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임스 맥닐 휘슬러의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에 나타난 북디자인 특징

        정은혜(Jung Eunhye) 한국디자인사학회 2022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1890년 화가 휘슬러(James Abbott McNeill Whistler)가 ‘휘슬러 대 러스킨 명예훼손 소송 사건’을 계기로 펴낸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의 북디자인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휘슬러가 활동하던 19세기 말 영국 빅토리아 시대는 인쇄기와 인쇄술의 발달로 책의 대량 생산이 활발해지면서 보다 저렴하고 가벼운 책들이 출판계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출판사는 양적 성장에만 치중하여 책의 완성도나 창의성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이러한 기술적 대량 생산 방식에 반대하는 모리스(William Morris)를 중심으로 심미적이고 예술적인 책을 소규모로 제작하는 움직임도 생겨났다. 모리스의 노력은 책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의 책은 대중에게 읽히는 책이라기보다 상류층의 서재를 채우는 장식품으로 변질되었다는 비판도 나왔다. 이러한 영국의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휘슬러의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은 당시 북디자인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었다. 휘슬러는 당대 출판 산업의 흐름에 맞게 실용적이면서도 매력적인 북디자인 방식을 고민했지만, 모리스가 추구하는 고급스럽고 장식적인 표현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휘슬러는 지면에 모든 요소를 제대로 배치한다면 값비싼 종이나 새로운 서체, 특수하게 만들어진 잉크는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오히려 쉼표의 위치나 텍스트의 배열, 여백의 대비 등 기본적인 타이포그래피 요소를 중시했다. 이 연구를 통해 밝힌 휘슬러의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에 나타난 북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적 가치와 실용성을 위해 천이나 가죽이 아닌 평범한 갈색종이를 이용한 장정을 시도했다. 둘째, 딱딱하고 경직된 대칭적 조판 구조를 탈피하여 비대칭 배열의 레이아웃을 사용했다. 셋째, 여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입체적 공간성을 부여하고, 책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했다. 넷째, 의도적인 텍스트의 배치로 대비를 주어 저자의 메시지를 보다 극대화했다. 다섯째, 저자의 글을 그림으로 설명하거나 해석하지 않았으며, 최소한의 나비 일러스트레이션을 의미 있게 적용했다. 독자에게 메시지를 전하는 저자로서 휘슬러는 자기주장과 사실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심했다. 이를 위해 오늘날 북디자인에서 통용되는 타이포그래피의 기본 원리들을 독자적인 표현 방식으로 활용했다. 휘슬러의 북디자인 표현 방식은 저자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지면에 반영하기 위해 북디자인의 역할에 집중한 결과였다. 이 연구에서는 그가 작업한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에 어떤 디자인적 의의가 숨어 있는지 고찰하고 그를 북디자이너로 재조명함으로써, 19세기 말 영국 북디자인의 흐름을 좀 더 세밀하게 이해하고 입체적으로 통찰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book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Gentle Art of Making Enemies, which was published in 1890 by the painter James McNeill Whistler over the libel suit of Whistler v. Ruskin. In the late Victorian er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Whistler was quite active, a new printing press appeared and papermaking technology was further developed. Mass production of books became possible, while cheaper and lighter books were now the mainstream of the publishing industry. However, against this trend of mechanization, there was a movement to produce aesthetic and artistic books on a small scale. Although Whistler considered a practical and attractive publishing method suitable for the industrialization era, he was not interested in the luxurious and decorative expressions pursued by William Morris. He believed that if all elements were properly placed on a book’s pages, there would be no need for expensive paper, new typefaces, or specially tailored inks. Rather, he focused on the most basic typographic elements, such as the location of commas, the arrangement of text, and the contrast of blank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Gentle Art of Making Enemies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aesthetic value and practicality, he tried binding his work using plain brown paper rather than cloth or leather. Second, an asymmetric layout was used by breaking away from the stiff and rigid symmetrical typesetting structure. Third, he intended to give three-dimensional spatiality and effectively convey the contents of the book to the reader by actively utilizing blank spaces. Fourth, the author"s message was maximized by providing contrasts with intentional text arrangements. Fifth, the author"s writing was not explained or interpreted with pictures, and a minimal number of butterfly illustrations was applied meaningfully. Whistler"s book design method was the result of concentrating on the role of book design in relation to expressing the author"s text in an effective way. By exploring what kind of meaningful design is hidden in his book The Gentle Art of Making Enemies and reilluminating him as a book designer,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the flow of British book desig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a more detailed and insightful way.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정은혜(Chung, Eunhye),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수면시간, 수면의 질, 우울 증상의 관계를 밝히고,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매개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Preacher와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S-척도), 수면시간을 묻는 문항, 수면의 질 척도(PSQI-K), 우울 척도(CES-D)를 실시하고,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수면시간, 수면의 질과 부적 상관을, 우울 증상과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수면시간은 수면의 질과 정적 상관을, 우울 증상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면의 질은 우울 증상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수면시간을 매개하여 우울 증상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수면의 질을 매개하여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짧은 수면시간을 거쳐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높은 청소년은 수면의 질이 낮아 높은 우울 증상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각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검증했다는 점과 수면시간보다 수면의 질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가진 청소년들의 수면 및 부정적 정서에 관하여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We performe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ith Hayes’ Process Macro program and bootstrapp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10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ollowing tools were used; a smartphone addiction scale(S-scale), a questionnaire on sleep duration, the PSQI-K, and the CES-D. The data thus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did not affect depressive symptoms through sleep duration. Seco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significantly influenced depressive symptoms through sleep quality. This study provides initial evidenc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sleep quality rather than sleep du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아버지 양육참여가 걸음마기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정은혜 ( Jung Eunhye ),최은실 ( Choi Eunsil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우울, 걸음마기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우울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걸음마기(18~36개월) 아동을 양육하는 26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Father Involvement Activities’를 한국 상황에 맞게 번역한 척도를, 어머니의 우울은 ‘한국판 CES-D,’ 유아의 정서행동 문제는 ‘K-CBCL 1.5-5’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와 부적 상관이 있었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또한 어머니의 우울과도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어머니의 우울은 걸음마기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걸음마기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있어서 어머니의 우울은 매개변인으로서 부분매개 하였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우울을 거쳐 걸음마기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에 순차적인 경로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걸음마기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에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참여방식이 어머니의 우울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향후 부모 교육이나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인식의 전환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대해 볼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mothers’ depression and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nd mediating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and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their toddler years. To test a set of hypothesized relationships, a survey was conducted on 261 mothers who raised their children 18 to 36 months ol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The survey instruments include Father Involvement Activitie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CES-D), Child’s Behavior Checklist(CBCL 1.5-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depression, and mothers’ depress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toddlers. Second, the mothers’ depress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children's emotional behavior in toddler years so fathers’ involvement affected toddler'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rough the mothers’ depression in a sequential way.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had an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depression and contribut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 KCI등재

