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적응 정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화 반응특성

        정현희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6 임상미술심리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송명자와 정현희(2011)의 학교생활화 평가기준이 초등학생의 학교적 응 정도에 따라 반응에 차이가 있는가와 학교생활화평가기준이 학교적응을 설명하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송명자와 정현희는 Fury(1996)의 가족화 평가기준과 Burn와 Kaufman (1970)의 동적가족화 분석기준에 근거하여, 간편하고 객관적인 학교생활화 평가기준을 개 발하였다. 본 연구는 송명자와 정현희의 학교생활화 평가기준이 학교적응을 선별하는 평가 기준으로서 가능성이 있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322명이 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으로 학교적응 정도에 따른 반응차이는 t검증을, 학교적응의 설명 은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이 높은집단이 낮 은집단보다 행복감, 상처받음없음, 정서적거리없음, 긴장불안없음, 이상함없음, 포괄성병리 없음의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에서 남학생은 없음, 이상함없음이 유의미한 설명변인이었고, 10%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여학생은 이상함없음이 설명력이 있는 변인이 었고, 11% 설명력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생활화는 학교적응 진단의 보조도구로써 활용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pattern between high group & low group in Song & Jeong's KSD rating scale(2011) and the effects of KSD on the school adjustment. The rating scales based on Fury(1996)' family drawing scales & Burn and Kaufman(1970)'s kinetic family drawing scales. The subjects were 322 5th-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response pattern of KSD. The high group expressed more positively in no vulnerability, no emotional distance, no role reversal, and no abnormality than low group did. Second, the predictive variables for school adjustment were no emotional distance, no vulnerability, no tension/anxiety, no abnormality, and no role reversal in order. As a result, Song's KSD rating scales is considered to be objective and useful instrument to diagnose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묘화법에 의한 부모자녀 관계 측정 타당화 연구Ⅰ

        정현희,장혜경 한국미술치료학회 1995 美術治療硏究 Vol.2 No.1

        부모와 자녀와의 판계가 아동의 인지, 사회, 정서발달과 관계가 있음은 여러 연구 에서 밝혀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아동의 지각이 부모의 실제행통보다 아동의 행통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부모 자신의 보고보 다 아동의 지각올 평가하는 것이 부모-자녀관계 측정에 바람직하다(정현희, 1992) 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부모 자녀관계에 대한 체계적 분류와 개념정의에 대한 연구는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관된 연구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일관성 결여 요인의 하나는 대부분의 연구들이 질문지법올 사용한 것이며, 질문지법의 제한점인 언어의 의식 화 과정에 기인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Brown, F.G,. 1976). 또한 질문지에 대한 응답에서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바랑직하깨 여기는 방향으로 웅답할 가능성이 높고 <Ballard, R., Crino, M. D., & Ruben F. S., 1988 ; Paulhus, D. L., 1981), 아동의 언어이해 부족올 들 수 있다 (Mussen, P. H., Conger, J J. Kagan, J. & Huston, A. c., 1984). 따라서 연구를 하는데 있어 어느 한 방법이 야닌 다원적연 연구방법 이 펼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P.S.C.D. as an inventory for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1dren. The subjects were 150 children in grades 5 and 6. “ P.S.C.D.\" and “ Self-perceived Competence\" were used to gather data for the study. For the analysis of data, F-test,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① signficant correlation between P.5 .C.D. and social competence, ②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S.C.D. and global self-worth ③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and global self-worth according to level of P.S.C.D.

      • KCI등재

        온라인 미디어시장에서의 광고 콘텐츠 광고수용도 연구

        정현희,권순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9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9 No.1

        This study has considered types of contents, types of sub-genres, types of devices, and types of advertising methods as key factors to affect the consumers' acceptance. Based on the factors this study has also developed the hypotheses on how the impacts of each factors are different in terms of consumers' acceptance of online ads. This study has employed OO TV data, which was a real-data, from OO company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and tested the hypotheses by using ANOVA techniques. Based on the results, all hypotheses in this study are significantly supporte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effects on consumers' acceptance of online ads would be different by depending on types of contents, types of sub-genres, types of devices, and types of advertising methods (i.e., Digital Video in-stream advertising). Based on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offers new practical insights to better understand how online ads has to be configured to meet online consumers' interests by drawing real-data of online ad contents.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효과

