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구지역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정우락 ( Jeong Woo-rak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7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구곡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기획된 것이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대구의 구곡원림을 전반적으로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기존의 보고에 의하면 대구지역의 구곡은 네 곳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일곱 곳으로 본다. 본 논의를 통해 채준도의 <문암구곡>이 새롭게 발굴되었으며, 기존의 논의에서 다루지 않았던 도석규의 <서호병십곡>과 채황원의 <거연칠곡>을 포함시켜 함께 다루었다. 강을 중심으로 조성된 이들 구곡 역시 구곡문화사 속에서 충분히 논의될 수 있는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대구지역 구곡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방성에 있다. 이 때문에 대구의 구곡문화는 주자를 그대로 따르고자 하는 정격형보다 이것을 창조적으로 변용하는 변격형이 더욱 많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도학주의에 입각한 구심력 역시 확보하고 있어, 구곡을 최근까지 조성하는 등 이 문화에 대한 현대적 계승의식도 강하다. 계승과 변용이 맞물린 이러한 현상은 대구 지역의 선비들이 전통을 계승하되 여기에 유연한 자세를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것은 대구지역이 낙동강 연안에 위치하여, 좌우를 넘나들고 상하를 오르내리며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갔던 강안학(江岸學)적 역사 전통과도 일정한 관계가 있어 보인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mote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Gugok culture in the Daegu area.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reviewed the overall Gugok culture of Daegu and examined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vious reports tell that the Gugok were at four places around the Daegu area, but the present study`s author estimated that there were Gugok in seven places. The author newly excavated "Munamgugok" by Chae Jun-do and newly included "Seohobyeongsipgok" by Do Seok-gyu and "Geoyeonchilgok" by Chae Hwang-won,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discussions. The author believed that the Gugoks who formed around rivers deserved a discussion in the history of Gugok culture. The utmost characteristic of the Gugok culture in the Daegu area was openness, which explains why there were more creative alterations of following Zhu Xi in the Gugok culture of Daegu than just the standard forms of following Zhu Xi as he was. The Gugok culture of Daegu also had a strong determination for modern inheritance given that it had only recently created Gugok. The mixed phenomenon of inheritance and transformation was possible because the classical scholars of Daegu kept a flexible attitude while transmitting the tradition. The phenomenon appears t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tradition of the created a unique culture by living in the Daegu area along the coast of the Nakdong River and traveling right and left and also up and down.

      • 임진왜란기 대구지역 한강학파의문학적 대응

        정우락 ( Jeong Woo-ra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9 No.-

        대구지역의 한강학파는 김종직 학단으로 대표되는 영남 사림파의 성장, 이황과 조식을 중심으로 한 영남학파의 자장 속에서 성립된다. 채응린 등이 이끌던 대구의 학술계가, 정구가 이 지역에 등장하면서 곽재겸과 서사원 등 초기 제자들을 흡수하게 되고, 이로써 대구지역 한강학파의 성립을 보게 된다. 이것은 조선 중기 이래 정치적, 학문적으로 소외되어 가던 대구지역에 학문적 우월성과 정통성을 부 여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이러한 자신감이 의병활동에 깊이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에 대한 체험은 일기나 詩歌를 통해 제출되었다. 일기는 서사원의 『낙재일기』가 그러하듯이 대구지역의 전쟁체험을 사실적 기록을 통해 여과없이 보여준다. 시가 역시 전란으로 겪은 충격을 형상하는데 긴요한 구실을 했다. 이들은 주로 팔공산 회맹에 따른 義氣, 전사자나 부상자에 대한 위로, 우국에 대한 정서, 유가사상을 바탕으로 한 평화로운 일상의 복원에 대한 염원, 피란길에서 발생하는 사향의식 등의 주제를 형성하였다. 한강학파의 전쟁에 대한 문학적 대응은 구체적 실천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전쟁의 와중에서도 끊임없는 독서와 기록을 강조하였으며, 격문 등을 통해 의병을 일으켜 실제적인 체험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영남학파의 성숙과 한강학파의 학문적 경향이 맞물리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결과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한강학이 心學과 禮學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사회적 실천성을 아울러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 하겠다. Hangang School in Daegu region was established within the influence of Yeongnam School, which was formed based on the thoughts of Yi Hwang and Josik, triggered by the growth of Sarim faction represented by Kim Jong- jik and his disciples. The academic circle led by Chae Eung-rin accepted early disciples including Gwak Jae-gyeom and Seo Sa-won with the appearance of Jeong Gu to form Hangang School in Daegu. The school injected academic superiority and legitimacy in Daegu region, which was getting isolated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after the mid-Joseon Dynasty, and the confidence resulting from that had a profound impact on rightous army movement. Experience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were described in diaries and poems. As shown by The Diary of Nakjae by Seo Sa-won, diaries explicitly show experiences of the invasion in Daegu region using factual information. Poems also played a critical role in demonstrating the shocks from the invasion. Poems at the time had the following themes: public spirit raised by the covenant in Palgongsan Mountain; comfort for those who were killed or injured in the invasion; sentiments of patriotism; desire for the restoration of peaceful daily life based on Confucian thoughts; and refugees`` longing for hometown. Hangang School``s literary response to the war could be practiced concretely because the school constantly emphasized reading and recording amid the war and developed actual experiences into literature by raising rightous army forces with appealing writing. This was the natural result from the engagement between the maturity of Yeongnam School and the academic trend of Hangang School. This result was possible as Hangang School emphasized practicing in society what had been learned while focusing on study of mind and study of ritual.

