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굽쇠를 이용한 치료법

        정윤미 ( Yoon Mi Jung ) 국제통합대체의학협회 2006 국제통합대체의학회지 Vol.2 No.1

        Modern Quantphysicians emphasis: Everything in this universe is oscillation and already Heraklit recognized with his famous pantarei that everything is in flow. Health also depends upon how good we are in resonance with ourselves, how easily we can find into the rhythm, in the melody of our life and our environment. That is way it is easily understandable why oscillation and sounds are a therapy form which have been topics of the human society for ages. Phonophorese (freely translated as Ton acupuncture) describes work with acoustical planet frequencies that affect us by hearing or by placing the tuning fork on meridians, acupuncture points or chacres. It unites thousand year old knowledge in a gentle, alternative healing method. A wonderfully efficient access to the body land can be found in the human sense of hearing, from which the oscillation information is transferred right to the place where it is needed with sonic speed. The inner helper gets activated, the energy system gets strengthened and can be harmonized. How can the effect the planet tuning fork has on our body and soul be explained? The tones of the tuning fork correspond with the frequency of the planets such as Mars, Pluto, Saturn, Jupiter, different frequencies of the Moon etc.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의 매개 효과 및 성인 애착의 조절 효과

        정윤미(Jung, Yoon-Mi),김병직(Kim, Byung-Jik) 글로벌경영학회 2021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8 No.3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 직원들에 대한 공감, 경청, 그리고 존중을 바탕으로 그들의 잠재력 및 성장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끌어 나가는 리더십 형태를 의미한다. 이 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다양한 인식, 태도, 그리고 행동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이직의도를 낮춘다고 보고되어 왔다. 그런데 서번트 리더십과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서번트 리더십이 어떤 작동 기제를 거쳐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조절하는 변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못한 부분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과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상사신뢰의 매개 효과와 성인애착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에서 수립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횡단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세 시점에 걸쳐 확보한 설문 자료를 분석해 활용했다. 가설들에 대한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번트 리더십은 상사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상사신뢰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상사신뢰는 서번트 리더십과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특성을 보여주는 성인애착 불안과 회피가 서번트 리더십이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부적(-)으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서번트 리더십이 상사신뢰에 영향을 주어 부하직원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리더와 팔로워 사이의 관계에서 팔로워의 개인적 특성이나 성향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리더십을 통해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상사신뢰 수준 뿐만 아니라 성인애착 특성을 적절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ervant leadership refers to a form of leadership that focuses on employee’s potential and growth based on empathy, listening, and respect for them. The servant leadership has been kn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various perceptions, attitudes, and actions of members. In particular, it has been reported that servant leadership lowers employee turnover intentions. However, prio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have not fully investigated what mechanisms the servant leadership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and what variables moderate the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leade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for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The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trust in leader, and the trust in leader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rust in leader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e influence of the servant leadership on trust in leader was moderated by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which show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ant leadership can affect the level of trust in leader, thereby lowering the employee s intention to turnover.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r dispositions of the follower can have a decisive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 and the followers.

      • 입학사정관전형에서의 심화교과 활용방안 연구

        이수영 ( Soo Young Lee ),정다운 ( Da Woon Jung ),정윤미 ( Yoon Mi J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3 입학전형연구 Vol.2 No.-

        교육과정 개편 등으로 고교 현장이 다양화되고 수월성 교육이 강조되는 현재, 고교과정 이상의 수준인 심화교과를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이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는 사교육 절감 및 공교육 정상화 차원에서 심화교과 이수를 입학사정관전형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고교 교육력 제고 정책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외 대학과목선이수제 운영사례, 심화교과를 활용한 선발-교육 연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현 시점에서 고교별 운영 현황의 차이가 존재하고 심화과정 이수여부를 대학 입시에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다. 다만 심화과정을 입학과 연계하여 대학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는 것은 고려해 볼 만 하다. 교육정책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심화교과 이수에 대한 규정을 단일화하는 교육모형이 제시될 경우 본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oday high school field emphasizes diversity and educational excellence as because of curriculum revision and students who complete a course of intensive curriculum over high school level has cre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method of intensive curriculum of private education savings, normalize public education, completion to intensive curriculum was to suggest ways to take advantage of Admission Officer System. For this, this study identified the policy of improving high school education. Analyzing the operating cases of Advanced Placement courses in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on selection of education linkage, utilizes intensiv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anagements of high school and we can`t reflect the completion of intensive curriculum directly. Therefore, it is early to evaluate quantitatively. However, it is worthy that intensive curriculum is considered as the way of increasing the loyalty towards the university by admission. Education policy has changed constantly. It is necessary to continue further studies the model of unifying the rules for completion of intensive curriculum is offered.