        한국 로맨스 웹소설과 딱지본 소설의 파라텍스트에 나타난 공통점 분석

        정은혜(Eunhye, Chung)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본 논문은 한국의 딱지본 소설과 로맨스 웹소설의 파라텍스트를 비교하고, 이를통해 한국의 대중소설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딱지본 소설과 웹소설은 인쇄술과 웹이란 매체를 기반으로 대중소설로 자리 잡았다. 두 매체의 특성은 다르지만 소설을 매개로 형성된 파라텍스트는 공통된 지점이 있다. 소설의 유통 환경 측면에서 두 소설은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유통 플랫폼을 확장하고 독자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독자는 소설을 매개로 하여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는 공동체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소설 텍스트 체계에서 두 소설은 남녀 인물의 낭만적 분위기를 강화하는 일러스트 표지(表紙)를 활용하여 이야기 공간을 제시한다. 또한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텍스트 공간을 계층적으로 분리하였다. 딱지본 소설은 제목, 소제목, 쪽수로, 웹소설은 에피소드 제목, 작가의 말, 댓글창으로 이야기의 시작, 종결, 진행 정도를 표시한다. 또한 에피소드 단위로 이야기를 분절함으로써 효율적 독서 행위를 증대시켰다. 이처럼 딱지본 소설과 웹소설은 서로 다른 매체를 활용함에도 불구하고 공유하는 문화적 코드를 갖는다. This paper compared the paratext of Korean Romance Web novels and Ddackjibon novels, and analyzed the cultural common code in Korean popular novels. Ddackjibon novels and web novels became the popular novels in korea based on the medias, which were typography and web.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wo novels were different, their paratext as the novels medium had the common point. First, in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Ddackjibon novels and web novels expanded the platform of distribution based on price competitiveness, and it made the improved accessibility. The readers formed the communities that shared their thoughts and feelings by these popular novels. Next, in the text system of the book, these two novels presented the story space by using an illustrated book cover that enhanced the romantic atmosphere. And they separated the text space using various indicators. Ddackjibon novels usually used title, subtitle, page number and web novels used episode title, writer’s comment, reader’s comment space. These indicators displayed the opening, ending and progressing of the story. In addition, they segmented the story by episode. It increased the reader the efficiency of reading. Eventually, Despite of the different media base, Ddackjibon novels and web novels shared the cultural common code.

