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형식,류재일,안상로,Jeong, Hyeong-Sik,Ryu, Jae-Il,An, Sang-Ro 한국지반공학회 1989 대한토질공학회지 Vol.5 No.4
토질제체 설계시 piping에 대한 대책으로 현재에 적용되고 있는 creep비는 원래 Masonry 또는 콘크리트 댐의 저면과 기초지반토질과의 접촉면에 따른 침투에 의한 piping의 방지를 위한 기준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creep비가 토질로 형성된 제체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모형실험을 통하여 구명하고 현행 creep비기준을 재평가 하였다. 연구결과 토질제체에서 발생되는 piping파괴는 토질제체와 기초지반과의 확측면에서는 발생하 지 않았으며 토질종류에 관계없이 제체내에서만 발생하였다. 따라서 제체를 형성하는 토질과 기초 지반토질중 투수계수가 적은 토질을 기준으로 creep비를 정하는 현재의 설계기준은 불합리함을 알 수 있었다. The creep ratio, which has been applied as a measure to prevent piping failure in designing embankments, has been originally proposed for the protection of masonry or concrete dam from piping along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foundation soil and the bottom of the structure. In this study, it has been investigated whether this creep ratio could be applied for the earth embankment through the model test and we reevaluated the required creep ratio in the present design criteria. Based on this research, it was concluded that a piping failure would always occur within the embankment body and not through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embankment and foundation.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present design criteria are illogical to determine the design creep ratio according to less permeable soil no matter whether the soil forms embankment or foundation.
광고와 객관적 증빙을 이용한 상표자산화 : 상표확대전략에의 시사점 Implications for Brand Extension Strategy
정형식 전남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1999 産業經濟硏究 Vol.23 No.1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주요 정보원인 광고와 공공기간에서 제공하는 상품평가에 관 한 객관적 증빙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브랜드에 대한 지각을 구조화시키는가를 보였다. 또한 브랜드 자산을 상표확대에 이전시키는데 있어 한계 점 을 고찰하였다. 한 브랜드의 경쟁우위적 강점 기반이 특정속성과 연관되었을 때, 이 속성과 관련 이 필은 제품 범주로만 상표확대가 가능하였다. 한 브랜드가 전반적인 이미지에서 강점을 가질수록 더 넓은 제품범주로 상표확대가 가능하나 속성에 입각한 상표확대 보다는 그 효과가 강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상표확대에 대한 이론적이며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 ABSTRACT >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perceptual framing, and the limitations of brand extension by providing advertising and objective evid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brand equity based on advertising and evidence influences consumers' evaluation of a brand extension. If the basis for a brand's competitive advantage is closely tied to a particular attribute, its ability to capitalize on the advantage through brand extension is likely to be limited to products that share the same basis for competition. A more general image is likely to transfer more widely to unrelated product categories, but provides less leverage in relevant product categories with a more or less limited impact on brand extension. Further, this study show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brand extension in relation to advertising and ev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