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온사육에 의한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의 성 성숙 및 난 발생

        정춘구,오봉세,김태익,진영국 한국패류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6 No.3

        인위적인 가온만으로도 새꼬막의 성숙 및 정상적인 난 발생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존율, 성비, 비만도, 생식소발달빈도, 생식소지수, 수정률, 부화율 및 D형 유생까지의 발생소요시간을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대조구에 비해 가온구에서 낮았으며, 성비는 암컷의 비율이 높았다. 비만도는 대조구와 가온구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수온 17℃ 이상부터 증가폭이 높게 나타났다. 생식소발달빈도는 암․수 모두 대조구의 경우 발달이 느렸으며, 가온구는 수온 20℃인 사육 21일부터 28일 사이에 성숙기에 도달한 개체들이 80%이상 관찰되었다. 생식소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수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새꼬막의 수정률은 82.17 ± 3.55% 였으며, 부화율은 63.57 ± 2.36%로 나타났다. D형 유생의 발생소요시간은 약 15시간으로 나타났다. The investigated of survival rate, sex ratio, condition index, gonad development frequency, gonad index, fertilization rate, hatching rate and time required development of D shape larvae of the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Survival rate was lower in heating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P < 0.05). Sex ratio(female:male) observed 1:0.97 in control group, 1:0.62 in heating group. Condition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eating group than control group(P < 0.05) and higher increased more than water temperature 17℃ of heating group. Gonad development observed slow in control group but more than ripe stage 80% in heating group(21-28 day, 20℃). Gonad index was higher in heating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P < 0.05). Fertilization rate and hatching rate of the ark shell was observed 82.17 ± 3.55% and 63.57 ± 2.36%, respectively. The time required development of D shape larvae of the ark shell was observed 15 hour after fertilization. The suggested that results of the ark shell by heating were effective sex maturation and normal egg development.

      • 가온사육이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의 성 성숙과 난 발생에 미치는 영향

        정춘구,오봉세,김태익,진영국 한국발생생물학회 2010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9 No.-

        국내 유용 양식품종인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은 돌조개 목 (Order Arcoida) 돌조개 과 (Family Arcidae)에 속하는 종으로써, 같은 과에 속하는 꼬막, Tegillarca granosa과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중간크기이다 (Kwon et al., 2001). 새꼬막이 국내 연 총생산량은 많게는 3,000 톤 가까이 되지만, 종패의 수급에 있어 주로 자연채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양호한 채묘율을 기대할 수 있다. 새꼬막에 관련된 연구는 수온과 염분 등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 (Nakamura, 2005; Shi et al., 2007; Fang et al., 2008), 생식주기 (Kim et al., 2008), 유생분포 (Kim et al., 2006), 채묘와 성장 (Lim and Hur, 2010) 등 그 보고되고 있지만, 꼬막에 비해 많지 않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 인공성숙 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꼬막의 성패를 이용하여 성 성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수온 상승만으로도 생식소의 발달 및 정상적인 난 발생이 진행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새꼬막의 크기는 각장 31.81±2.21 ㎜, 전중 9.87±1.94 g이었으며, 전라남도 고흥군의 여자만에서 채집하였다. 사육기간은 28일 간이었으며, 대조구는 일반수온으로 설정하였고, 가온구는 매일 0.5℃씩 수온을 상승시킨 후 20℃가 되는 시점에서 일주일간 수온을 유지하였다. 먹이는 Isochrysis galbana, Chactoceros calcitrans, Tetraselmis tetrathele 3종의 미세조류를 혼합하여 1 ton 수조에 3시간마다 200ℓ (5,000~6,000 cells/㎖)씩 자동급이장치에 의해 공급하였다. 매일 사망개체를 파악하여 생존율을 조사하였으며, 7일 간격으로 채집하여 성비, 생식소발달 및 생식소지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온성숙된 개체들을 대상으로 간출자극에 의한 산란유발을 실시한 후 정상적인 난발생이 이루어지는지 관찰하였다. 연구 종료 후 관찰된 새꼬막의 생존율은 대조구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었다. 성비는 암:수의 비가 대조구는 1:0.97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가온구는 1:0.62로 암컷이 높게 나타났다. 비만도는 대조구와 가온구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수온 17℃ 이상부터 증가폭이 높게 나타났다. 생식소발달빈도는 암․수 모두 대조구의 경우 발달이 느렸으며, 가온구는 수온 20℃인 사육 21일부터 28일 사이에 성숙기에 도달한 개체들이 80% 이상 관찰되었다. 생식소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수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 26℃ (32‰)에서 새꼬막의 수정란 크기는 직경 63.17±1.22 ㎛였으며, 수정률은 82.17±3.55%였다. 부화율은 63.57±2.36%였다. D형 유생의 발생소요시간은 수정 후 약 15시간으로 나타났으며, 크기는 각장 82.85±0.87 ㎛, 각고 72.65±1.07 ㎛였다.

