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지선,윤성만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2
The evasion of value added tax from B2B trading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operates a payment system for the serious buyers of gold transactions, including some now.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B2C trading transactions collection system it will be the introduction of VAT collection agency system. Specifically, it would be desirable to introduce the following way. First, to apply to transactions both in the case of the applicable transaction phase, between providers and operators trading (B2B) and Business and to-consumer (B2C) whether or multi whether the issue of whether to apply only to transactions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Second, in applying the regulations in the trade of value-added tax collection agency B2C transactions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it should be applied to all sectors, or whether the problem of VAT evasion is applicable only with respect to some heavy industries. Third, the tax collection duty deputy would be desirable to include credit card companies. Fourth, the agency collects tax rate measures to considering equity and other industries apply the benefits of various tax credits for maintaining the existing value added tax and the same 10% to mitigate the financial burden caused by early settlement and payment of providers desirable something to do.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system of incentives and penalties together for cards or card sales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s caused by the balloon bisexual card sales that may arise from the introduction of these measures. In particular, and these institutional incentives and penalties will apply to the gas station or pub operators, institutional incentives can consider from the consumer side and consumers on the use, including credit card in order to encourage use of credit cards, etc. Gas stations and taverns there is an additional reward payment methods and introduction to the income tax benefits for measures. 우리나라에 부가가치세를 시행한 지 약 40년 가량이 지났으며, 우리나라의 세목 중에서 가장 많은 세수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부가가치세 거래징수제도는 사업자가 세금계산서를 미발행하거나자료상 또는 폭탄업체 등으로 이용한 탈세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위하여 부가가치세의 탈루가 심한 금지금 등 일부 거래에 대하여 매입자납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거래징수제도에 있어서 부가가치세의 탈루문제가 더욱 심각한 거래단계는 B2B 거래보다는 B2C 거래일 것이다. 왜냐하면, B3C거래의 경우에는 부가가치세가 탈루되면 더 이상 그 세액을 징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B3C거래에서도 거래징수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부가가치세 대리징수제도를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입하는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첫째, 적용 가능한 거래단계의 경우에는 B2B의 거래와 B2C의 거래 모두에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사업자와 소비자간의 거래에 대하여만 적용할 것인지의 여부가 문제되는데, 사업자와 소비자간의 거래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B3C거래에서 부가가치세 대리징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모든 업종에 대하여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특히 부가가치세의 탈세가 심한 일부 업종에 대하여만 적용할 것인지가 문제이다. 최종적으로는 모든 업종에 일괄적으로 적용하여야 하겠지만, 시행 초기부터 일괄적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거래 및 결제과정에서의 혼란과 어느 정도의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점진적인 시행확대가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부가가치세 대리징수의무자는 카드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넷째, 대리징수세율은다른 업종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기존 부가가치세율과 동일한 10%를 유지하면서 사업자의 조기결제 및 납부로 인한 자금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한 각종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적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도입방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카드매출 양성화로 인한 풍선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카드사용 또는 카드매출에 대한 제도적인 유인과 함께 처벌규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정지선,윤성만,최천규 한국세무학회 2015 세무와 회계저널 Vol.16 No.2
Independent tax of local income tax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in terms of taxation sovereignty expansion that can be ensured the essence of local autonomy, the uniformity of tax policy issues, tax competition issues between local governments, taxpayer of tax cooperation cost of increasing problem, there is also a negative side, such as tax administrative burden of the problem of local governments, the necessary development of countermeasures is a reality for thi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taxation system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local income tax, by examining the tax type of local income tax of major countries, presents a problem with independent tax of local income tax, presents the following improvements is. First, for the sake of consistency of national policies established from tax policy aspects, it is necessary to apply differently for each tax authority application of tax reduction according to the first policy objectives. Also, in order to prevent tax competition of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migrate the current rate system constant rate. And to minimize the cost of cooperation taxpayer, first, it should be availabl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current local tax (weTax) maximally. Second, local income tax administrative aspects is converted independently taxes, and to understand the added work, a result of the estimated the added personnel, was approximately 1,500. Therefore, local tax agent resources reinforcement is requir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local tax of duties educati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transition to an independent tax form local income tax. The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ooperation and tax information. Third, from the viewpoint of the adjustment of the taxation rights between the Regional Council and the basic vehicle of organizations, there is a need to co-tax of the local income tax. As a result, the borough is to ensure the taxation rights of local income tax, such as taxation rights of the so as to have fairness and at the same time efforts for the improvement and tax revenue increase of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Autonomous Region of the other basic governments This is because promising. 