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과학 탐구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현도,이효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scientific-inquiry based on STEAM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middle-school students' interests, self-efficacy, and career choice about science, technology/engineering, and mathematics. In order to develop this program,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so that finally the developmental direction was based on scientific inquiry and the developmental theme and model were selected. A total 92 first-graders in G middle-school of Daegu 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ingle group pre-post test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changes of students’ interest, self-efficacy, and career choices before or after applying this program.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students to find their specific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EAM education program on the theme of 'RC Airplan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ADBA’ model. Second, the developed STEAM educational program not only results a decisive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also has significant effects on middle-school students' interests, self-efficacy, and career choice in science, technology/engineering, and mathematics, who are involved in the free-semester program, across the overall affective domain. In conclusion, the STEAM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could affect significant meanings to middle-school students during the free-semester. It could contribute to facilitate middle-school students' education for happiness and to grow the creative STEAM tal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과학 탐구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의 중학생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기술/공학, 수학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관련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 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의 방향을 과학 탐구 중심으로 정하고 프로그램 주제 및 개발 모형을 선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초안의 적절성을 위해 2회에 걸쳐 예비 적용과 전문가 집단의 컨설팅을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5년부터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광역시 소재 G중학교 1학년 92명이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 변화를 알아보고자 단일집단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2015년 10월 첫째 주부터 10월 셋째 주까지 진행되었으며 사전 검사 및 사후 검사는 프로그램 처치 전․후 1주일 이내에 각각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구체적인 반응을 알아보고자 14명을 선택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Analysis)-설계(Design)-제작(Build)-평가(Assessment)의 4단계로 구성된 ADBA 모형을 적용하여 ‘RC 비행기’ 주제의 융합인재교육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사에 기반을 둔 체계적․전문적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한다는 점과 능동성을 갖춘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개발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내 중학생의 과학, 기술/공학, 수학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관련 진로 선택의 모든 정의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쳤다. 흥미 영역은 과학, 기술/공학, 수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에 기인하며, 자기효능감 영역은 과학, 기술/공학, 수학 교과에 대해 학생들의 성공적인 경험을 통해서 상승하였으며, 진로 선택 영역은 과학, 기술/공학, 수학이 실생활에 유용하고 해당 직업을 가지면 재미있을 것이라는 인식의 변화로 상승하였다. 이 연구로 개발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 정책의 교육 목적에 적합하며 자유학기제와 융합인재교육의 접목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중학생들의 ‘행복교육’과,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어린 B 세포가 갖는 VH 유전자 발현의 특성

        정현도,허민도 ( Hyun Do Jeong,Min Do Huh ) 한국수산과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1

        Defining the mechanisms of B cell diversification which establish the immune repertoire is fundamental to understand how the immune response is regulated. In this report, B cell differentiation and diversification focused on the regulation of immunoglobulin V_(H) gene expression during ontogeny were analyzed by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 Fetal liver B cells in different gestational days from 16d to 20d showed the predominant expression of V_(H)7183 and V_(H)Q52 without transition of repertoire during the observed gestation days. The two subsets of fetal liver B cells separated according to different differentiation stages based on the presence of cell surface immunoglobulin also did not indicate apparent difference in expressed V_(H) gene family profiles. B cells in fetal spleen as an another hematopoietic lymphoid tissue in fetus also expressed similar V_(H) gene repertoire to that in fetal liver B cells. This distinct pattern of V_(H) gene expression in fetal B cells from that of adult B cells were not changed even after four weeks contact with adult bone marrow microenvironment supplied by the established adult bone marrow stromal cell layers. Thus, the restricted V_(H) gene repertoire of B cells in fetus which is distinct from that in adult appears to be associated more with the genetic potential of fetal B cell progenitors and less with environmental influences or differentiation stages or compartmentalization.

      • 3D printing of porous scaffolds for hard tissue engineering

        정현도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Currently, one of the most promising strategies in hard tissue engineering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biomimetic scaffolds. Porous scaffolds with favorable osteogenic 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bone repair.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is an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which allows the fabrication of patient-specific scaffolds with high structural complexity and design flexibility, and gains growing attention. This presentation aims to introduce my research in 3D printing of porous scaffolds for hard tissue engineering.