      • KCI등재

        글로벌 시대, 문화어문학의 기본 구상과 방법론 재정비

        정우락(Jeong, Woo-Lak)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9 No.-

        본고는 우리 시대의 한국어문학을 새로운 안목으로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어문학에 대한 문화론적 입장에 정초한 문화어문학적 연구방법론을 제기한다. 이는 급변하는 시대를 자각하면서, 어문학이라는 학문장(學問場)을 기반으로 하되 이를 훨씬 뛰어넘고, 하나의 특정 지역에 기반하고 있지만 세계적 시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문화어문학은 분과학문의 전문성을 고려하면서도 간학제적(間學制的)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여 높은 단계의 회통적 질서를 추구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있지만 인문정신의 고양을 최종 목표로 삼는다. 현재 우리는 산업 구조의 다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자원으로서의 어문학 연구가 절실히 요청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신민족주의에 입각한 극근대(克近代)를 위한 문화어문학은, 바로 이러한 시대를 견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전통 어문학 연구를 기반으로 하되 한국어문학을 하나의 문화자원으로 인식하면서, 자연언어 처리 기술의 개발과 함께 한국문학 자원의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 글로벌 시대의 지역 문화어문학의 연구역량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로써 한국어문학은 대중 속에 살아 있는 새로운 길을 열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our times in a new viewpoi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proposed a methodology of cultural language and literature based on the cultural theory position for language and literature.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academic field of language and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covers much more than it. It also secures a global viewpoint based on a certain area. Cultural language and literature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professionalism of an academic discipline and is in pursuit of a higher level of cosmopolitan order by exerting its interdisciplinary competence as much as possible. While making use of digital technologies, it sets a final goal of elevating the humanistic spirit. Today we are living in an era whe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as a cultural resource to cope with multiple changes to the industrial structure. Cultural language and literature to overcome the modern times based on neo-nationalism has been designed to drive this era forwar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a cultural resource based on the traditional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and improve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local cultural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global age by developing a technology to process natural language and building an archive of Korean literary resources. These efforts will help to open a new road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o live and breathe in the public.