지방소득세의 독립세화는 지방자치의 본질을 확보할 수 있는 과세자주권 확대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조세정책의 통일성 문제, 지방자치단체간의 조세경쟁문제, 납세의무자의 납세협력비용의 증가문제, 지방자치단체의 조세행정부담 문제 등의 부정적인 면도 있어 이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소득세의 과세체계와 현황을 고찰함으로써 지방소득세의 독립세화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다음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세정책적인 측면에서 국가정책수립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우선 정책목적에 따라 조세감면 적용을 과세권자별로 차등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조세경쟁을 방지하기 위해 현행 세율체계를 일정세율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납세의무자의 협력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현행 지방세종합정보시스템(weTax)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조세행정적인 측면에서 지방소득세가 독립세로 전환되면서 추가되는 업무를 파악하여 추가되는 인력을 추산한 결과 약 1,500명이었다. 따라서 지방세무직 인력보강이 요구된다. 또한 지방소득세가 독립세 형태로 전환됨에 따라 지방세의 직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세정보와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의 과세권 조정측면에서 지방소득세를 공동세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자치구는 지방소득세에 대한 과세권이 확보되어 다른 기초자치단체와의 과세권에 대한 형평성을 갖게 됨과 동시에 자치구의 재정자립도 향상과 세수증대를 위한 노력 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활용관련 조세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의제매입세액공제와 마진과세 제도를 중심으로-
정지선,여은정,최천규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1
As our country's rapid economic growth has been bringing vigorous activities of construction and company part since 1960s. So quantity of scrapped materials has been increased greatly in recent years. And recycling of these scrapped material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conomic status,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and the energy-supplying industry. But the current recycling industry's tax privilege system has been below the level. For example, the rate of deemed input tax deduction changed to 8/108 from 10/110, and has downed again to 6/106 by amendment of the Code. So in-depth studies on recycling industry's tax privilege is needed.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problems and improvement schemes of recycling industry's tax privilege. So improvements for reforming recycling industry's tax privilege are as follows.First, the rate of deemed input tax deduction must be raised to 10/100 from current 6/106, and the regulating provision about this rate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V.A.T.'s tax law. Second, a limit system of purchase price, that is a newly established by amendment of tax law in the year of 2006, must be eliminated.Third, the regulation method about property liable for deemed input tax deduction, that is now enumerating form in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must be changed to illustrating form.Fourth, EU and Germany's margin scheme can be imported, but this scheme is incompatible with the system of deemed input tax deduction, and additional considerations should be satisfied. 재활용가능자원이란 사용되었거나 사용되지 아니하고 버려진 후 수거된 물건과 부산물 중 원재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폐기물의 자원화방법은 재이용과 재생 및 재회수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60년대부터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건설 활동과 기업 활동이 꾸준히 증가하여 왔는데, 이러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폐기물의 배출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은 그 재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산업적인 측면과 환경오염 방지 측면 및 에너지 수급의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오히려 폐기물 등에 대한 조세지원제도를 축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대표적인 예를 들면 재활용폐자원 등에 대한 매입세액공제율은 처음 시행당시에는 10/110으로 하였다가, 이를 8/108로 하향조정하였으며, 2006년 12월 31일 법 개정을 통하여 다시 6/106으로 인하하였다. 우리나라의 재활용 관련 조세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재활용폐자원 등에 대한 매입세액공제제도의 공제율은 시행 당시에는 10/110이었지만, 지속적으로 인하하여 현재에는 6/106(10/110)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의 공제율인 6/106을 시행 당시인 10/100으로 상향조정하여야 할 것이며, 당해 조문을 부가가치세법 내로 흡수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2006년 말에 세법을 개정하여 매입가액 한도제도를 신설하였는데, 실질적인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에도 위배되어 매우 부당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매입가액 한도제도는 삭제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할 것이다. 셋째, 재활용폐자원 등에 대한 매입세액공제의 대상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에서 열거 규정하고 있는데, 예시규정으로 전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넷째, 독일을 비롯한 유럽연합이 채택하고 있는 마진과세제도를 세금계산서 등을 수령하기 어려운 업종인 재활용폐자원과 중고품 등에 한정하여 도입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마진과세제도와 개선된 재활용폐자원 등에 대한 매입세액공제제도는 선택적인 사항으로 둘 중 하나만을 시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문헌 및 현장 조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재활용 관련 조세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그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환경관련 조세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청소년의 자기자비와 우울 및 학업 스트레스에 대한 메타분석
