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사별에 의한 복합비애경험 개념도연구

        정형수,양은주,이지영,김소연 한국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3 No.1

        This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the in-depth mental structure of Korean adults by exploring their bereavement experiences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and to find out if their grief experiences would reflect the conceptual model of complicated grief. Eighteen adult females who lost their family members were interviewed and a total of 99 core statements were extracted. After conducting a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a cluster analysis with the core statements, bereavement reaction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of two dimensions. Two dimensions reflected the ‘separation-specific and general adaptation’ and the ‘impact of loss and coping with loss.’ Six categories were named as ‘feeling depressed’, ‘feeling devastated’, ‘avoiding relationships’, ‘experiencing changes after the loss’, ‘experiencing bereavement feelings and recollecting the deceased’, and ‘reminiscing about and continuing bonds with the deceased.’ This research has the implicatio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underlying dimensions of the bereavement experiences of Korean adults.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사별 후 경험을 개념도 분석 방법(concept mapping method)을 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사별 후 비애경험의 심층적 내적 구조를 탐색하고, 이러한 경험 양상이 복합비애의 개념적 모형을 반영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족사별을 경험한 성인 여성 18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고 총 99개의 핵심진술을 추출하였다. 핵심진술들에 대해 다차원 척도 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별반응은 2차원, 총 6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2개의 축은 ‘사별 특정적 적응 영역-일반 적응 영역’과 ‘사별충격영역-사별대처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각 군집은 ‘우울’, ‘사별 후 망연자실’, ‘대인관계회피’, ‘사별 후 변화’, ‘사별감정 및 고인회상’, ‘고인 긍정화 및 지속유대’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사별반응이 가지는 구조적 특성과 기저차원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함의가 있다.

      • 초등학생들의 자치적인 학급규칙 제정 및 실천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연구

        정형수,김경식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7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학급회의를 통해 자치적으로 학급규칙을 제정하고 제정한 규칙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참여관찰 방법으로 살펴보고 학생들이 자치적으로 학 급규칙을 제정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교사의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학급규칙을 제정하기 위한 학급회의 과정에서는 학급규칙의 개념에 대해 오해를 하거나 친구를 믿지 못하는 등 부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그들 나름대로 학급규칙 을 보완해나가는 등 충분한 자치능력을 갖추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학급규칙의 실천 과정에서는 융통성이 없는 엄격한 규칙 적용이나 권한을 남용하는 등 일 부 부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학급의 질서 유지자라는 책임감을 느끼게 된 학생들의 문제 행 동 빈소가 감소한다거나 소극적이었던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학교생활에 참여하는 등 긍정적인 모 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선입견 없이 학생을 대해야 한다거나 일관성 있게 규칙을 적용해야 하는 등 연구자의 교사로서의 자세를 되돌아보게 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저학년 때부터 지속적으로 자치적인 학급 운영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회 속에서 학생들이 저학년 때부터 학급의 질 서 유지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책임감을 가지고 수행한다면 문제행동의 예방 및 교정과 도덕성의 발달 등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에이즈 포비아의 TAF

        정형수,Jeong, Hyeong-Su 대한에이즈예방협회 2009 레드리본 Vol.83 No.-

        강박증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sim}3%$가 앓을 정도로 드물지 않은 정신과 질환이다. 일상생활에서 평범한 많은 사람들은 마음속에 불안과 걱정을 가지고 있다. 사람마다 불안과 우울의 대상은 다양하겠지만, 에이즈라는 특정대상과 결부되어 있는 두려운 공포, 에이즈 포비아와 강박증에 대해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장애인의 생활무용참여에 대한 무용전공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정형수,강선옥,강승애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3

        The purpose o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acceptance attitudes of dance majors toward the participation of person with the disabled in dance for all, The methods or this study were used by questionnaires which were distributed to 495 person who are dance instructors and student with Majors in dance from universities, graduat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overall acceptance attitude regarding the participation of dance for all by the disabled, Dance for all for the disabled was positively accepted on grounds that it is necessary for health status, improvement of health,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There was also a positive attitude toward it in terms of confidence and improvement of social adaptability skills, Second, in terms of acceptance attitudes according to majors, Yoga majors most openly accepted i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fications of educators of dance for all in six sub categor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ance instructors and dance majors in the category of the effects of dance for all in six sub categories. Third, in terms of acceptance attitudes according to careers, the more career one had,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one had toward it. Forth, in terms or experiences of teaching the disabled and related work experience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practicality and instructors qualifications among the six sub categories.