      • KCI등재

        남해 연안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양식장의 환경특성

        최윤석,정춘구 한국패류학회 2016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2 No.3

        To assess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ustainability of cultured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production, we investigated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shellfish-farming bays (Gangjin Bay, Yeoja Bay, Keoje Bay and Deukryang Bay). We measured the physiochemical parameters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nutrients, chemical oxygen demand and Chlorophyll a) an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chemical oxygen demand, ignition loss, C/N ratio and C/S ratio). Surface sediments were collected from several shellfish-farming bays to examin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th the benthic environment and heavy metal pollution. The grain sizes for Gangjin Bay, Yeoja Bay and Keoje Bay were similar, at the ratio of silt and clay in comparison with Deukryang bay of it. The C/N ratio was more than 5.9, reflecting the range arising from the mix of marine organisms and organic matter. The C/S ratio (more than 4.2) showed that the survey area had anoxic or sub-anoxic bottom conditions. The index of accumulation rate (Igeo) of the metals showed that those research areas can be classified as heavily polluted, heavily to moderately polluted, or more or less unpolluted, respectively. We suggested that the growth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in the shellfish-farming bay was effected by the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 KCI등재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RFLP 마커 개발

        조은섭,정춘구,김철원,손상규,Cho Eun Seob,lung Choon Coo,Kim Chul Won,Sohn Sang Cyu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6

        This study was differentiated between Korea and China arkshells using PCR-aided RFLP method which could identify the variation for inter-and intra-species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at the level of DNA. The DNA fragment patterns were compared after digesting gene of mitochondrial 16S rDNA with 8 kinds of restriction enzymes. A 720 bp DNA fragment corresponding to 16S rDNA gene was amplified by PCR with primers ArkF-3 and ArkR-3. PCR products were cut by restriction enzymes (Pvull, BamHI, Hinfl, HaeIII, EcoRI, RsaI, Ksp221, and BstX21), and RFLP pattern was studied. A unique 275 bp DNA band was observed in the samples from Dukyang, Gamak, Namhae, Jinhae, and Taean in Korea when treated by Hinfl, but Chinese arkshell did not show. Treatment of HaeIII could discriminate the sample of Namhae and Jinhae from Dukyang/Gamak/Taean, as well as Korean and Chinese arkshell based on a 700 bp. However, PuvII, BamHI, EcoRI, RsaI, Ksp221, and BstX21 showed the same of 700 bp band in Korean and Chinese arkshell. The phylogenetic tree inferred from PCR-RFLP pattern comparsion in Korean arkshell was different that the distance between Dukyang/Gamak/Taean and Namhae/Jinhae was approximately 7. In particular, the dista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rkshell was 25. Consequently, HinfI and HaeIII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 reliable molecular tool for rapid discriminating Korean and Chinese arkshell, as well as a intra-species in Korea. 한국산과 중국산 피조개의 신속 진단, 유전적 특성 및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DNA 수준에서 확인 할 수 있는 PCR-aided RFLP를 사용하였다. 피조개 mtDNA 165 rDNA gene를 제한효소로 처리하여 그 band 양상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165 rDNA gene을 분리하기 위하여 ArkF-3, ArkR-3 primer를 사용한 결과 한국산과 중국산 피조개 모두 분자량이 720 bp band가 나타났다 PCR에 의하여 증폭된 16S rRNA gene을 총 8종류의 제한효소(PvuII, BamHI, HinfI, HaeIII, EcoRI, RsaI, Ksp221, BstX21)로 절단하여 RFLP 양상을 보았다. HinfI의 제한효소 처리 시 득량, 가막, 남해, 진해, 태안산 피조개 모두 275 band절편이 관찰되었으나, 중국산은 나타나지 않았다. HinfI를 제외한 나머지 제한효소는 다형형이 관찰되지 않았고 한국산과 중국산 모두 700 bp의 동일한 band를 보였다. HaeIII에서도 득량, 가막, 태안과 남해와 진해산 PCR product가 700 bp위치에서 상이하게 보였다. 또한 한국산과 중국산 절편이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산 피조개 종내 restriction 쇼pe에 의해 유연관계의 결과에 의하면 득량, 가막, 태안은 동일한 유사도를 보였고, 남해와 진해와는 거리가 7 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산과 중국산 거리는 25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서,HinfI 제한효소는 한국산과 중국산을 구별하는데 매우 유용한 molecular marker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인다. 또한 HaeIII은 한국산 종내 구분 및 중국산 신속 동정에 좋은 molecular tool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후보