정지선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9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57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ssociations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Korean adolescents. There is no systematic review or synthesis of the empirical literature of self-compassion in Korean adolescents. This meta-analysis synthesizes the existing literature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effect for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dolescents using random effects analyses. Our search identified 12 relevant studies of Korean adolescents for inclusion. A moderate to large effect size was found for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r = -.45), depression(r = -.55), academic stress(r = -.36). Heterogeneity was significant in the analysis. There was no evidence of significant publication bias. These findings replicate those in Korean adult as well as American adolescent samples. This suggests that lack of self-compassion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causing emotional distress in adolescents. It is recommended that mindful self-compassion program for youth may increase overall mental health for Korean youth. 본 연구는 자기자비와 청소년의 우울과 학업 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까지 발표된 청소년의 자기자비 관련 연구 가운데 12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심리적 부적응의 전체 효과크기를 추정하였고, 우울과 학업 스트레스의 효과크기를 추정하였다. 자료분석은 CMA 3(Comprehensive Meta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자비와 청소년의 관련변인 간의 효과크기는 심리적 부적응(r = -.45), 우울(r = -.55), 학업 스트레스(r = -.36)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간 수준에서부터 큰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자비와 심리변인에 대한 연구(김수빈 외 2명, 2017)와 일치하는 결과이고, 미국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연구(Marsh et al., 2018)와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이질성이 발견되었고, 출간오류에서는 자유로웠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자비가 청소년의 우울이나 학업 스트레스에 대해 완충적인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연구방향과 청소년의 심리 건강을 위한 제언을 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정지선,신윤정,안진아,이은설,이지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IGD)를 진행하는 촉진자 훈련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보여주는데 있다. IGD는 다양한 사회적 정체성을 가진 집단 구성원들이 자신의 정체성 주제에 대해 대화하도록 고안된 반구조화된 집단 활동이다. 미국의 경우 대학내 수업으로 촉진자 훈련이 제공되어 비판적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IGD 보급을 위한 촉 진자 훈련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대화를 이끌어가는 기술뿐 아니라 국내의 한국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촉진자 훈련 프로그램을 4단계에 걸쳐 개발하였다. 첫째, IGD 촉진자 훈련 연구와 한국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IGD 훈련의 대상, 목적,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개발한 예비 프로그램안을 미국 IGD 전문가 1인에게 자문을 받았다. 셋째, 총 19명의 교육생과 예비프로그램 운영 후, FGI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했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8명의 전문가에게 내용과 구조의 적절성을 평가받았다. 이론 교육 2회기와 체험과 실습 7회기 진행으로 구성된 최종 프로그램을 가지고, 10명의 상담자를 모집하여 촉진자 훈련을 실시한 후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국내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IGD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process of developing a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for Intergroup Dialogue (IGD). IGD is a semi-structured small group intervention designed to engage participants of different social identities in a dialogue about privilege and oppression. Given the challenges of training facilitators to implement IGD in Korea, we developed a program that incorporates Korean culture and effective dialogue-leading skills. To design the preliminary program,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sought consultation from an IGD expert based in the United States. After conducting the preliminary program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19 participants, we refined the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The final program was evaluated by 8 experts for its content and structure. The final program, which included 2 sessions of theoretical lectures and 6 sessions of experiential practice, was implemented with 10 counselor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정지선 한국조세연구포럼 2010 조세연구 Vol.10 No.2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에 산업화 및 도시화 등으로 인하여 대량으로 공급된 주택이 시간의 경과로 인하여 노후화되었으며,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주거에 대한 개선욕구가 커지면서 주택의 재개발과 재건축은 한정된 도시의 공간에서 새로운 주거공간의 창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이러한 재개발사업과 재건축사업은 당해 조합원뿐만 아니라 조합에게도 복잡한 조세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조세문제 중에서 양도소득세와 법인세?소득세 및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하여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정비사업조합의 조합원이 당해 정비사업조합에 건축물 및 그 부속토지를 현물출자하는 것은 양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둘째, 조합원입주권은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에 해당하는데, 이 경우 관리처분 계획의 인가가 있을 때에 조합원입주권으로 변환되며, 이전고시에 의하여 기존의 조합원입주권이 부동산으로 변환된다고 보아야 한다. 셋째, 재건축부담금은 실질적으로 조세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양도소득세와 이중과세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세액공제하고, 장기적으로 재건축 부담금은 폐지하고 양도소득세만을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조합원입주권이 주택으로 의제되는 경우에는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며, 양도소득세의 중과세율제도는 폐지하고, 모든 자산에 대하여 초과누진세율구조로 변경하여야 한다. 다섯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이 일반분양 수입금액에서 당해 공사원가 등을 제외한 개발이익금 상당액을 각 조합원들에게 지분비율에 따라서 배분하여 각 조합원이 부담하여야 할 건축비에 충당하는 경우에 각 조합원이 획득한 것에 대하여는 배당소득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해석하게 되면 양도소득세와 중복 과세되기 때문에 배당소득으로 보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여섯째, 정비사업조합은 실질적으로 조합원들의 공동사업이기 때문에 법인세를 과세하지 않고, 양도소득세를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부가가치세의 과세에 있어서 정비사업조합이 조합원에게 주택을 공급하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재화의 공급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재개발조합 등이 조합원에 공급하는 것을 부가가치세법상 면세대상으로 규정하는 입법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In our country, the houses supplied in large quantity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1970 became deteriorated as time passed by whil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of houses have played a key role in creating new residences