        정현희,이필순 한국미술치료학회 2004 美術治療硏究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case-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therapy on reduci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The group art-therapy was progressed for 3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and consisted 13 sessions, each of them were lasted 2hours every week. In order to reduc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the group art-therapy program was focused on emotional catharsis of the mothers and changes of their recognition over their families. To examine effects of the group art-therapy, emotional catharsis of the mothers and changes of their recognition on their families by KFD(Kinetic Family Drawing) was investigated. Firstly, the group art-therapy had brought on emotional catharsis of them. As the sessions went on, they came to formation of empathy by expressing the stress on parenting burden and deep self-expression by mutual support and comfort compared with negative reactions and some resistance in the beginning. According to the result, negative feelings were significantly solved, they discovered mutual frank expressions, differences and commonness and understood each other. Secondly, the group art-therapy bring on changes on family recognition of the mothers. So to speak, they admitted the reality in family and forged a power which make it possible to deal with their actual life positively with their family. It showed that the group art-therapy brought on the reduction on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어머니 3명을 대상으로 3개월에 걸쳐 주1회, 1회기 120분씩 총 13회기를 실시하였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장애아동 어머니의 감정승화와 가족인식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회기과정에 나타나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감정승화, KFD에 의한 가족인식의 변화가 검토되었다. 검토 결과 집단미술치료는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감정승화를 가져왔다. 초기의 소극적인 반응과 약간의 저항에서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양육부담에 대한 스트레스를 표현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었고, 상호 지지와 위로를 통해 심층적 자아표출을 하게 되었다. 그 결과 부정적 감정을 많이 해소하게 되었고, 집단원 상호간의 솔직한 표현과 서로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하고 서로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장애아동 어머니에게 가족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즉 가족의 현실을 인정하고 가족과 함께 긍정적으로 현실에 대처하고자 하는 힘이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감소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우울의 관계: 교사애착, 또래애착 및 학교유대감의 매개효과

        정현희,구경미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1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school connectednes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56 students, initially in the 5th grade, from K elementary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Data from parent and peer attachment scale, teacher attachment scale, school connectedness scale and depression inventory were collected at 3 different time points(T1=5th grade, T2=6th grade, T3=1st grade in middle schoo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technique was appli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T1 parent attachment on T3 de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1 parent attachment influenced T2 peer attachment and school connectedness through T2 teacher attachment. Third, T2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influenced T3 depression through T2 school connectedness. Fourth, T1 parent attachment was found to affect T3 depression by mediating sequentially and completely T2 teacher and peer attachment and school connectedness. Results suggested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hat cooperates with home and school is needed to develop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전환기에 놓여있는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교사, 또래애착 및 학교유대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한 K초등학교 5학년 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부모 및 또래애착 척도, 교사애착 척도, 학교유대감 척도,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1학년 시기까지 1년 간격으로 3차례에 걸쳐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되었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붓스트래핑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5 시기의 부모애착이 중1 시기의 우울에 직접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5 시기의 부모애착은 초6 시기의 교사애착을 매개로 초6 시기 또래애착과 학교유대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6 시기의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은 초6 시기의 학교유대감을 매개로 중1 시기의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5 시기의 부모애착은 초6 시기의 교사 및 또래애착과 학교유대감을 순차적으로 완전매개 하여 중1 시기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초기 청소년이 경험하는 우울의 원인을 이해하고, 나아가 우울의 예방과 개입을 위해 가정과 학교가 함께 협력하는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개방에 미치는 일 사례연구

        정현희,안경희 한국미술치료학회 1998 美術治療硏究 Vol.5 No.2

        This case-study attempted to improve child's self-expression by art therapy program. There were 15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50 minutes. The subject was a 5th grades-boy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ubject was able to express his own negative feelings and to confront the reality. Second. the subject was able to have the positive self-concept.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this subject. 인간은 사회적, 심리적 환경속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면서 생활하는데, 현대사회는 적극적이며 진취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을 요구한다. 적극적이며 진취적인 행동은 아동기부터 요구되며 이런 아동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사회적 지식 및 능력을 잘 발달시키고, 다른 사람과의 호혜적 상호작용을 방해할 수 있는 부정적 행동을 억제하는 능력도 잘 발달시켜 나간다 이에 반하여 그렇지 못한 아동은 사회적 기술 및 지식의 발달 기회를 경험하지 못하기 쉽다(Putallaz & Gottman. 1981). 이런 경험의 부족은 앞으로의 사회적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사회적 기술의 하나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수용하며, 있는 그대로 자기를 남에게 개방할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이다(이형득. 1997) 이를 자아개방이라고 하며 이와 같은 자기개방은 건전한 성격을 발달시키고, 타인과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발달시킬 수 있다.

      •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역할 만족도와의 관계

        정현희 東義大學校 生活科學硏究所 2003 生活科學論集 Vol.7 No.-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284 mothers of the children attending the nursery schools in Busan. Choi's questionnaires(1991) on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Hyun's questionnaires(1994) on parental satisfaction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According to s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day-to-day guidance and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s interest and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between father's day-to-day guidance and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between father's play-partner and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and between father's housework and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for boys. But for girl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s housework and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3) The predicted variables for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of boys were father's interest, day-to-day guidance, play-partner and housework And the predicted variable for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of girls was father's housewor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