. 그러나 이는 얼마 지나지 않아 발각되었고 결국 일본군은 탈출 계획에 참여한 수많은 조선인 들이 학살하였다. 일본군이 작성한 자료에 따르면, 총살당한 사람이 32명, 자살한 사람은 23명으 로 모두 55명이 사망하였다. 미군이 제작한 자료에도 조선인들의 저항과 일본군의 학살 사건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미 해 군은 조선인들의 밀리환초 탈출과 이동, 그리고 수용소 생활 등을 모두 촬영하여 남겼다. 이들 사진 설명 중에는 193명의 한국인 ‘노예 노동자’가 일본에 저항해 반란을 일으켰고 이 중 68명이 생존했다는 대목이 나온다. 미군은 이들을 ‘노예 노동’에 동원된 사람들로 파악하고 있었다. 밀리환초 조선인 군속들의 저항과 일본군의 학살 사건은 피해자들의 증언과 일본군이 작성한 명부, 그리고 미군 측 기록에 의해 대부분 역사적 사실로 규명되었다. 다만 아직도 정확한 피해 규모와 개인별 사례 등은 밝혀져야 할 내용이 많이 남아 있다. 무엇보다 지금도 당시 사망한 조선 인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유해가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During the Asia-Pacific War, Japan forcibly mobilized Koreans to an army civilian employee to Mili Atoll in the Mid Pacific. In 1942, about 800 to 1,000 Koreans were mobilized at Mili Atoll, mainly responsible for the construction and repair of an airfield on Mili Island. However, when the war situation worsened and the supply was stopped after June 1944, Mili Atoll fell into a serious food shortage. They tried to resolve the food shortage by farming themselves, but crops did not grow well due to climate and soil problems. In particular, the shortage of drinking water was serious, but they barely lived in rainwater. To make matters worse, the food shortage became even more serious as living facilities and forests were destroyed by the U.S. military air s trikes. In this situation, cruelty was committed by the Japanese military. The Koreans planned to escape from the island before the atrocities continued. It was planned to surrender to the U.S. military after overpowering the Japanese army in the early morning of March 1, 1945. However, it was discovered shortly after, and eventually, the Japanese army slaughtered numerous Koreans who participated in the escape plan. According to data prepared by the Japanese military, 32 people were shot and 23 people committed suicide, a to tal of 55 people died. Data produced by the U.S. military also show records of the resistance of Koreans and the massacre of Japanese troops. The U.S. Navy filmed and left all of the Korean people's escape from the Mili Atoll, movement, and life in the camp. Among the explanations in these photos, there is a record that 193 Korean slave workers resisted Japan and revolted, of which 68 survived. The U.S. military identified them as people mobilized for slave labor. The resistance of an army civilian employee and the massacre of the Japanese military in Mili Atoll were identified as historical facts by the testimony of the victims, the list written by the Japanese military, and the records of the US military. However, there is still a lot to be revealed about the exact scale of damage and individual cases. Above all, the remains of victims of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s who died at the time have not returned.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광주·전남지역 군사시설 건설과 전쟁유적의 성격

        조건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3 No.-

        At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Japan built numerous military facilities on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wangju and Jeollanam-do, which were not very important militarily, were destined to be the fiercest battlefield at the end of the war. While the Japanese military’s military activities centered on Jeju Island drew attention from academia,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relatively. In this article, the war remains left by the Japanese military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d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army and navy,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ince the beginning of 1945, the Japanese military has strengthened military and naval uni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o prevent U.S. attacks, while expanding military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m. They can be divided into land, sea, and air milita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many still remain. Military facilities built by the Japanese Army in Gwangju and Jeollanam-do include defense and surveillance facilities, boat bases, and airfields. In particular, the main base was built in Mokpo and other island areas on the southwest coast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military supplies to avoid the U.S. military blockade. In addition, an army airfield was built near Mokpo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importance of the sea and the transportation fleet. A typical military facility built by the Japanese Navy in Gwangju and Jeollanam-do is an air base. In particular, a number of related facilities suchas ammunition warehouses and fuel warehouses were built around the runway of the airfield in Gwangju and Yeosu. There are no runways left in Gwangju, but a number of underground facilities built for use as fuel and ammunition warehouses are confirmed. In Yeosu, concrete-built runway remains on the coast, and related facilities are also identified nearby. In particular, there is a large-scale underground facility behind Yeocheon Elementary School,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aircraft shelter that the Japanese military built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aircraft shelter is a semi-circular concrete structure built to protect aircraft from air strikes. The Japanese military made these bodies to use them for suicide attacks. In addition, the 5th Air Force, which was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war, had a total of 700 aircraft, of which 500 were organized for suicide attacks. The Japanese military turned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a launching base for “suicide attack aircraft” to continue the invasion war.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일본은 한반도 남서해안에 수많은 군사시설을 건설했다. 일제 식민지기 군사적으로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던 광주·전남지역은 전쟁 막바지 가장 치열한 전장이 될 운명이었다.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일본군의군사 활동이 학계의 주목을 받았던 반면, 광주·전남지역은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일본군이 광주·전남지역에 남긴 전쟁유적을 육군과 해군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군은 1945년 초부터 미군의 공격을 막기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육군과해군 부대를 증강하는 한편 그에 대응한 군사시설을 확충해 나갔다. 이들은 그성격에 따라 육상과 해상군사시설, 그리고 항공군사시설로 나눌 수 있는데, 지금도 상당수가 남아 있다. 일본 육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건설한 군사시설은 방어와 감시 시설, 주정기지, 그리고 비행장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주정기지는 미군의 해상봉쇄를 피해군수물자를 운송하려는 목적으로 목포를 비롯하여 남서해안 여러 도서지역에건설했다. 아울러 목포 인근에 육군비행장을 건설했는데 해상의 중요지와 수송선단 보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일본 해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건설한 군사시설로는 대표적으로 항공기지를들 수 있다. 특히 광주와 여수에 비행장 활주로를 중심으로 탄약고와 연료고등 관련 시설들을 다수 건설했다. 광주에는 활주로는 남아 있지 않지만, 연료고와 탄약고로 사용하기 위해 구축했던 지하시설이 다수 확인된다. 여수에는 해안에 콘크리트로 구축한 활주로 유구가 남아 있고, 역시 인근에 관련 시설물들이확인된다. 특히 여천초등학교 뒤편에 대규모 지하시설이 있는데 그 건설 목적에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본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구축했던 비행장 엄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엄체는 항공기를 공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축한 반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일본군은 이들 엄체를 특공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만들었다. 아울러 전쟁 말기 한반도에 주둔했던 제5항공군은 총 700기의 항공기를 보유하고있었는데, 이 중 500기를 특공용으로 편성하기도 했다. 일본군은 침략전쟁의지속을 위해 한반도 남서해안을 ‘자살 공격기’의 발진 기지로 만들었던 것이다.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한반도 내 항공기지 건설과 의미