      • 학문단위별 우수학생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연구 I: K대학교 이공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김상유 ( Kim Sang-yu ),유가영 ( Yoo Gayoung ),정윤미 ( Jung Yoon-mi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8 입학전형연구 Vol.6 No.-

        본 연구는 학문단위별로 우수학생을 추천 받고 그 사례를 분석하여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에 대한 재조명을 하고자 했다. 추천 받은 우수학생을 모집시기, 전형 유형, 추천 사유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해당년도 입시에서 차지하는 학생부종합전형 선발 비율을 고려하였을 때, 추천받은 우수학생들 중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추천사유로는 학업성적 우수, 적극성, 성실성, 수업참여도, 리더십 등의 순이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고등학교 시절에 학교 행사 및 동아리 활동을 열심히 하였고, 이들 중 절반 정도는 학급 임원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학업에 있어서는 국어, 영어, 수학보다는 과학을 잘한 학생들이 많았으며, 스스로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인성 및 발전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였고, 학업역량 및 전공적합성에 대해서는 조금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들 가운데 학생부종합전형(입학사정관전형)으로 합격한 학생들의 입학지원 서류를 비교과영역, 교과영역, 평가요소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동아리활동과 봉사활동이 우수하고 수학과 과학 교과를 잘하며 우수한 인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학문단위별로 좀 더 의미 있는 활동 영역을 파악하고, 학생 선발을 위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및 평가요소별 비중 설정의 토대가 될 것이며, 대학이 원하는 인재와 학과가 원하는 인재를 조화롭게 선발할 수 있는 전형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reconsider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General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by surveying and analyzing excellent students by academic un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xcellent students who were recommended by the time of the recruitment, the type of selection, and the reason for the recommendation showed that the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the General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was high. The reasons for recommendation were academic excellence, active personality, sincerity, class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According to the surve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orked hard at school events and club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and about half of them had classroom executive careers. In the study,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were good at science rather tha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In the self-evaluation, they highly evaluated good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otential, and evaluated their academic ability and major competence a little low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documents of the students who passed the General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group and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excellent. They were good at mathematics and science and had good and excellent personality. This analysis will identify more meaningful areas of activity for each academic unit, and will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overall selection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students and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factors. It can be, also, used as a basic data for a design of the General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 학생부종합전형 면접고사의 체계화 연구

        이수영 ( Soo Young Lee ),정다운 ( Da Woon Jung ),정윤미 ( Yoon Mi J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4 입학전형연구 Vol.3 No.-

        입학사정관제 도입으로 대학의 선발자율성이 확대되면서 대학은 학생 선발시 다양한 전형요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입시 변화 속에서 전형요소 중 하나인 면접고사의 체계적인 방법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및 경희대학교 면접고사의 방법 분석, 타 대학 면접고사 운영사례 비교분석, 대입전형간소화방안에 따른 면접고사 운영방법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면접고사는 대부분 인성면접과 구술면접, 토론면접 중 1∼2가지를 선택하여 활용하고 있었으며 인성면접은 학생의 서류를 기반으로 개인별 면접이 실시되고 구술면접 및 토론면접은 사전에 출제된 문제에 따라 진행되었다. 2015학년도 대입에서는 대입전형간 소화정책에 따라 많은 대학들이 구술면접을 폐지하고 면접고사의 비중을 낮추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면접고사가 전형요소로서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해 평가항목 개발, 면접관의 전문성 신장, 면접점수 부여기준 설정, 면접고사의 구체적인 운영방법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As the introduction of admission officer system enlarged autonomy of university, they can utilize various admission elements when selecting students. In these changes of admission, we conducted this study in order to research systematic method of interview as one of the admission elements. For this purpose, we researched documents and interview method of Kyunghee university,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interview cases of other universities, the changes of operating method for interview according to simplification policy of university admission. So we can get the result that they select and utilize 1.2 method from personality interview, speaking interview, discussion interview, its personality interview is conducted individually based on student`s documents, speaking and discussion interview are conducted by previously issued questions. In 2015, many universities will abolish speaking and discussion interview, lower its percentage of interview. In this situation, we proposed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enhancement of interview`s speciality, criteria setting for interview, development of concrete operating method for interview so that interview can play a role as admission elements.