      • KCI등재

        장애인 남ㆍ여 태권도 선수들의 체급별 득점, 금지행위 및 승패판정 비교 분석

        정현도 세계태권도문화학회 2013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Vol.- No.7

        본 연구는 목적은 장애인 남ㆍ 여 태권도 선수들의 경기에서 승패를 좌우하는 체급별 득점, 금지행위 및 승패판정 등을 비교, 분석하여 장애인 태권도 현황 및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 33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태권도 경기에 참가한 남자 선수 3체급, 여자 선수 2체급 등 체급별 준결승(2게임), 결승(1게임) 등 총 15게임 중 기권으로 경기를 포기한 1게임을 제외한 14게임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득점 및 금지행위에 대한 경고 및 감점의 수는 횟수로 계산하였으며, 각 체급별 회전별 차이는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남 ㆍ 여 각 경기의 체급별 득점, 금지행위 및 승패판정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남 ㆍ 여 체급별 득점 분석에서는 전체 14게임의 총 득점수 151점 중 남자 선수는 9게임 103점으로 평균 득점 수는 11.4점, 여자선수는 5게임에서 48점으로 평균 득점 수는 9.6점으로 남자 선수의 득점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 ㆍ 여 금지행위의 분석에서 경고의 수는 총 23개로 남자 선수는 9게임에서 17개로 승자 9개, 패자 8개, 평균 경고의 수는 1.8개, 여자 선수는 5게임에서 6개, 승자 2개, 패자 4개, 평균 경고의 수 1.6개로 남자 선수가 경고를 좀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경고의 수 23개 중 남자 선수가 받은 경고의 수는 17개로 승자가 받은 경고는 9개, 패자는 8개로 승자가 경고를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 선수 경고의 수는 6개로 패자가 4개, 승자가 2개로 패자가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ㆍ여 승패판정 분석에서는 총 15게임 중 RSC승이 7게임, 기권승 1게임, 판정승 7게임으로 나타났다. 남자 경기에서는 총 9게임 중 RSC승이 5게임, 판정승이 4게임으로 나타났으나, 여자 경기에서는 총 6게임 중 기권승 1게임, RSC승이 2게임, 판정승이 3게임으로 나타나 남자 경기에서 RSC승이 높게 나타나 큰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장애인 선수 부족으로 대회에 불참한 시 ㆍ 도 협회가 많았으며, 각각 선수들과의 경기력 수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앞으로 장애인 체육회와 장애인태권도협회에서는 장애인 태권도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홍보는 물론 경기력 향상을 위해 우수 선수 발굴 육성과 지도자 양성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in the improvement and in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for the disabled. This study did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various weight classes and penalty actions incurred during a match can affect match decision judgments for the disabled players. This study is based on matches conducted during 33rd National Taekwondo Competition for the disabled. This study included results from 28 athletes from 15 matches including the one match withdrawal. More specifically, male players competed in three weight classes and female players participated in two weight classes. In addition, the players in each of the weight classes included 2 semifinal matches, and one final match totaling 14 matches participated by the athletes. Scoring, penalty warnings, and point deduction were all tabulated by the frequency of occurrence during this study.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151 total points were received in the 14 matches. Male participants scored earned 103 points from nine matches and an average score of 11.4 points. Female participants scored earned 48 points from five matches and an average score of 9.6 points. From these results, male participants showed greater ability to score more points. Second, analysis of penalty warnings showed 23 warnings. Male players received 17 warnings from nine matches. More importantly, there were nine winners who received penalty warnings while players who lost received eight warnings. The average warning per match was 1.8 warning. Female players received six warnings from five matches. There were two winners and four who lost. The average warnings for female players were 1.6 warnings per match. From this analysis, male participants received more warnings. More importantly, male winners received more warnings while female participants who received more warnings resulted in losses. Third, analysis of decision judgment were based on 15 matches including the one withdrawal had seven RSC win-based decision. There were also seven wins based on referee judgment. Nine male competitions had five RSC wins and four wins based on referee judgment. Next, six female competitions had one withdraw, two RSC based wins, and three referee based wins. RSC based results indicate much higher rate of wins for male players than the female players. Finally, from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many city and provincial municipalities did not participate due to the lack of disabled participants. Moreover, there was a great disparity among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erms of their abilities and skills. Based on this study, there needs to be more awareness and promotion of taekwondo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find able athletes and develop their talents. In addition, there needs to be more training for taekwondo instructors for the disabled. Lastly, there needs to be a lot more marketing and promotion to cultivate taekwondo for the disabled players. This needs to be conducted by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and Taekwondo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 KCI등재

