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사회관계망이 주관적 안녕감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유진 ( Yujin Jung ),최미숙 ( Misook Choi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사회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을 알아보고, 사회관계망의 기능적 특성과 주관적 안녕감 및 양육효능감의 상관관계와 기능적 특성이 주관적 안녕감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G시 만4∼5세 유치원유아의 어머니 125명을 임의표집 하였고, 어머니의 사회관계망, 주관적 안녕감과 양육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백분율,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 사회관계망의 구조적 특성 중 자녀 양육에 도움을 주는 인원수는 평균 4.6명으로 도움을 주는 사람의 수의 범위는 1명에서 10명이었다. 관계 범주의 구성원들 중 자녀 양육에 많은 도움을 주는 사람은 남편으로 혈연관계에 의한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관계망의 기능적 특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둘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특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직접 돌봄, 정서적 지원, 갈등·통제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기능적 특성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기능적 특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정서적 지원이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aternal social network, and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function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well-being, and parenting efficacy, to examine the impact of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on subjective well-being and parent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5 mothers of 4- to 5-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in G city and given a questionnaire regarding maternal social network, subjective well-being, and parenting 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aternal social network shows that the number of people useful for parenting is 4.6 people on average, ranging from 1 to 10 people. Among the members within related boundaries, the most helpful person for parenting was husband. Seco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d impa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ir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d impact on the parenting efficacy.

      • KCI등재후보

        현대 북아트의 철학적 특성

        정유진(Jung, Yuj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1

        혹자는 전자미디어 시대에는 책이 종말을 맞이할 것이라 예견하였지만, 이는 섣부른 판단에 불과했다. 책은 그 고유의 특성과 가치를 가지고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경계 사이를 오가며 그 존재 방식을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아트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인 북아트의 개념과 역사를 고찰하고, 현대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타 장르와의 혼성 ? 융합으로 복합예술로서 등장하고 있는 북아트의 철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그 분석이 과학기술적이라기보다는 인문학을 근간으로 하는 예술적이며 철학적인 곳에 바탕을 둔 탐구로서 앞으로 연구될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그 가치를 가진다. Against the declaration for the book to become end in the electronic media era, the book has the specific quality and a value and it exists as ever. Also it comes and goes the boundary between the analog and the digital, and it expands the existence method. One investigate the concept and history of the Bookarts as the original and basic questions in this research. The study of the philosophical properties of the Bookarts which is appearing as intermedia with mixture ? fusions of genre, format and contents from digital media environment of today is core contents. Therefore this thesis is aesthetic and philosophical research rather than scientific and technical investigation, and has a value as the preceding research for the various subjects which will be researched in the future.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교육을 위한 창의교육 사례분석 및 새로운 비전

        정유진(Yujin Jung),박남제(Namje Park)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초등교육연구 Vol.- No.22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양한 창의 교육에 대한 사례분석 및 새로운 비전에 대해 정리하였다.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 각 개인이 보다 의미 있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일상 곳곳에서 마주하는 문제들을 해결해나가야 한다. 사소한 일에서부터 복잡한 일까지 쌓여있는 해결해야할 문제를 효율적이며 창의적으로 다룰 수 있다면 일에서의 성취감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개개인의 자아가 향상됨과 동시에 행복감 증진에도 기여하게 된다. 창의성은 예술, 교육, 그리고 대중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이러한 창의 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살펴보고, 미래의 새로운 비전에 대해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creative education cases were analyzed and a new vision was summarized. Each individual should solve problems they face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live more meaningful and happier life. If we can manage many different problems from minor issues to complicated issues in an efficient and creative way, we can obtain a sense of accomplishment from such issues and improve our own identity, as well as enhance a sense of happiness at the same time. Creativity changes the way of thinking arts, education and the public. The cases of such creativ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a new vision in future was summarized.

      • KCI등재

        유아의 컴퓨팅 사고를 위한 놀이중심 언플러그드 컴퓨팅 프로그램 개발

        정유진 ( Yujin J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컴퓨팅 사고를 위한 누리과정 기반 놀이중심 언플러그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누리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놀이중심 언플러그드 컴퓨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활동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적을 기반으로 누리과정에 적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그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평가 결과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에 소프트웨어 교육내용이 대응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특히 유아의 발달특성에 적합한 놀이 활동이 중심이 되는 언플러그드 컴퓨팅 프로그램을 통해 컴퓨팅 사고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활동이 배우고, 이해하기 쉬울 뿐 아니라 숙련과 이용이 쉽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놀이중심 언플러그드 컴퓨팅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활동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develop materials for early children’s play-based unplugged program and to improve computing thinking skill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on software was reviewed and Nuri curriculum was analyzed for its implementation in early children’s classroom. Subsequently, a unplugged computing program based on play was constructe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ctivity was devised to be applied in Nuri curriculum for software education and its applicability was validated through experts’ opinion. The activity was design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software education correspond to the everyday life theme of Nuri curriculum. Especially, early children’s computing thinking skills were to be improved through unplugged program which is centered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lay. The activity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easy to learn, understand, master and use. The play-based unplugged computing program provides insights into designing various activities development to improve early children’s computing thinking skills.