      • KCI등재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 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 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三菱) 마을을 사례로

        정은혜 ( Eunhye Cho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6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conservation value of Sorok Island and Mitsubishi Village whose landscape still has the aspects of colonial pow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landscap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a field study. Both Sorok Island and Mitsubishi Village were form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Sorok Island was a place specially designated for Hansen’s disease patients, and Mitsubishi Village was a region where many Korean people were conscribed as the laborers of the Mitsubishi factory and exploited ruthlessly. Now, they still have a discriminated landscape as a horrific disease and poverty-stricken area. These landscapes having a sad and painful history haven’t been properly managed and protected. Instead, they have been continuously ignored for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erving these historical landscapes and suggests dark tourism-based placement conservation.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통제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과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은혜 ( Eunhye Jeong ),임지영 ( Jiyoung Lim )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control and career maturity. In the study, 747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Busan and Seoul area were surveyed on their perceived level of parental control, career maturity,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5.0 program, Hayes’Process Macro program and bootstrapping.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by grade, major, experience in career-related services and part-time job experience perio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control(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career maturity,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Third,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had multipl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career maturity.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trol(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maturity. It was also found that parental behavioral control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by increasing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whil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by decreasing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 KCI등재후보

        외국인의 군집과 분리공간에 대한 고찰: 남해 독일마을과 서울 서래마을을 중심으로

        정은혜(Eunhye Choung)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 Vol.10 No.1

        사회구조적인 공간으로서 영토성을 지니는 군집과 분리가 나타나는 지역으로, 본고는 경남 남해군 독일마을과 서울 서초구 서래마을을 사례로 그 현상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외국인의 군집과 분리공간에 대해서는 차별과 편견으로 인해 드러나지만 본고가 연구한 이 두 지역은 모두 수렴적이고 긍정적인 영토성으로 이해되는 경우이다. 이는 한국인이 가지는 유럽인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군집과 분리를 통해 이곳으로 이주해 온 마을주민들의 문화를 배려하지 않고, 관광적·상업적인 목적으로 경관을 활용하려는 정책은 수정될 여지가 있다. 뿐만 아니라 근린생활시설의 부족 문제, 주민들에게 이루어져야 할 여러 가지 일들에 대한 기회의 제한 문제, 언어소통의 문제 등에 대한 부분도 조속히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Dokil village (German Village in Namhae) and SeoRae Village (French Village in Seoul), as an area where congregation and separation appear as a social structural space. In general, the space of foreigners congregation and separation appears as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However, the case regions in this study are all considered to be spaces of convergent and positive congregation and separation. This is due to Koreans friendly attitude toward Europeans. Nevertheless, the policy of using local landscapes for tourist and commercial purposes without considering the culture of these residents should be revised. In addition, the problem of lack of facilities, limited opportunities for residents, and problems of language communication should be improved promptly.