      • KCI등재

        일반논문 : 일두 정여창의 학문과 문화공간으로서의 악양정과 남계서원

        정우락 ( Woo Rak Jeo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6 No.-

        본고는 一囊 鄭汝昌(1450-1504)의 삶과 학문적 특징이 무엇이며 그의 생활 및 강학 공간인 지리산권, 그 가운데서도 하동의 악양정과 함양의 남계서원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하는 것을 따진 것이다. 정여창에게 있어 하동과 함양은 대표적인 삶의 공간이었기 때문에 하동은 악양정을, 함양은 남계서원을 중심으로 살폈다. 악양정은 그가 은거하며 심성수양과 강학활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한 곳이라는 측면에서, 남계서원은 정여창 사후 이곳을 중심으로 추모사업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정여창은 김종직 문하에서 『소학』을 중심으로 한 실천유학을 배워 김굉필과 함께 도학의 선구가 되었다. 하동의 악양정은 중요한 문화공간으로 거듭났는데 李澄이 그린 「花開縣舊莊圖」나 한말 정재규의 「岳陽亭會遊記」 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함양의 남계서원은 북인, 남인, 노론의 장악이라는 정치적 변화과정을 거치기는 하지만, 그 중심에는 정여창의 정신을 계승하려는 노력이 굳건히 유지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정여창을 추모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수많은 시문이 창작되기도 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Ildu Jeong Yeo-chang (1450-1504) and examine the meanings of Akyangjeong of Hadong and Namgyeseowon of Hamyang in Mt. Jiri rage sphere, which was the venue of his living and lecturing. Hadong and Hamyang were the representative places of his life, which led to a focus on Akyangjeong of Hadong and Namgyeseowon of Hamyang. While Akyangjeong is important in that he engaged in full-blown mind and body cultivation and lecturing activities in a reclusive life there, Namgyeseowon is important in that it was the central place for the active project of cherishing his memory after his death. He studied practical Confucianism with a focus on Sohak under Kim Jong-jik and pioneered ethics along with Kim Going-pil. Akyangjeong of Hadong emerged as an important cultural place, which is confirmed in Hwagaehyeongujangdo by Lee Jing and Akyangjeonghoiyugi by Jeong Jae-gyu at the end of Joseon. Namgyeseowon of Hamyang went through a series of political changes, being ruled by the Bukin, Namin, and Soron School. However, it firmly maintained its efforts to inherit and succeed the spirit of Jeong at its center, in which process a lot of poetry and prose works were created along with the efforts to cherish his memory.

      • KCI등재

        聱漢 孫起陽의 文學認識과 文學的 形象化 方式

        鄭羽洛(Jeong Woo-lak) 한국어문학회 2008 語文學 Vol.0 No.1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war and daily life are embodied in his works according to Son Ki-yang(孫起陽)'s recognition of literature, and to consider the achievement and value of his works. Son's recognition of literature can be classified into theory of essence and theory of creation in literature, according to 『Bae-Min-Soe-lok(排悶鎖錄)』, his siwha(詩話). The fact he was interested in siwha indicates that he thought literature was not a mere taste. Son argued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lies in self-cultivation effectiveness. This may be because Son sufficiently recognized the literary theory of Confucianism. As for theory of creation in literature, Son particularly valued experience and self-realization, but he also spoke well of theory of modification, which indicates 'being self' of verses of the ancients and which he applied to his works specifically. This tendency can be verified by the fact that his poetry was cited of verses of Tu Fu(杜甫) and So Sik(蘇軾) and was superior in other aspects. Besides, that his works were full of zeitgeis with their pungent satires should b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theory of contents in his works. Son's works were classified into two aspects: embodiment of war and embodiment of daily life. The former is shown as dreadfulness of war, refuge, specific experience of war, and post-war landscape. The description of war in his works may be achieved through mingling of his literary talent and recognition of reality. Meanwhile, the embodiment of daily life is shown as reading, studying, landscape sightseeing, and remembrance of ancient sages. He continued his reading and studying, describing his own interest in landscape in his works entirely. After the war, he displayed various activities and obatined favorble results for remembrance of ancient sages including Kim Jong-jik(金宗直) in order to promote studying. The achievement and value of Son's works are obtained from the peculiar situation of war and war-related shocks affecting daily life. The war stirred up Son's life in whole, but he faithfully performed the basic life as a man of noble birth including reading and studying.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 achievement and value of his works may lie in the facts: that he discovered the homogeneity between mountain sightseeing and literature as Lee Hwang(李滉) and Jung Gu(鄭迷) did, who served as his source of ethics; that he did not abandon hope for the future in the midst of the suffering in real life; that h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areas of Nakdong River with acquiring Tu Fu(杜甫)'s poetry actively; that he realized a model of war literature by thorough embodiment of solitude; and that he captured human love revealed in crises and embodied it in his works.