      • KCI등재후보

        발레동작을 응용한 리듬운동 프로그램이 자폐학생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형수 한국특수체육학회 1998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6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n autistic student's stereotype behaviors by participation in a dance therapy program that was developed by modification of basic motions of the ballet.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autistic student's stereotypical behaviors change by following the 4 steps of a dance therapy program. This study is conducted by using the A-B-A' technique of a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 Changes of the sample's stereotypical behaviors were measured in the pre-test, main-test, and post-test sessions.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 graph. Kim's dance therapy program is constructed in 4 stages-step to decrease his stereotypies. The 4 stages of the program are 1) mimic-session; 2) motion correction; 3) adjust to music; 4) stereotype behavior correction. Kim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 11 peers who are mentally retarded(TM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Kim's stereotypical behaviors were changed by following each steps of the dance therapy program. The results also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assessments [t(14)=2.41, p=0.03]. To verify effects of sub-sessions of Kim's dance therapy program, a 'one-way ANOVA test' was employed.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indicates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of sub-sessions[F(3,26)=0.87, p=0.46]. The result of the statistics does not mean that the program is not effective in changing Kim's stereotypical behaviors, but means that Kim's behavior did not dramatically changed in any sub-session.

      • KCI등재

        초등학교 신규교사의 학교업무 수행에 대한 질적 연구

        정형수,양정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교직경력 3년 미만의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학생지도 외에 학교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그리고 어려움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 나가고 있으며, 업무 수행과정에서 어떤 도움을 받기를 바라는지 등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학교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랑광역시의 공립초등학교 신규교사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은 첫 발령을 받고 그들의 희망이 반영되지 않은 업무배정과 그들의 업무능력에 대한 선배교사들의 과도한 기대, 그리고 본인의 공식적인 업무 외 추가업무를 떠맡아야 하는 상황과 학교업무수행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는 상황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에 대해 기존 자료 모방하기, 업무에 결재권자의 의중 반영하기, 업무를 처리하는 자신만의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방식 등으로 나름대로 대처해나가고 있었다. 또한 신규교사들은 학교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근무 중인 학교에 대해서는 멘토교사의 지정, 학년부장교사의 옆 반에 신규교사의 학급 배정 등을 바라고 있었고, 교육청에 대해서는 현행 연수 방식의 개선을, 그리고 교육대학교에 대해서는 학교업무를 인식할 수 있는 교사양성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업무를 난이도에 따라 서열화하고 교사도 경력에 따라 구분지어 경력이 짧은 신규교사에게는 난이도가 낮은 업무 배정하기, 학기 중 발생하는 추가업무를 배정하는 기준을 새 학년도 업무 분장 시 미리 정하기, 교육대학교에서부터 현직교사 연수까지 학교업무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 이루어 질 것과 신규교사를 도와주는 것을 업무로 하는 멘토교사를 지정하여 승진 가산점과 같은 인센티브의 제공하여 신규교사들이 멘토교사에게 부담 없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것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 at schools in terms of their school administrative work performance. In order to examine this research question, an interview was conducted on 8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ara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erforming school work.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because they did not know how to complete their school works and when they were set in charge of other miscellaneous work duties asides from their official work. Also they had feeling of doubt when they faced with reality that they have to neglect the class for handling other works. Second,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ping with difficulties in their own ways. They put their effort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perform work or got help from senior teachers. In other cases, they avoided circumstance that additional work that does not belong to them is given to them by developing own image of them performing work. Third,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shed to have some help to perform school work smoothly. First of all, they wished things such as appointing mentor teacher in current school. Also, they wanted education office to improve problem in current training system. Also, they wished university of education to be changed to help them to have cognition about school work. The following implication was sugges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First, work assignment has to be made based on wish and work ability of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 Second, distribution of work that is additional to official division of work has to be made fairly at school. Third, systematic education on school work including current education has to be made from educational university. Fourth, senior teachers have to be assigned for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get help anytime.

      • KCI등재

        초등학교 학부모가 경험한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질적 연구

        정형수 한국교육사회학회 2023 교육사회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부모가 경험한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긍정적 측면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학부모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시공간적으로 자유로운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특성으로 인해 자녀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폭넓은 간접 경험을 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그리고 바뀐 학습 및 생활 환경 속에서 자녀의 자기 주도성 향상과 미래세대로서 성장하는 모습, 그리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가정 공간에서 학습하며 입학 또는 전학을 겪은 자녀가 학교에 수월하게 적응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경험도 하며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에 대한 합목적적 판단력과 민감한 감수성 및 실천력을 가진 학부모의 모습을 확인할 기회가 되었고, 블렌디드 러닝 활성화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과 학교 교육 전반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Warfarin치료중 발생한 후두 및 기관 점막하 출혈 1례

        정형수,이재홍,조재식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8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4 No.2

        Warfarin sodium is a widely used oral anticoagulant and it sometimes causes hemorrhage in various sites such as traumatic or operative wounds, urologic organs, gastrointesitnal tract and subcutaneous tissues. Warfarin induced hemorrhage in upper respiratory tract causing upper airway obstruction is extremely rare. Despite the life-threatening nature of this complication, the symptoms are obscure like sore throat or hoarseness, suggesting infection and early diagnosis can be delayed. Careful medical history is emphasized When bleeding is observed, the patient should be admitted for close observation and prompt treatment. Recently we have exrperienced a case of laryngeal and upper tracheal submucosal hemorrhage induced by long term warfarin in 64 years old mm. We described the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