        나일틸라피아의 임파조직내 대식세포 분포변화에 관한 병리조직학적 연구

        정현도,허민도,김지영,이남실 한국어병학회 1995 한국어병학회지 Vol.8 No.2

        경골어류의 질병진행과정에 따른 임파조혈조직내 대식세포의 분포변화 특성을 밝히고자 Edwardsiellatarda균과 그 분비독소인 Extracellula products(ECP)를 각각 진골어류의 일종인 틸라피아에 복강 주사한 후, 임상증상을 발현하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비장 및 두신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E. tarda 생균을 주사 1주일후, 비장에서는 주로 유초동맥을 중심으로, 두신에서는 조혈 조직전반에 걸쳐 대식세포 집단이 출현하였다. 또한 이 집단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MMC와 유사한 밀집구조를 이루었고, 1주째에는 이들 응집체가 더욱 치밀해지면서 주위의 실질은 어느 정도 회복경향을 보였다. 대식세포 집단은 2주째가 되면서 대부분 사라졌고, 거의 정상적 조직배열상을 보였다. ECP주사에 의한 비장과 두신의 경시적 조직학적 변화는 생균주사의 경우와 매우 유사하였으나 생균주사의 경우에 비해 대식세포의 응집이 더욱 빠르게 일어났을 뿐 아니라, 주사 후 1시간째의 비장 및 두신조직에서도 유초동맥의 증식비후(비장) 또는 대식세포 집단의 출현(두신)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E. tarda 생균 또는 그 ECP를 틸라피아에 주사했을 경우, 임파조혈조직내의 이와 같은 대식세포 행동특성은 에드워드증(Edwardsiellosis) 또는 기타 감염증의 조기진단을 위한 중요한 병리조직학적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phages within lymphomyeloid tissues according to the disease process, tilapias, teleostean fish,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live Edwardsiellatarda and its extracellular product(ECP) respectively. And the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for the spleen and gead kidney were carried out for the individuals which had not any clinical signs. In the group injected with live E. tarda, macrophages were densely organized into MMC-like structures with showing some degree of recovery in histological arrangement. At the 2nd week, overall structures of the lymphomyeloid tissues became normal, accompanying the disappearance of most of macrophage groups. Also in case of ECP injection, quite similar findings were observed. Moreover, macrophage collections and hypertrophied ellipsoids were recognized at 1hour after the injection of ECP in head kidney and pleen,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aracteristic behaviors of macrophages in lymphomyeloid tissues would be used as important morphological criteria for early diagnosis of edwarsiellosis or possibly of other infectious diseases.

      • KCI등재후보

        초등수학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 분석

        정현도,강신포,김성준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4 No.3

        수학과 평가에서 주로 제기되는 문제점은 평가 내용이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점과 평가 문항이 객관식 문제 중심의 지필 검사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비롯되는 오류 유형을 분석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곧, 서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알고 있는 수학적 지식을 수학적 용어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과정에서 그 과정이 옳은지, 개념 이해가 정확한지를 검토하고, 만약 잘못 이해하고 있다면 무엇 때문에 이러한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수학문제해결과정에서 비롯되는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수와 연산 영역에서 서술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진행된 것이다. 연구과정은 먼저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문항 이해의 오류, 개념 원리의 오류, 자료 사용의 오류, 풀이 과정의 오류, 기록 단계의 오류, 풀이 과정의 생략 등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문항별 답안에서 나타나는 유형별 오류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학업성취도에 따라 오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중․하 성취도에 따른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서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함으로써, 평가를 통한 피드백이 효과적인 수학학습지도로 연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questions that mathematical evaluations strive to memorize fragmentary knowledge and have an objective test. To solve these problems on mathematical education We did descriptive test. Through the descriptive test, students think and express their ideas freely using mathematical terms. We want to know if that procedure is correct or not, and, if they understand what was being presented. We studied this because We want to analyze where and what kinds of faults they committed, and be able to correct an error so as to establish a correct mathematical concept. The result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mistakes students make when solving the descriptive tests can be divided into six things: error of question understanding, error of concept principle, error of data using, error of solving procedure, error of recording procedure, and solving procedure omissions. Second, students had difficulty with the part of the descriptive test that used logical thinking defined by mathematical terms. Third, errors pattern varied as did students' ability level. For high level students, there were a lot of cases of the solving procedure being correct, but simple calculations were not correct. There were also some mistakes due to some students' lack of concept understanding. For middle level students, they couldn't understand questions well, and they analyzed questions arbitrarily. They also have a tendency to solve questions using a wrong strategy with data that only they can understand. Low level students generally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questions. Even when they understood questions, they couldn't derive the answers because they have a shortage of related knowledge as well as low enthusiasm on th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