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원 원격 연수 시스템 분석을 통한 원격 연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영식,Jeong, Young-Sik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8 No.1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gin frequencies and the learner's results of an examination related in the teacher's information distance learning.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learners connected to the learning system in school at office hours. And the login frequencies on Sunday are high remarkably in test pole. Seconds, the on-line assessment and the ratio of completion is high the learner who participation with a fellow worker than the learner who not so. But because of the low allotment of marks about on-line estimation, it hardly influence in the last results. Third, the ratio allotment of marks about on-line estimation is suitable $20{\sim}30%$. Forth, learners of low grade are higher the login frequencies, the last results is high. Therefore the operator of the learning system estimates ability of learners by pre-test and must have continues and encouragement about leaners of law grad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Profile-based Service Continuity Framework for N-Screen Service

        정영식,백의현,이우섭 한국콘텐츠학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8 No.1

        The dynamic adaptation between various service environments using the application profiles for the service continuity is a key issue of the profile-based service continuity framework (PSCF) for N-screen service using next generation networks. PSCF offers an optimized service framework for providing continuous user services, which are multimedia video streaming, educational broadcasting, game, etc., using the various devices that are not restricted by the service environment of the user. This paper specifies the functional model of PSCF, service scenario and explain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ervice continuity for N-screen service using PSCF.

      • KCI등재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정영식,박종혁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14 No.6

        Artificial intelligence i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paper introducesthe diverse kinds of approaches to subjects that tackle diverse kinds of research fields such as model-based MSapproach, deep neural network model, image edge detection approach, cross-layer optimization model, LSSVMapproach, screen design approach, CPU-GPU hybrid approach and so on. The research on Superintelligenceand superconnection for IoT and big data is also described such as ‘superintelligence-based systems andinfrastructures’, ‘superconnection-based IoT and big data systems’, ‘analysis of IoT-based data and big data’,‘infrastructure design for IoT and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and ‘superconnection-basedIoT devices’.

      • KCI등재

        『종경록』이 진각혜심에 미친 영향

        정영식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Jonggyeongrok (宗鏡錄) was written in 961, and then was introduced to Goryeo and read by its people from an early period. From 1246 to 1248, the book was also published as a part of Tripitaka Koreana. Jonggyeongrok greatly influenced Jingak Hyesim. Notably, it was quoted up to 36 times in Jingak-guksa-eorok. Hyesim frequently read Jonggyeongrok as his favorite book. In 1213, he even published Jonggyeongchwalyo (宗鏡撮要) at Suseonsa. For Hyesim, Jonggyeongrok provided three functions. First, it acted as an encyclopedia. Jonggyengrok is the encyclopedic literature that quoted over 300 scriptures in the literature of Cheontae Order (天台宗), Hwaeom Order (華嚴宗), and Beopsang Order (法相宗). Hyesim placed Jonggyeongrok next to him whenever he wrote a letter or is in need of its contents, and excerpted lines from it. Second, it affected his tendency of seongyossangsu (禪敎雙修). He never denied gyohak (敎學), which means education and learning, and did not insist on only ganhwailmun (看話一門). This tendency was the result of inheriting Jonggyeongrok. Third, Jonggyeongrok influenced his understanding of the mind (心). Hyesim divided religious training methods into training with and without one's mind, and placed importance on training without one's mind. The training with one's mind can be considered gyohak-based training through jigwan (止觀) and jeonghye (定慧). On the other hand, the training without one's mind is ganhwaseon (看話禪) and idle or inactive training. Hyesim suggested that jigwan and jeonghye can also be incorporated by ganhwaseon. Thi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nggyeongrok and Hyesim is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academic circle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nggyeongrok and Goryeoseon (高麗禪) should be reexamined. 宗鏡錄은 961년경에 찬술되어 일찍부터 고려에 전해져서 읽혀졌는데, 1246~1248년에는 고려대장경의 일부로서 간행되기도 하였다. 종경록은 眞覺慧諶에게 큰 영향을 끼쳤는데, 진각국사어록에서는 무려 36회나 인용되고 있다. 혜심은 평소 종경록을 애독하여 1213년에는 수선사에서 宗鏡撮要를 스스로 간행하기도 하였다. 혜심에게 있어서 종경록은 3가지 기능을 담당하였다. 첫째는 백과전서로서의 역할이다. 종경록은 天台宗·華嚴宗·法相宗 등의 문헌에서 300부이상의 경전을 인용하고 있는 백과사전적 성격의 문헌이다. 혜심은 편지를 쓰거나 필요할 때마다 종경록을 곁에 두고 구절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둘째는 혜심의 禪敎雙修적 경향에 영향을 준 것이다. 혜심은 敎學을 결코 부정하지 않으며 看話一門만을 주장한 것도 아니다. 이러한 경향은 종경록을 계승한 것이다. 셋째는 혜심의 心이해에 영향을 준 것이다. 혜심은 수행방법을 有心수행과 無心수행으로 나누고 無心수행을 중요시한다. 유심수행이란 止觀·定慧에 의한 교학적 수행으로서 有爲的 수행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무심수행은 看話禪으로서 無爲的 수행이다. 혜심은 止觀·定慧도 결국 간화선에 의해 포섭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종경록과 혜심의 관계에 대한 본 연구는 학계에서 최초이며, 따라서 종경록과 高麗禪의 관계는 재검토되어야 한다.

