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2012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실제와 과제

        정해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operational practices and tasks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2012. In order to study, investigator made questionnaires and distributed them to 93 head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16 school inspectors at the educational office of large cities and provinces. Among them 78 head teachers and 7 school inspectors answered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investigator used 3 criterions ? the kinds of curriculum guidelines, the characters of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 directions of curriculum revision - to analyze curriculum guidelin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59.6 percent of the curriculum guidelines were applied in special schools. Second, it seems like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inds of curriculum guidelines. Third, in the characters of curriculum guidelines, it was revealed that the applicable ratio of indicative guidelines(66.7%) were higher than the applicable ratio of autonomous guidelines(52.8%). Forth, in the directions of curriculum revision, the applicable ratio of personality education was the highest and the applicable ratio of approach to general education was the lowest. Fifth, the educational office of large cities and provinces conducted 61.6 percent of curriculum guidelines. 본 연구의 목적은 2012 특수교육교육과정의 운영 실제와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 해 93명의 특수학교 연구부장과 16명의 시도교육청의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에게 설문지를 배포하 여 78명의 교사와 7명의 장학사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분석 기준을 사용하였다. 지침의 종류를 기본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공통의 것으로, 지침의 성격을 당위적인 것 과 자율적인 것으로,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일반교육 접근 강화, 교과교육의 본질 강화, 개별 학 생의 지원 확대, 학교의 자율화 지원 확대, 인성 교육 강화로 분류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급 특수학교는 2012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지침을 59.6% 적용하고 있다. 둘째, 지침의 종류별 분석에서 각 급 특수학교는 2012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 교육과정 의 지침(적용률 60.1%)과 교육과정 공통 지침(적용률 58.2%)을 비슷한 정도로 적용하고 있다. 셋 째, 지침의 성격별 분석에서 각 급 학교들은 2012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지침 중 당위적 성격의 지 침(적용률 66.7%)을 자율적 성격의 지침(적용률 52.8%) 보다 높게 적용하고 있다. 넷째, 2012 특 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따른 분석에서 인성교육 강화(적용률 89.8%), 교과교육의 본 질 강화(적용률 74.8%), 개별 학생 지원 강화(적용률 52.3%), 학교 자율화 강화(적용률 46.7%) 그 리고 일반 교육 접근 강화(적용률 39%)의 순으로 높게 지침을 적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2012 특 수교육 교육과정에서 시?도교육청의 지원 지침의 시행률은 61.6%이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의 성과를 조사 및 평가하기 위한 일관된 준거와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 급 학교, 시도교육청 및 국가 수준의 교육과 정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와 방법의 마련이 각각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에 대한 국 가차원의 전수 조사가 필요하다. 조사의 내용에는 교육과정의 총론뿐만 아니라 각론을 포함한다. 셋째, 적용률이 낮은 항목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