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격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 연구

        정예린 ( Yelin Jeong ),원미진 ( Mijin Wo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21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2 No.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성격 유형 및 학습 유형의 분포와 양상을 살피고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교 언어 교육 기관 학생들과 국내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유형 선호도를 알기 위한 설문조사는 Willing(1988)의 ‘How do you learn best?’라는 학습 유형진단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통계 분석 결과는 의사소통적 학습 유형> 구체적 학습 유형 > 권위적 학습 유형> 분석적 학습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성격 유형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이용하여 분류한 뒤 4쌍의 지표별로 특정한 학습 유형을 선호하는 것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성격 이외에 개별 변인(성별, 연령, 한국어 학습 기간, 한국 거주 기간, 학습자 숙달도, 문화권)이 학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 유형에 대한 차이는 두 가지 하위 차원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직관형 학습자가 감각형 학습자보다 구체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판단형 학습자가 인식형 학습자보다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석적 학습 유형은 성격, 거주 기간, 문화권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학습자 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습 유형임을 알게 한다. 또한, 동·서양 문화권에 따라 학습자를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을 때, 판단형의 학습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동양권에서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한다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앞서 판단형(J)-인식형(P) 지표와 분석적 학습 유형 간 유의미한 결과를 지지하였고 학습 유형과 성격 유형 간의 연관성을 좀 더 뚜렷하게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MBTI 성격 유형 분류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유형과 효과적인 교수 방법까지 예측 가능하다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가진 한국어 교실에서 학습자의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계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aspects of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of Korean learne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To this end, students from university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275 Korean language learners attending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in Korea were surveyed, and the SPSS/win Versio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survey to know learning type preferences used Willing (1988)'s Learning Type survey called 'How do you learn best?' an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in order of Communicative > Specific > Authoritative > Analytical Learning Type. We stud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a specific type of learning for each of the four indicators after classifying personality types using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In addition to personality, individual variables (gender, age, learning period in Korean,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arner proficiency, and culture) were analyzed to affect the type of learning. Differences in learning types by personality type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 two sub-dimensions, indicating that intuitive learners prefer specific learning types to sensory learners, and judgmental learners prefer analytical learning types to perceived learners. In particular, analytical learning type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personality, duration of residence, and culture, making us aware that they are highly influenced by learner variables. In addition, when classifying learners according to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at judgmental learners preferred analytical learning types in an overwhelming number of Eastern regions, which earlier supported meaningful results between judgmental (J) and analytical learning types. This study means that MBTI personality type classification can lead to predictable learning type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preferred by Korean learners, and expects to use them in Korean classrooms with diverse backgrounds to plan effective educa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