      • KCI등재

        의사결정 일람표를 활용한 유아 경제교육이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정유진 ( Yujin Jung ),박유영 ( Yuyeo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의사결정 일람표를 활용한 유아 경제교육이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시 소재 유치원 2개 학급 만 5세 유아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에는 의사결정 일람표를 활용한 유아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이야기나누기를 활용한 유아 경제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후 수집된 자료는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의사결정 일람표를 활용한 유아 경제교육은 유아의 전체 의사결정력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결정 일람표를 활용한 유아 경제교육은 유아의 전체 자기조절력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결정 일람표를 활용한 유아 경제교육이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자기조절력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서 유아교육현장에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conomics education using decision table on young children’s decision making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subjects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in the B kindergarten located in I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1 and a comparative group of 19. The research tools consisted of economics education using decision table for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and economics education using story sharing activity for the comparative group children.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analyzed with a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Economics education using decision tabl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young children’s decision making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refore, Economics education using decision table are educationally valuable as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국가별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서비스 비교 분석

        정유진 ( Jung Yujin ),이재경 ( Lee Jaekyung ),문다슬 ( Moon Daseul ),박인희 ( Park Inhee ),오인성 ( Oh Insung ),정혜주 ( Chung Haejoo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2 사회보장연구 Vol.38 No.4

        보건의료체계와 서비스는 산모와 영유아에 대한 조기개입을 통해 사회환경적 요인에 의한 영유아의 발달 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서비스는 시간적, 장소적, 연계적 차원에서 공백이 존재함에도 이와 관련된 국가별 비교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일본, 독일, 스웨덴, 영국에서 제공하는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생애주기와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세분화하고 각 차원을 비교 분석하여, 오늘날 우리나라의 해당 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1년 2월부터 2021년 5월 23일까지 국내·외 산모·영유아 건강관리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2022년 6월부터 2022년 7월 13일에 재검색하여 내용을 보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국가에서 현금보다는 서비스 지원 방식을 통해 건강을 관리한다. 둘째, 미국, 일본, 독일은 주로 병·의원 서비스, 스웨덴과 영국은 가정방문 서비스를 통해 산모와 영유아의 건강을 관리하였다. 셋째, 미국, 일본, 독일은 모두 시간적, 장소적, 연계적 차원 중 최소 1개 차원 이상에서 공백이 존재하였으나, 스웨덴과 영국은 모든 차원에서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넷째, 모든 국가가 가정방문인력에게 학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였으며, 스웨덴과 영국은 석사 학위 등 높은 전문성을 요구하여 그 역할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시 앞선 해외 사례와 마찬가지로 임산부와 영유아의 건강한 출발 및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초기아동발달기에 적절한 조기개입을 통해 다양한 차원의 건강 불평등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Environmental and health inequality experienced by mothers and infants during early child development has a continuous effect on health and development after childhood, and is further exacerbated if there is no appropriate early intervention. Therefore, most countries primarily use the (national) healthcare system and healthcare services to implement early intervention for mothers and infants during the early stages of child development. However, domestic healthcare services have gaps in terms of time, place, and connection between services, and studies comparing and analyzing foreign systems in terms of time, place, and connection are also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services in South Korea by subdividing healthcare services provided in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Sweden, and the United Kingdom according to life cycle and type, and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dimensi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ountries are as follows: First, all countries (used for comparative study) manage their health through the “in-service” type. Second,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mainly managed maternal and child health through clinic and hospital clinic services, while Sweden and the United Kingdom managed maternal and child health through home visiting services. Third,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all had gaps in at least one of the temporal (time), spatial (place), and linkage (connection) dimensions, but Sweden and the United Kingdom were excellent in all dimensions. Fourth, all countries demanded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from home visiting service personnel (providers), and Sweden and the UK demanded high expertise, such as master's degrees, as home visiting personnel played a large role. Therefore, as in the case of advanced countries, Korea needs to reduce various dimensions of inequality through early intervention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n order to promote the healthy start and growth of pregnant women and infants.

      • KCI등재

        사이버 공격 및 방어 해킹 원리 언플러그드 학습교구 디자인

        정유진(Yujin Jung),박남제(Namje Park)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leads modern society into the digital era along with the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platform. It means that modern society is gradually transforming into an information society with advanced content. As the value of information increases, hackers techniques to take advantage of unfair profits using it are becoming more subdivided and advanced. However, as a member of the information society, education is not provided as much as information ethics and information protection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imulation unplugged learning tool that allows learners to access technical concepts more easily to develop their ability to protect information. The learning tool designed in this paper composes panels that play the role of security equipment applied in a network environment to perform an attack. It aims to strengthen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by helping learners to understand the role of security equipment that can be applied in the network.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 제안

        정유진 ( Jung Yuj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전 세계적으로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 과정을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8년부터 학교에서 정보교과를 필수로 이수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아교육과 보육분야까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국내 유아교사 교육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해 교사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사 교육 또한 미비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소프트웨어와 같은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교수방법 도입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접근 방향을 제안하였다. 유아교사의 경우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적합한 올바른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 제시와 함께 놀이중심과 주제 통합적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 제안은 교사교육뿐만 아니라 유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and related curriculum to train software expert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advanced countries. Also in Korea, the subj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was also made compulsory in school curriculum since 2018. This kind of change is also spreading rapidly into the area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This research examines the status and training of local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rms of software educa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teachers were skeptic about software education and also,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were insufficient as well. On that account, this research proposes an approach for the software instruc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ees who will play crucial roles in introducing new programs or teaching strategies such as softwar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expected to have abilities to determine educational strategies suitable for early development and to direct play-based learning with disciplinary integration. Therefore, this approach for the software instruc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ing software programs targeted at early children as well as teacher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