      • 학문단위별 우수학생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연구 II : K대학교 국제·외국어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김상유 ( Kim Sang-yu ),김대현 ( Kim Dae-hyun ),박여진 ( Park Yeo-jin ),정윤미 ( Jung Yoon-mi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8 입학전형연구 Vol.7 No.-

        본 연구는 국제·외국어계열 모집단위 소속 교수로부터 두 그룹의 학생(우수학생과 부적응학생)을 추천 받고 그 사례를 분석하여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에 대한 재조명을 하고자 했다. 추천 받은 우수학생은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 비율이 단연 높았으며 부적응학생은 정시 수능전형 합격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생부종합전형 중에서 우수학생은 네오르네상스전형 합격자 비율이 높았고 부적응학생은 학교생활충실자전형 합격자 비율이 높았다. 학생의 추천사유로는 전공에 대한 관심 여부, 학업 성적 등이 가장 주요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수학생의 경우 고교에서 적극적인 학교생활을 하였으나 부적응학생은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자가진단 보유 역량에서, 우수학생에 비해 부적응학생의 경우 전공적합성 우수 비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학생부종합전형으로 합격한 학생들의 입학지원 서류를 분석한 결과, 교과영역에서 우수학생은 영어와 국어 가 상대적으로 우수하였으나 부적응학생은 제2외국어, 사회 등이 우수하였다. 대학전공 외국어를 고교에서 충분히 접하고(즉 II과목까지 이수하고) 대학에 진학했을 경우 국제·외국어계열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았으며, 해당 외국어를 고교 교육과정을 통해 공부하지는 못했지만 해당 외국어에 관심을 가지고 대학에 진학했을 경우에도 대학생활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평가요소 영역에서 우수학생 그룹은 인성,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응학생은 학업역량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wo groups of students (excellent students and maladaptive students) were recommended from professors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foreign languages. We analyzed these students to examine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Comprehensive School Record Screen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recruitment time showed that among the excellent students, the percentage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the Comprehensive School Record Screening was high, and among the maladaptive students group, the percentage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high. According to the survey, excellent student group had active school life in high school, but maladaptive students showed relatively passive appearance. In the academic area, the excellent students group was good at English, Korean, and the maladaptive students group was good at second foreign languages and social studies. In the case of students who are sufficiently familiar with the foreign language in the high school,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as good. Even if the students were not able to study the foreign language through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were interested in the foreign language,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good, too. In the evaluation factors area, the excellent students group showed superiority in personality, major competence, and developmental potential, and maladaptive students showed excellent in academic ability.

      • 고교 진로 교육 개선 방안 연구: 한국, 독일 중등교육과정 내 진로 교육 사례 비교

        김대현 ( Kim Dae-hyun ),이수영 ( Lee Soo-young ),정윤미 ( Jung Yoon-mi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6 입학전형연구 Vol.5 No.-

        우리나라 고교 진로 교육의 방향이 기존 입시 중심 교육에서 학생의 적성과 잠재력을 바탕으로 한 진로 탐색 과정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교 유형별 진로 교육 실태와 변화상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고교 진로교육의 선진 사례로서, 조기에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진로·직업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독일 중등 교육과정 학제 시스템을 비교·분석하였다. 독일의 시스템은 대학 진학 과정과 직업 교육 과정을 중학교 시기부터 구분하는 것이 특징이며, 직업 교육 중심의 레알슐레(RealSchule)의 경우 기업과 학교에서 이원적 체계로 운영되는 현장 기반 교육이 강점이다. 우리나라의 뿌리깊은 학력 중심 사회에 독일의 진로 교육과정을 바로 적용시키기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보다 이른 시기의 진로 결정, 체계적인 진로교육과 현장기반 직업 교육 시스템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direction of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in Korea has been switched from focusing o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o search career plan based on aptitude and potential. Depending on school type and situation, there are numerous career education cases on this report. On this thesis, it is suggested that the German secondary education system could be a appropriate model as an advanced case. The German career education system in secondary education starts at very early age, and it is systematic and intensive vocational programs. It is characterized by seperating university entrance course and vocational training course in the middle school level. Dual system in RealSchule, it operates work-based learning. Even though German system cannot easily transplant to Korean university-centered society, it shows that early carrer education and systematic vocational program is very suggestive.

      • 학생부종합전형 면접평가 결과와 입학 후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분석

        김상유 ( Kim Sang-yu ),김대현 ( Kim Dae-hyun ),박여진 ( Park Yeo-jin ),정윤미 ( Jung Yoon-mi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20 입학전형연구 Vol.9 No.-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면접평가 성적과 대학 입학 후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대학 생활 적응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6학년도부터 2018학년도 3개년간 K대학교 N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접평가 성적과 GPA 간의 상관관계를 다양한 그룹 조합을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전 계열 통합 분석에서는 면접평가 성적과 GPA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으나, 2016~2017학년도 자연계열과 예술·체육계열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예술·체육계열의 상관관계가 다른 계열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체적으로 면접평가 성적 하위그룹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면접평가 성적보다 서류평가 성적이 더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가질 여지가 있다. GPA와의 상관관계를 놓고 볼 때, 면접 전형 요소가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것이 낫지만(대체로 면접 요소가 존재할 때부터 수치가 올라가는 경향), 면접 비율을 특정 반영 비율로 조정을 검토하거나 현재(서류70%:면접30%)보다 면접을 더 확대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adaptability of university life by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interview evaluation for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admissio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after entering university. From 2016 to 2018, students enrolled in K University were examined by setting up various group combination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view evaluation scores and GPA. Al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view evaluation results and GPA is not significant in the integrated analysis of all affiliate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art and sports categories in the 2016-2017 academic year,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ts and sports categori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majors. In general, there is room for a more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paper evaluation results than interview evaluation results, given that they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groups of interview assessment scores.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adjusting the interview rate to a specific rate or to expand the interview further than the current rate(document 70%: interview 30%).