in a limited space of cities as the living standards of people have improved to have higher desire toward housing improvement. The above-said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raise complicated tax issues not only for the union members concerned, but also to the union. Among these tax issues, if the problems of current tax system and its improvement plans are presented centered on capital gains tax, corporate income tax, individual income tax, and VAT, they’re presented as below. First, the investment in kind of maintenance project union members’ building or its attached to the investment project union should not be seen as transfer. Secondly, residency rights of union members are subject to taxation in the field of capital gains tax. In this case, the residency rights of union members are generated after management disposal plan is approved, and the existing residency rights would be converted to real estate based on transfer notice. Third, there is problem of capital gain tax and double taxation because reconstruction charg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ax in reality.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deduct taxes in a short run, abolish reconstruction charges and only imposing capital gain tax in a long run. Fourth, in case the residence rights of union member are brought up as a house, it is proper to apply the special deduction for long-term possession. In this case, the heavy taxation rate system of capital gains tax should be abolished, and all the assets should be changed into excess progressive rate structure. Fifth, in case the Housing Reconstruction Maintenance Project Union distributes an amount equivalent to development profits deducting prime cost of construction from general sales income to make up for the construction cost to be paid by each union member, the gains of each member is seen as dividend income. However, because this interpretation would impose double taxation along with capital gain tax, it is reasonable not to consider as dividend income. Sixthly, because maintenance project union is actually a joint project of union members, it is reasonable to impose capital gain tax without imposing corporate tax. Finally, because the maintenance project union providing home to union member is unreasonable to consider as supply of goods in terms of imposing VAT, a legislative improvement specifying the ones supplied by redevelopment union, etc to union members as subject of tax exemption according to VAT Law would be necessary.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 분석 :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지선,이수정,신정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job search processes and quality of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cross academic majors. In this study, the job search processes were considered job preparation activitie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working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and employment path (method, time and effort). In addition, the quality of employment conditions was regarded as five sub-units: employment status, matching between job and employment goals, education levels, technology levels, and academic major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ross academic majors and effect on quality of employment,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he study found that the job search processes 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are represent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graduate’s academic major. The determinants of quality in employment conditions are also considerably depending on academic majors.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each university should make divers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for graduate with consideration for academic majors. 이 연구는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고, 전공계열에 따라 이 과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은 취업준비활동과 구직경로로 구분하고, 취업의 질적 수준은 종사상 지위, 역량, 전공, 취업목표 일치도라는 4개 항목으로 정의하였다. 취업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인, 가정, 학교 배경과 더불어 전공계열과 구직과정의 특성을 추가하여 분석하고, 기술통계 및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구직과정과 취업의 질적 수준은 전공계열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취업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성별·학점·대학소재지 등이 유의미하였으며, 구직경로와 재학 중 일경험이 유의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전공계열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취업지원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과 노동시장의 수요를 고려한 전공계열별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LiBOB 전해액 첨가제 도입에 따른Li(Ni1/3Co1/3Mn1/3)O2/graphite 전지의 고온특성
정지선,이혜원,이후길,유명현,이용민 한국전기화학회 2015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8 No.2
음극 표면에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를 형성하는 전해질 첨가제인 lithium bis(oxalate) borate (LiBOB),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vinylene carbonate (VC), 2- (triphenylphosphoranylidene) succinic anhydride (TPSA)를 Li(Ni1/3Co1/3Mn1/3)O2 (NCM)/ graphite 전지에 도입하여 고온 저장 특성을 비교하였다. 각 전지를 50%의 충전상태(stage of charge, SOC)에서, 고온 저장(60˚C, 20일) 시킨 이후의 용량 유지율을 확인한 결과, LiBOB 1 wt.%가 가장 우수한 용량 유지 특성(초기 방전용량 대비 86.7%)을 나타내었다. LiBOB 1 wt.% 의 경우 고온 저장 전후의 전지 저항 증가 및 SEI 두께 변화가 가장 적었고, 이는 음극 SEI에포함된 다량의 semi-carbonate 물질과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LiBOB 1 wt.%가 포함된NCM/graphite 전지의 상온(25˚C) 및 고온수명(60˚C) 특성도 기준 전해액(1.15 M 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6) in ethylene carbonate/ethyl methyl carbonate (EC/EMC, 3/7 by volume))보다 각각 6%와 9%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LiBOB이 상온 성능을 동등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고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전해액 첨가제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