        나팔고둥, Charonia lampas sauliae의 산란유발, 유생 및 치패사육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선승천,정춘구,김재민,윤성종,강경호 한국패류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1 No.2

        In the present study, the fecundation and fertilization behaviors of the trumpet shell, Charonia lampas sauliae were observed from November 2003 to March 2004.Female has multiple fecundation and multiple fertilization, and the fertilization continued for two days.The fertilized female stayed with the egg mass to protect the eggs, and the fecundation was made during the fertilization.The highest survival rate of egg capsule was 60% at 15℃.Charonia lampas sauliae fed with Chaetoceros calcitrans, Isochrysis galbana, and Pavlova lutheri.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C. lampas sauliae in the conditions of various water temperature were observed. The highest survival rate was 23% at 15℃ reared for 60 days. The growth was presented in the 15℃ group, with shell length from 408 ± 21.52 m to 625 ± 19.76 m during the experiment. 나팔고둥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산란유발, 유생 및 치패사육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수온별 나팔고둥의 산란양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산란을 한 15℃에서 전체 암컷이 2003년 11월에 113 개의 난낭을 산란하였고, 12월 345 개, 2004년 1월 1,232 개, 2월에 1,045 개의 난낭을 산란하여 우리나라에서 나팔고둥의 산란기는 1월과 2월임을 알 수 있었다.나팔고둥의 발생속도를 파악하기 위한 난발생과 유생의 성장 단계는 수정란, 4-세포기, 8-세포기, 상실기, trochophore, veliger, hatched veliger로 구분하였는데, 난낭을 뚫고 부출하기까지 약 50-83일이 소요되었다. 각 발생 단계의 수온별 소요시간을 보면 8-세포기까지 10℃에서는 10일, 15℃에서 7일이 걸렸고, 20℃와 25℃에서는 5일이 소요된 반면, 5℃와 30℃에서는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나팔고둥 유생의 수온별 성장을 조사한 결과, 10℃와 30℃에서는 모든 유생이 폐사하였고, 25℃의 경우 실험개시시 평균체장 408 ± 21.52 m이던 유생의 30일 경과 후 544 ± 23.22 m, 60일 경과 후 683 ± 19.76 m로 성장하여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나, 생존율은 10%로 가장 낮았다. 또한 15℃의 경우 30일 경과 후 509 ± 18.34 m, 60일 후 625 ± 19.76 m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 23%로 가장 높게 나타나 치패사육시 가장 적정한 수온은 15℃라 판단되었다.