        曺健 한국근현대사학회 202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4 No.-

        한반도 전역에는 일본군이 아시아태평양전쟁기에 건설했던 항공기지 유적이다수 남아 있다. 이 글에서는 일본 육군과 해군이 한반도 곳곳에 건설했던 항공기지의 건설 양상과 전체 현황, 그리고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한반도 주둔일본군이 한반도 내에 항공기지를 주로 건설한 때는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였다. 특히 남한지역에 더 많은 항공기지를 건설했는데 이는 미군의 공습과 상륙에 대비한 조처였다. 자료를 통해 확인한 한반도 내 일본군 항공기지는 총 47개소다. 이 중 남한지역이 31개소, 북한지역에는 16개소가 분포해 있으며, 육군항공기지는 38개소, 해군은 9개소가 확인된다. 미군의 상륙이 가시화되면서 일본군 항공기지는 점차 자살공격을 염두에 둔 특공기지로 변모했다. 이에 따라 일본군은 보유하고 있던 비행기 중 500기를 특공기로 편성하는 한편 이들을은닉하고 보호할 엄체 구축 계획을 추진한다. 당시 구축 계획에 따른 엄체는200기에 달했으며 이중 적지 않은 수가 실제 건설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지금도 남한지역 곳곳에는 일본군이 건설한 엄체가 다수 남아 있다. 이들 엄체는일제가 전쟁 말기 한반도와 식민지 조선인들을 침략전쟁의 볼모로 사로잡은채 희생을 강제했다는 것을 증거하는 상징적인 유적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There are many remains of air bases built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Asia-Pacific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construction patterns and overall status of air bases built by the Japanese Army and Navy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role and meaning of the Japanese military air base at the end of the war were also considered. It was at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when the Japanese military mainly built air bas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more air bases were built in the South in preparation for U.S. air strikes and landings. There are a total of 47 Japanese air bases on the Korean Peninsula confirmed through the data. Among them, 31 are in South Korea and 16 are in North Korea. Of the 47 air bases, 38 air bases for the Army and 9 for the Navy are identified. As the landing of the U.S. military became visible, the Japanese air base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place with suicide attacks in mind. As a result, the Japanese military organized 500 of its planes into units for suicide attacks. It also implemented an aircraft shelter deployment plan to hide and protect them. At that time, there were 200 aircraft shelter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lan, and many of them were actually built. Even now, many aircraft shelters built by the Japanese military remain throughout the South. These aircraft shelters are important in that they are symbolic remains to prove that the Japanese forced sacrifices by capturing the Korean Peninsula and colonial Koreans as hostage to the war of aggression at the end of the war.

      • KCI등재

        BSC와 AHP를 활용한 중소기업기술지원사업 성과평가 : 광산업기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조건,정경호,이경재,박이숙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 card: BSC)와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중요도-만족도 연관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등을 활용하여 정량적 측면과 정성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중소기업기술지원사업의 성과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며, 광산업기술지원사업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이 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BSC의 4대 관점(재무관점,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을 활용하여 지원사업의 성과평가에 필요한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s, CSF) 및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를 도출하고자 하며, AHP를 활용하여 BSC 각 관점 및 세부사업의 합리적인 가중치를 결정하고자 한다. 또한 IPA를 활용하여 BSC의 각 관점별 중요도(importance)와 성과(performance)간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원사업의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BSC와 AHP를 활용하여 중소기업기술지원사업의 성과평가모형구축에 필요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광산업기술지원사업의 성과를 여러 관점에서 평가해 볼 수 있는 포괄적이고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였다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will first try to develope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technology support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 industries using BSC, AHP, and IPA from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oint of view and then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photonics firms being supported by the technology support program for small and medium industries. For this purpose, we will first determin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CSF)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require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support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 industries from four perspectives of BSC and then determine the weight for each of CSF, KPI, and four perspectives of BSC using AHP. Moreover, we will conduct IPA analysis to propose an improved managerial scheme for future's technology support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 industries. There are two kinds of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one for theoretical contribution and the other for practical contribution. In fact, we would be able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required for establishing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technology support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 industries using BSC and AHP. We would also be able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various perspective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support programs for photonics industries from the various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