      • KCI등재

        초ㆍ중학교에서 운영체제교육을 위한 내용체계 연구

        정영식,김철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2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의 정보과학 교과를 위한 운영체제 교육을 위해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교육내용체계(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교육내용체계에 대한 교육 필요성과 교육 시기를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운영체제 교육내용을 나선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즉, 운영체제 교육 영역을 운영체제의 이해, 운영체제의 실제 등 2개 영역으로 구분한 후, 그것을 다시 학년별로 체험하기, 조작하기, 관리하기, 원리알기 등 4단계로 제시하였다. 향후 운영체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운영체제와 관련된 교재와 교구가 개발되어야 하고, 정보과학 과목이 초등학교에 신설되어야 하며, 교육대학교에서 운영체제의 원리와 관련된 강좌를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he computer operating system curriculum in primary and middle schools and suggested the content framework for them through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fter surveying prim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e developed the framework based on the spiral curriculum. Through these surveys, we were able to determine when and how students should be introduced to the OS curriculum. The content framework focuses on two areas: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computer OS. Each area has 4 levels which are based on the students' grade. We suggested developing textbooks and materials about computer OS; establishing Information Science as a part of the primary school curriculum; and offering lectures about computer OS to student teachers at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 KCI등재

        KODU 기반의 게임 프로그래밍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변화

        정영식,유정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3

        초등학생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KODU를 활용하여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안내하 기, 개발하기, 게임하기, 수정하기 등 4단계로 구성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게임 활용 실태뿐만 아니라, 게임 제작 도구와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KODU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게임을 하는 것보다 게임을 제작하는 것을 더 좋아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KODU를 활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은 공부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면서 학생 들의 게임 중독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elementary students on game programming using KODU. The developed model consists of four steps: introducing the game programming, making the game, playing the game, and modifying the game. After teaching the students, we conduct a survey to gather their opinions on the game making tool and activ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are satisfied with KODU and prefer make a game to play a game. Game programming educating with KODU can keep elementary students from game addiction while increasing confidence in their studies.

      • KCI등재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정영식,서진화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뒤집힌 교수학습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 교실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것을 체계화하여 PATROL 모형을 개발하였다. 첫째, 계획단계(Planning)는 교사가 앞으로 진행할 수업을 설계한다. 둘째, 실행단계(Action)는 학생들이 가정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자율적인 온라인학습과 과제를 수행한다. 셋째, 추적단계(Tracking)는 디지털교과서가 실행단계의 활동 상황이나 결과물을 분석한다. 넷째, 추천단계(Recommending)는 디지털교과서가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에게 교실 수업 활동을 제안한다. 다섯째, 요구단계(Ordering)는 학생들이 교실 수업 중에 필요한 자료를 요청한다. 여섯째, 안내단계(Leading)는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관찰하여 수준별 자료를 제공한다. PATROL 모형을 2개 학교에 시범 운영한 결과, 학생의 주도적 발언이 많아졌고, 전체 활동보다는 모둠활동이나 개별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궤간 순시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PATRO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y using digital textbooks in Smart Classrooms to correct the disadvantages of Flipped Classrooms. PATROL is an acronym for Planning, Action, Tracking, Recommending, Ordering, and Leading. In the Planning phase, teachers should make a lesson plan. Next, students take Action by watching online contents and completing assignments in their digital textbook. After that, Tracking is needed to analyze the students’ activities and the results. Then, Recommending is used to provide suggested instructional activities to teachers based on that analysis. Next, Ordering requires that students request new materials for class activities. Finally, Leading allows teachers to provide materials at the appropriate level to their students based on the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pplying the PATROL model at two element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