      • KCI등재후보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인공산란과 유생 및 치패의 발생

        오봉세,정춘구,김숙양 한국패류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9 No.1

        Artificial spawning, larval and spat developments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which was transplanted from China on 16 August 1996, were investigated monthly until August 1997 in the Deukyang Bay, Jangheung-gun, Jeollanam-do, Korea. Sufficient amount of cultured microalgae supplemented seawater were supplied as food (6 kinds of phytoplankton) for fully grown adult individuals at 17.1-23.2℃ for 44 days. A total of 45,320,000 eggs were spawned by way of 2 times of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s such as exposure stimulus to the air and thermal shock (with water temperature) on 29 January and 31 January in 1997. Artificially fertilized eggs were developed to D-shaped larvae (77.5 × 63.8 μm) and metamorphosed to larvae (191.8 × 181.2 μm) in the attached larval stage on the collectors. A total of 110,000 spats (average 3.04 mm in shell length) were produced at 22.8-26.3℃ and 31.0-34.4 psu in the indoor rearing tank from 14 February through 7 May in 1997. In case of Argopecten irradians, if the attached larvae in the attachment stage are detached from the collector, they could not live.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survival (%) of the attached larvae of A. irridians showed very low because of weak power attached to the collector due to the small number of the byssuses of the attached larva, not the short attachment period by the byssus as seen in other scallops such as Argopecten balloti. 중국에서 이식하여 어미패로 양성한 해만가리비를 수온 17.1-23.2℃로 44일간 Isochrysis galbana 등 5종의 먹이생물을 혼합시켜 공급하면서 성숙을 유도하여, 1997년 1월 29일 및 31일 2회에 걸쳐 간출과 수온 자극을 가하여 총 4,532만개의 수정란 (평균 52 μm) 을 채란하였다. 난 발생 단계를 조사한 결과, D형 유생의 크기는 평균 77.5 × 63.8 μm이었고, 부착기 유생은 191.8 × 181.2 μm의 크기였으며, 부착기 유생은 이 크기에서 파판에 부착하여 치패로 발달하였다. 이 치패는 2월 14일부터 5월 7일까지 수온 22.8-26.3℃, 염분 31.0-34.4에서 실내 사육한 결과, 평균 각장 3.04 mm로 성장하였다. 비단가리비의 경우는, 부착기의 부착유생들은 채묘기(collector) 에서 떨어지면 폐사하게 되는데, 이것은 Argopecten balloti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족사에 의한 부착기간이 짧아서가 아니라 부착유생들이 각기 소수의 족사를 가지기 때문에 채묘기에 대한 부착력이 약하여 부착유생의 생존율이 비교적 낮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 남해안에 이식한 중국산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동절기 성장에 관한 연구

        오봉세,정춘구 한국패류학회 1999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5 No.2

        To develop new products for aquaculture, which fishermen at South Sea can get high income, after bay scallop was transplanted from Sandong province in China from October 17, 1996 to March 18, 1997 at Duekrang Bay in Janghung gun and Kamak Bay in Y대녀 City on Chollanam province, Sumjin river estuary in Hadong gun and Gejae Bay in Keoje city on Kyongsangnam proince. Temperature was decreased from 20.5$^{\circ}C$ to 5.1$^{\circ}C$ in February and then it was increased to 12.0 in March. Ranges of salinity, DO and Chlorophyll-a were 22.40-34.70 psu, 5.24-9.77 mg/l and 1.27-22.28 $\mu\textrm{g}$/l, respectively, and low temperature, sudden changes of salinity and low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influenced the growth of bay scallop. bay scallop in the rearing period showed the fastest growth from October 17 to November 18 through the every size rages, while it grew slowly or stopped growing from December 18 to March 18. Among 4 transplanted areas, young scallop at Duekrang Bay showed the fastest growth and then Kamak Bay, Gejae Bay, Sumjin estuary in order. The daily growth rate of young scallop in the middle size range (5.70%) was higher than those in large (2.07%) and small (5.49%) size range. The meat weight index showed the highest in December. Survival rates from October to December were high, not related to the size ranges, but survival rate of the small young scallop from January to March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rest. As the Result, transplanted bay scallop at South Sea was shown to grow by the middle of December (around 1$0^{\circ}C$ temperature).