      • KCI등재

        월천 조목의 국토 기행과 그 시적 형상

        정우락 ( Wooo Rak Je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7 No.-

        본고는 퇴계 이황의 고제였던 월천 조목의 기행시를 중심으로, 그가 어떻게 국토를 기행하였으며, 이때 남긴 작품은 어떤 성격을 지니고 있는가 하는 부분을 주로 다룬 것이다. 조목이 예안에서 처사적 삶을 살았다고 하나, 풍기의 백운동서원에 가서 공부를 하기도 하였고, 서울의 성균관에 유학하기도 하였으며, 충청도 도사나 합천 군수 등 지방관을 역임하거나 스승을 모시고 소백산을 오르기도 하는 등 다양한 여행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작품을 창작하게 되는데, 이들 시에는 당시 선비들의 일상이 잘 드러나고 있는 점, 수양론이 깊이 작용하고 있는 점, 고향을 멀리 떠났을 때는 사향의식이 드러나고 있는 점, 선비로서의 보국의식이 나타나고 있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텍스트는 필사본 『月川先生文集』이다. 이 문집은 조목이 사망한 지 60년이 지난 뒤인 1666년(현종 7) 경에 간행된 초간본 『월천집』 및 연대를 알 수없는 개간본 『월천집』과 비교할 때 그 내용이 훨씬 풍부하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시문학 작품은 간본에 123수가 실려 있는데 비해 필사본에는 633수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어 그 작품의 수가 5배나 된다. 본고는 이를 텍스트로 하여 조목의 시문학을 연구한 첫 사례가 된다. This study mainly addressed how Wolcheon Jo Mok, one of Toigye Lee Hwang``s eminent pupils, traveled around the country and what kind of nature his works created during the travel had with a focus on his travel poems. It is known that Jo Mok led a scholarly life in a remote village of Yean without holding office, but he did go on various trips including pursuing further study at the Baekwoondong Lecture Hall of Punggi, studying at Seonggyungwan of Seoul, holding local government offices including Dosa of Chungcheong Province and Gunsu of Hapcheon, and climbing Mt. Sobaek with his teacher. He created a good number of works during his travels, and his poems depicted the daily life of classical scholars during the times, the profound operation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the nostalgic sentiment of being far away from home, and the patriotic consciousness of classical scholars. The present study chose the manuscript of Collection of Wolcheon``s Works as its text. The collection boasts much richer content than the first version of Wolcheon Collection, which was published in 1666(7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60 years after his death, and the revised version of Wolcheon Collection, whose publication year is not known. His works of poetic literature, on which the present study focused, amounted to 123 in the printed version and to 633 in the manuscript version, which contained five times more poems than the printed version. The present study presented the first case that investigated the poetic literature of Jo Mok with those works as its texts.

      • KCI등재

        한국문학 연구 방법론의 내재적 모색 - 현실대응에 대한 철학적 논리와 문학적 형상 -

        정우락(Jeong, Woo-ra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3 No.-

        우리는 근대사회를 선망해왔다. 이에 입각하여 문학연구도, 근대와 민족, 민중을 키워드로 진행해왔다. 본 논의는 여기에 일정한 문제를 제기하며, 한편으로는 그동안의 문학사학을 반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문학사학 연구에서 특별히 강조해 왔던 현실비판과 그 대응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현실대응에 관한 철학적 논리와 문학적 형상을 주목하였다. 이로써 한국문학 연구 방법론에 대한 내재적 모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모든 작가가 직간접적으로 자신이 거느린 현실상황과 부딪히며 산다고 볼 때, 모든 작품은 현실대응과 일련의 관련성을 가진다. 우주론을 도설한 주돈이의 〈태극도설〉과 이와 관련해서 수양론을 도설한 정복심의 〈태극도여 통서표리도〉를 중심으로 현실대응에 대한 철학적 논리를 살필 수 있다. 여기에 인식주체인 자아와 인식객체인 사물이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개별자인 자아(B)와 사물(C)은 보편자인 태극(A)과의 역학관계 속에서 합일론, 대립론, 조화론으로 정립된다. 기호로는 각각 ‘A>B·C→B=C’, ‘A<B·C→B/C’, ‘A≒B·C→B∾C’로 나타낼 수 있다. 합일론적 현실대응은 서정문학이, 대립론적 현실대응은 서사문학과 희곡문학이, 조화론적 현실대응은 교술문학이 중심을 이룬다. 여기에 우리는 생활문학이라 할 수 있는 전통시대의 교술문학을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영역은 자아의 개성을 허용하면서도 보편자의 인력(引力)에 의해 상호 소통하기 때문이다. 합일론처럼 도덕적 우위를 과시하거나, 대립론처럼 투쟁을 통해 대상을 극복하려 들지도 않는다. 자아와 사물이 함께 인정되는 공존의 논리가 성립하니, 문학과 삶이 마침내 도달해야 할 지점이기도 하다. There has been envy of modern society, and researchers hav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with such keywords as modern times, people and the public based on it. Raising certain questions about it, this study set out to reflect on literary history studies so far on the one hand and arrange criticisms of reality, which was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e research of literary history studies, and their responses on the other hand.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logic and literary forms of responses to reality. This makes it possible to an inherent search for the Korean studies of literature. All authors face their realistic situations in lif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which means that all works have certain relations with responses to reality. The study examined the philosophical logic of responses to reality in Taegeukdoseol, which illustrates the cosmic theory of Judoni, and Taegeukdoyeotongseopyorido, in which Jeong Bok-sim illustrated a cultivation theory in relation to it. Here, ego, the subject of awareness, is connected to a thing, the object of awareness. Ego(B) as an individual and an object(C)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unity, confrontation, and harmony theories in their dynamic relations with Taegeuk(A) as the universal. Their relations can be expressed in signs including ‘A>B·C→B=C’, ‘A<B·C→B/C’, and ‘A≒B·C→B∾C.’ Lyrical literature is at the center of responses to reality based on the unity theory; narrative and play literature is at the center of such responses based on the confrontation theory; and didactic literature is at the center of such responses based on the harmony theory. Here, there is a need to focus especially on didactic literature of the traditional times called practical literature since this domain allows for the individuality of ego and communicates through the gravity of the universal. It neither tries to show off its moral superiority like the unity theory, nor attempts to conquer the other through struggle like the confrontation theory. It achieves the coexistence logic to recognize both ego and the object, thus presenting a point that literature and life should eventually reach.