      • KCI등재

        여성성을 반영하는 공간에 대한 고찰: Strindberg의 『Froken Julie』(1888)를 사례로

        정은혜 ( Eunhye Cho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Strindberg의 희곡 『Froken Julie』(1888)의 주(主)무대인 `집`을 통해 공간에 대한 시각을 재정립하는 과정으로서, 그리고 남성중심성을 해체하는 인식론적 과정으로서, `부엌, 침실, 창고, 정원` 등에 대한 세부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로서 영화장면과 연극무대를 종합하여 공간을 스케치함으로써 문학작품 속 공간을 실체화(實體化)하였다. 이 중에서도 `부엌`은 여성의 일상이자 기능의 공간에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권력투쟁공간이자 남성과 여성의 마찰공간이 된다. 더 나아가 부엌의 창문은 헤테로토피아적인 공간으로 여성과 하인이라는 굴레의 해방적 설정으로서 자유에의 갈망, 혹은 억압의 해방을 의미한다. 그 다음으로 `정원`은 여성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서, 현실을 의미하는 부엌과는 대조되는 이상향이자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제3의 공간으로서 역시 헤테로토피아적인 공간이다. 한편 정원에서 이루어진 그녀의 자살은 자신의 과거를 지우고 이와는 다른 공간(사후 공간)으로 탈출하고자 하는 욕망의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고는 19세기의 작품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여성적 공간에 대한 시각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지만 여성의 공간에 대한 사유방식의 재검토 차원에서 이루어진 페미니스트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pply specific approach on kitchen, bedroom, storage and garden as a process of reestablishing vision on space through `home,` the main stage of Strindberg`s 『Miss Julie』(1888), and as an epistemic process which breaks up male-centrality. In particular, `Kitchen` is a space of women`s daily routine and functions. It also becomes a space of power struggle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as well as a space of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Furthermore, a kitchen window is a heterotopic space which symbolizes desire for freedom or liberation from repression with liberalistic setting on bridle between women and servants. `Garden` is a typical space for reflecting femininity. It is also heterotopic as an ideal type which is contracted with the kitchen that represents reality and third space which exceeds the boundary between private and public spaces. Her suicide at the garden can be interpreted as the expression of her desire to erase her past and escape to the other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from the 19th century so that it would not be able to rule out all the views on feminine spaces at that time. Even so, it is meaningful as a feminist study which has been performed for reexamining a way of thinking about women`s space.

      • KCI등재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 논의: 서울로 7017을 사례로

        정은혜 ( Eunhye Cho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8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사례로서 기존의 노후한 기반시설을 녹지공간으로 재창조한 ‘서울로 7017’에 대해 분석하고 장단점을 찾아내어 보다 효과적인 개선방안으로서 도시관광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둔다. ‘서울로 7017’은 옛 서울역 고가도로를 자동차 길에서 사람 길로 전환하고, 서울 도심의 끊어진 축을 연결하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서울의 공중공원이다. 이는 서울역 고가도로의 역사적 가치를 감안하여 철거하지 않고 공공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쇠퇴해가는 공간을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으로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교통정체와 상권 위축이라는 문제에 대해 시민들과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다. 따라서 ‘서울로 7017’이 도시관광으로 도약하기 위해 첫째, 단순 성과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장소의 의미와 맥락을 공간에 담을 수 있도록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도시환경을 관광자원화 해야 한다. 둘째, 조성된 공원 및 기반시설을 더욱 올바르게 관리해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서울로 7017 안에 내재된 관광 매력물 간의 연계성과 부가적인 도시서비스의 제공을 더욱 확충해나감으로써 관광목적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Seoullo 7017’ as an example of urban generation, a transformation of old infrastructure into green space, and discusses urban tourism as an effective improvement plan. ‘Seoullo 7017’ is an elevated sky garden which was built to transform the old traffic overpass to a pedestrian bridge and to restore the disconnected urban flow. Due to its historic value, Seoul Station Overpass was kept and reborn into a public space for urban tourism. However, there were some criticisms about not having paid much attention to citizens’ voices and opinions of local community regarding traffic and economic issues. Therefore, in order for ‘Seoullo 7017’ to move forward for urban tourism, the followings are required. First, urban environment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linkage with the surroundings to keep their spatial meaning and context, away from simple performance-oriented policies. Second, the garden and infrastructure should be properly managed. Lastly, this place should play a role as a tourist destination through connection among internal tourist resources and expansion of additional urban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