      • KCI등재

        The Effect of Yellow Soil on Mortality of Korean Scallops, Patinopecten yessoensis at Indoor Tank

        오봉세,정춘구,권문경,이정식 한국패류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6 No.3

        In oth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yellow soil to mortality of Korean scallops, P. yessoensis, We investigated its mortality at indoor tank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Do and pH were continued constant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The 100% of survival rate showed in two experiments groups such as 0.1% and 0.4% of concentration of yellow soil and the other groups as 0.05% and 0.2% of concentration of yellow soil was appeared one dead scallop at each group for 8 days of the experiment periods. the gills of scallop in high concentration of yellow soil (0.2% and 0.4% groups) were covered by yellow soil particles so that this group's scallop should be got a high stress from yellow soil. I think this situation will be more continued for long time the scallop will become to dead. The results of bacteriological analysis did not isolated from haemolymph of scallops and no Perkinsus infectious disease in scallops and the scallops showed necrosis and degeneration on digestive grand and gills of scallop.

      • OGGI 유전자의 다형성이 방광암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정필두,정춘구,서정원,윤석중,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 손상된 유전자의 회복은 암의 발생 및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잘못된 염기의 제거 및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OGGI 유전자의 다형성이 방광암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방광암 환자 168명과 건강인 672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genomic DNA를 이용하여 SSCP (single-strande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direct DNA sequencing 및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방법을 통해 환자 및 대조군사이의 OGGI 유전자의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건강 한국인에서 OGGI 유전자의 유전형을 조사한 결과 econ 6의 Pro324Pro 부위(lb type)와 exon 7의 Ser326Cys 부위 (la type)에 유전자의 다형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Codon 324는 silent polymorphic site였으나 codon 326은 C→G로 nucleotide가 바뀌어 amino acid가 serine→cysteine으로 바뀌는 polymorphic site였다. 대조군에서 codon 326은 Ser326Ser 형이 127례 (18.9%), Ser326Cys 형이 363례 (54.0%) 및 Cys326Cys 형이 182례 (27.1%)이었으며, 168명의 방광암 환자군에서는 Ser326Ser 형이 44례 (26.2%), Ser326Cys 형이 87례 (51.8%)이고 0ys3260ys 형이 37례 (22.0%) 이었다(p=0.034) 즉 Cys326Cys 형 및 Ser326cys 형에 비하여 Ser326Ser 형에서 방광암이 생길 확율이 1.52배 (95% CI=0.439-0.969) 높았다 특히 40세 미만의 남자의 경우 Ser326Ser 형에서 방광암 발생확률이 다른 유전형에 비하여 6.1배 높았다. 결론: OGGI 유전자의 유전형은 서구인과 판이하게 달랐으며 방광암에서는 이 유전자의 변이가 빈번할 뿐아니라 codon 326의 Ser326Ser 형에서는 다른 유전자형에 비하여 방광암이 발생할 확률이 1.5배 이상 높았다. 특히 한국인 40세 미만의 남자에서는 방광암 발생확률이 6배이상 높았다. 본 연구결과 OGGI codon 326의 유전적 다형성은 방광암의 종양화 과정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40세 미만의 한국 남자의 경우는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 repair of damaged DNA has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the susceptibility to cancer development and prevention. Therefore, it is worth investigating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OGGl gene associated with the gene repair mechanism. In this study, we examined a possible association of genetic ploymorphisms in OGGl with the risk of bladder tumor. Materials and Methods: Hospital based, case-contro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168 primary bladder tumor patients and 672 control subjects. We performed the SSCP, PCR-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d direct DNA sequencing to characterize the genetic polymorphism of OGGI in both cases and oontrols. Results: We found two polymorphic sites in OGGl. A Ser/Cys polymorphism at codon 326 (la type) in exon 7 was associated with an exchange of amino acid. Another polymorphic site at codon 324 (1b type) in econ 6 was silent. The association between codon 326 Polymorphism and the risk of the bladder tumor was examined by a age-sex adjusted analysis. We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OGGl Ser326Cys genotypes of controls(Ser/Ser, 18.9% ; Ser/Cys, 54.0% ; Cys/Cys, 27.1%)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bladder tumor patients (36.2%, 51.8% and 22.0%, respectively) (p = 0.034, adjusted OR = 0.652, 95% Cl = 0.44 - 0.97). Especially, bladder tumor risk in Korean male under 40 years old was approximately 6 times higher than over 40 years old males. Conclusion : Our data suggested that Ser326cys polymorphism at codon 326 of OGGl male below 40 years old in Kore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tumorigenesis in the urinary bladder (p = 0.015, adjusted OR = 0.165, 95% CI = 0.04 - 0.75)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OGGl Ser326Cys Polymorphism might play a role in the tumorigenesis of the bladder.