      • [기획논문] 조선중기(朝鮮中期) 한국유학(韓國儒學)의 특위(特偉)와 반성(反省) : 구암(龜巖) 이정(李楨) 연구의 반성적 모색

        정우락 ( Woo Rak Jeo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2 No.-

        본 논의는 이정에 대한 연구가 지금까지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앞으로 어떠한 방향에서 진행되어 마땅한가 하는 부분을 따진 것이다. 이정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구암학의 핵심은 뭇엇인가``, ``이황과 조식 사이에서 그의 위상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당대의 학문을 진작시키기 위하여 그는 어떤 노력을 하였던가``, ``영남학파 분기의 계기가 되었던 晋州淫婦獄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그의 현실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였던가``하는 것이 연구자들의 핵심적인 문제의식이었다. 이것은 구암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유효했던 것이었으며, 앞으로도 구암학을 논의함에 있어 꾸준히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정에 대한 향후의 과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구암집』에 대한 텍스트 비평``, ``철학 분야의 본격적 연구``, ``문학 분야의 확장적 논의``, ``교육학 분야의 총체적 연구``, ``이정의 학문적 수수관계``, ``구암학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 등이 그것이다. 이밖에도 구암학 연구를 위한 일체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해서 번역해 내는 일, 일반인이 구암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암평전』을 쓰는 일 등 다양한 직업이 남아 있다. 이러한 직업이 제대로 수행될 때 구암학의 본질이 비로소 드러날 것이며, 이것이 오늘날 우리 사회를 위한 핵심적인 의미로 부각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researches on Lee Jeong had been conducted and what directions they should take in future. Researches on him have been diverse in spite of a short period of time. Their essential problematic consciousness includes “What is the essenxe of Guam study?”, “How should his status be set between Lee Hwang and Jo Shik?”, “What kind of effort did he make to promote the studies of the times?”, “How should Jinjueumbuok(晉州淫婦獄) be understood which caused the ramification of the Yeongnam School?”, and “What was his perception of reality?” Those questions seem to have been very valid for understanding Guam study and will continue to be raised in the discussion of Guam stydy. Based on the achievements so far, the study propoed the following future tasks regarding Lee Jeong: “text criticism of Guam Collection””full-scale research in the field of philosophy.” “extensive discussions in the field of literature,” “general researches in the field of pedagogy.” “Lee Jeong`s academic give and take relations.” And “a cultural theory-based approach to Guam study.”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works left including collecting, sorting out, and translating a body of data for researched on Guam study and writing a “critic biography of Gaum” to help common people understand Guam stydy easily. When carried out properly, those tasks and works will finally reveal the true nature of Guam study, which will be highlighted as an essential meaning for today`s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