      • 학생부종합(입학사정관)전형의 변화 과정에 대한 전형 담당자 인식 조사: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유 ( Kim Sang-yu ),김대현 ( Kim Dae-hyun ),박여진 ( Park Yeo-jin ),정윤미 ( Jung Yoon-mi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9 입학전형연구 Vol.8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K대학교에서 2009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운영한 입학사정관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의 변화 과정을 살펴본 후, 그 변화 과정의 타당성에 대하여 전형 운영 담당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집요강을 중심으로 한 문헌분석을 비롯하여 전형 운영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하였다. 입학사정관제 시행 초기부터 운영되었던 네오르네상스전형은 세부적인 면에서 변화는 있었지만 K대학교를 대표하는 전형으로 꾸준히 유지되었다. 반면, 오토피아전형, 고교교육과정연계전형, 창의적체험활동전형, 지역균형전형 등은 1~3년간 운영되다가 폐지되거나 다른 전형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시에 운영되었던 고른기회전형 유형은 모두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통합되었다. 과거의 전형 운영 결과, 현행 전형 운영, 향후 전형 운영 등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과거 운영과 관련된 대부분의 설문항목에 있어서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다. 현행 대입전형 운영과 관련하여, 학생부종합전형별 명칭의 적절성, 지원자격의 타당성, 전형방법과 모집인원의 적절성 등의 설문항목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다수였다. 다만 고른기회전형I 가운데 국가보훈대상자의 모집인원은 현행보다 줄여야 한다는 응답이 다수였다. 향후 운영과 관련하여, 면접평가에서 제시문 폐지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가 찬성하였고, 교사추천서 폐지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팽팽하였다. 그 외의 영역에 있어서는 현행 전형방법 및 운영을 유지하는 것에 동의하는 응답이 다수였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xamine the comprehensive School Record Screening(Admission Afficer System) of K university from 2009 to 2018. To do th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analysis of the management personnel including textual analysis centered on the application guidelines. The Neo-Renaissance Screening has been steadily maintained as a representative of K university, although there has been a change in detail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esults of past screening, current screening, and future screening, most of the responses related to the past operation were positive. Regarding the current selection process, there were many positive responses in the questionnaire item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the names of the selection systems,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qualifications, the method of selection, etc. However, there were many respondents who said that the number of recruits for national patriots should be reduced compared to current ones. Regarding future operations, most respondents agreed to abolish the setting exam questions of the interview, and the opinions of the pros and cons about the abolition of the teacher recommendation were tightened.

      • 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Dichlobentiazox 시험법 개발 및 검증

        구선영 ( Sun Young Gu ),이한솔 ( Han Sol Lee ),박지수 ( Ji-su Park ),이수정 ( Su Jung Lee ),신혜선 ( Hye-sun Shin ),강성은 ( Sung Eun Kang ),정윤미 ( Yun Mi Chung ),최하나 ( Ha Na Choi ),윤상순 ( Sang Soon Yoon ),정용현 ( Young-hy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지 Vol.40 No.2

        BACKGROUND: Dichlobentiazox is a newly registered pesticide in Korea as a triazole fungicide and requires establishment of an official analysis method for the safety management.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sidual analysis method of dichlobentiazox for the five representative agricultural products. METHODS AND RESULTS: Three QuEChERS methods were applied to establish the extraction method, and the EN method was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recovery test. In addition, various adsorbent agents were applied to establish the clean-up metho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covery of the tested pesticide was reduced when using the d-SPE method with PSA and GCB, but C18 showed an excellent recovery. Therefore this method was established as the final analysis method. For the analysis, LC-MS/MS was used with consideration of the selectivity and sensitivity of the target pesticide and was operated in MRM mode. The results of the recovery test using the established analysis method and inter laboratory validation showed a valid range of 70-120%, with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less than 3.0% and 11.6%, respectively. CONCLUSION: Dichlobentiazox could be analyzed with a modified QuEChERS method, and the method determined would be widely available to ensure the safety of residual pesticid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