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 데이터를 이용한 제주도 양돈농가의 생산성 및 품질 분석

        정진형(Jin Hyung Cheong),허 덕(Duk Huh),김현중(Hyun Joong Kim),김성태(Seong Tae Kim),김유신(Yoo sin Kim)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7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4 No.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quality and pig farm management in Jeju and to find the indicator that can employ management consulting. For this purpose, big data such as information of traceability and grading in the pig sector is employ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pork carcass traits in Jeju is characterized by light carcass weight and low appearance rate of grade 1+. In order to increase in profitability, breeding ratio of the Jeju black pig is required to be less than 10% or more than 60%. Sales of the fed pigs per one head of sow are affected by MSY, WSY, the ratio of the Jeju black pig. With the results, there is policy implic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big data system by linking the traceability system with the computing system in other fields and to provide the pig farm with consulting services based on the big data.

      • KCI등재

        연구보문 : 한국과 호주의 쇠고기 이력시스템 운영사례 조사 비교 연구

        정진형 ( Jin Hyung Cheong ),손경자 ( Kyung Ja Son ),이상수 ( Sang Soo Lee ),김철중 ( Cheol Jung Kim ),김기범 ( Ki Beom Kim ),윤영권 ( Young Kwon Yun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1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3 No.2

        이 연구에서는 호주의 쇠고기 이력시스템 운영사례를 조사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호주의 경우, 쇠고기 이력시스템은 1999년 빅토리아 주에서 처음 도입하여, 2004년부터 의무 시행되고 있다. 추진체계는 정부와 민간으로 구성된 SAFEMEAT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개체식별방법은 RFID에 의한 귀표를 부착하고 있다. 정보의 관리범위는 질병 등 문제발생을 사전 방지하기 위해 농장에 소가 거주하게 되면 해당 토양의 화학성분, 질병잔여물, 호르몬 성장요법 잔여물 등에 대한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농장등록이 가능토록 되어있고, 귀표는 RFID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있고, 소의 신고방법은 양도시 양도자에게만 신고의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유통단계에서는 도축이후 표준화된 EAN·UCC바코드 체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이러한 호주의 Traceability System사례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이력관리의 문제발생시 신속한 추적과 문제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향후 동물건강을 고려 한 이력시스템에 대한 신고범위 확대를 통한 가칭 "출하이동증명서(NVD)" 시스템의 도입과 신속하고 정확한 이력관리가 가능한 RFID 기술의 연차적 도입 및 축산물의 물류관리에 필요한 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적용될 수 있는 국가단위의 바코 드 표준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attle and beef traceability systems between Korea and Australia. The Beef Traceability System in Korea has started from December 2008 as a mandatory system. Korean system adopted an animal identification number consisting of 12 digit numbers fitted for a bar-code system. The system also adopted DNA identity inspection scheme on breeding step, slaughtering step, processing step, and selling step. However, our system does not have National Vendor Declaration(NV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system and uniform barcording system for meat products. On the other hand, Australia has performed the traceability system since 2004 after the pilot program which was first introduced to Victoria in 1999. Australian Beef Traceability System has been operated by RFID, NVD and uniform barcoding system. RFID devices applied prior to calves leaving the property on which they were born. These RFID devices can be either ear tags or rumen bolus/ear tag combinations. NVD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document the history of chemical use and treatment of animals. From Australian beef traceability experiences, introducing NVD, RFID and uniform barcoding system in korea is important to extend a health-related record and save trace-back time. This paper suggests that introducing NVD, RFID and uniform barcoding system can provide information efficiently for the meat industry supply chain and maximize consumers` satisfaction.

      • KCI등재

        축산물 및 가공 : 말고기의 육질 등급에 따른 부위별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성분 비교

        정진형 ( Jin Hyung Cheong ),선창완 ( Chang Wan Sun ),황도연 ( Do Yon Hwang ),권기문 ( Ki Mun Kwon ),이재청 ( Jae Cheong Lee ),김효선 ( Hyo Sun Kim ),김용준 ( Young Jun Kim ),이상근 ( Sang Kun Lee ),류연철 ( Young Chul Ryu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3 한국축산학회지 Vol.55 No.3

        본 연구는 말고기 응급(1등급과 2등급)에 따른 품질을 비교하여 향후 부위별 및 등급별 구분 판매시 등급간 육질 특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의해 이화학적, 관능적, 지방산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등심에 대한 일반성분분석 결과에서는 1등급이 2등급에 비해 높은(p<0.05) 조지방 함량을 보인 반면, 전단력은 1등급이 5.87(kg/cm²)으로 2등급 10.86(kg/cm²)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육질등급별등심, 목심, 넓적다리에 대한 보수력 측정결과 등급간 및 부의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p<0.05), 육색에 대한 육질등급별 부위간 비교에서는 L* 값, a* 값 및 b*값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2등급의 경우 등심, 목심, 넚적다리의 L*, a* 및 b* 값은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지방산 조성에 대한 분석결과 등심에서 palmitoleic acid (C16:1)는 1등급이 11.39%, 2등급이 5.36%으로 1등급이 2등급에 비해 유의 적으로 높았다 (p<0.05). 반면 stearic acid(C18:0)는 1등급이 2등급에 비해 유의 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5), oleic acid(C18:1)는 등급간에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결과 육질 등급간에는 전체적인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냉동된 말고기의 육질 1등급과 2등급에서는 조지방 함량, 전단력, palmitoleic acid (C16:1)와 stearic acid(C18:0)는 등급별 육질을 판별할 수 있는 요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위 및 등급에 따른 차별화를 위해서는 40개월 이상의 장기간 사육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fatty acid profile and sensory property of horse meat according to meat quality grade (1 and 2) and cuts (loin, chuck roll and top round). The lipid content of loi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ade 1 (4.65%) compared with grade 2 (2.31%), whereas moisture content was lower (p<0.05) in grade 1 than in grade 2. The pH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loin than in other cuts regardless of meat quality grade. Shear force value of lo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grades 1 (5.87kg/cm²) and 2 (10.86kg/cm²). Water-holding capacity values of loin, chuck roll and top round were not different (p<0.05) between grades 1 and 2. Meat color values (L*, a* and b*) of loin, chuck roll and top round were not different (p<0.05) between grades 1 and 2. Palmitoleic acid of loin in grade 1 (11.39%) was higher (p<0.05) than that in grade 2 (5.36%). Stearic acid of loin in grade 1(3.58%) was lower (p<0.05) than that in grade 2(7.02%). Overall palatability of loin, chuck roll and top round did not differ (p<0.05) between grades 1 and 2. Therefore, meat quality grade had mainly affected lipid and moisture contents, shear force, palmitoleic acid and stearic acid of horse loin; and horse loin of grade 2 had lower pH and higher L*, a* and b* than the other cu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