      • KCI등재

        A Study on Survival and Growth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with differential density during hanging culture

        오봉세,진영국,정춘구,임월애,김숙양 한국패류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0 No.1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length and total weight growth by density, which was hanging-cultured near the sea area of Yeosu-city, Hoenggan-island (below is Yeosu), showed inverse correlation with density. As for the average growth of shell length by density, the test area of 10 shells showed the best result as 5.21 mm, and it became lower as density became higher. Also, the increase of total weight by density showed the same result, thus on the whole, the increase of average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of 10-20 shell test area showed the better result than the test area of 30-40 shells. In addition, even if the parashell’s shell length by density and total weight growth in the sea area of Namhae-gun, Mijo-fishing port (below is Namhae) showed inverse correlation with density, it showed the slighter inverse correlation than the sea area of Yeosu. As for the average growth of shell length by density, the test area of 10 shells showed the best result as 4.55mm, but the average growth of shell length by density in the test area of 20-40 shells appeared to be similar as 3.11, 3.36 and 3.27 mm.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increase of total weight by density, the test area of 10-20 shells showed the more increase than the test area of 30-40 shells. In conclusion, it is guessed that the culture density of 20 shells/0.12 m2 (166 shells / 1 m2) would be appropriate when hanging-culturing the shells. At the sea area of A, the survival rate of Scapharca broughtonii parashell was 68-87% by density respectively, and it showed the density-dependent result, while the survival rate of sea area of Namhae, where phytoplankton as prey is abundant, showed the much better result as 91-100%. It is guessed that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quantity of phytoplankton in sea area of Yeosu is just 55.89% of sea area of Namhae. When hanging-culturing the shells, the water temperature by sea area ranged from 16.22 to 25.66℃, salinity 30.07-33.48, pH 8.10-8.45, and DO 4.49-9.65 mg/L. 여수 횡간도 지역에서 밀도별 피조개 각장 과 전중량의 성장은 밀도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밀도별 각장 평균성장은10마리구가 5.21 mm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밀도가 높을수록각장 성장은 낮아졌다. 밀도별 전중량의 증가도 같은 결과를보여 전반적으로 10-20마리구의 평균각장 및 평균 전중량의증가가 30-40마리구에 비하여 양호하게 나타났다. 남해해역에서 밀도별 피조개 각장과 전중량의 성장도 밀도와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여수해역보다 약한 역 상관관계를보였다. 밀도별 각장 평균성장은 10마리구가 4.55 mm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20-40마리구의 밀도별 평균각장의 성장은 3.11, 3.36, 3.27 mm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밀도별 전중량의 증가는 10-20마리구가 30-40마리구보다많았다. 결론적으로 피조개의 수하양성시 양성밀도는 20마리/0.12 m2 (166마리/1 m2) 가 적당하다고 사료되었다. 여수해역에서 피조개의 생존율은 밀도별로 각각 68%-87%, 로 밀도의존적 결과를 보였으나,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이풍부한 남해해역의 생존율은 91%-100%로 월등히 양호한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여수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남해해역의 55.89%에 불과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수하 양성 해역별의 수온범위는 16.22-25.66℃였고, 염분은30.07-33.48였으며, pH는 8.10-8.45범위였다. 그리고 용존산소 (DO) 는 4.49-9.65 mg/L 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