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태백시의 단오 세시풍속 연구

        정연수(Yeon-Soo Je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7 江原民俗學 Vol.21 No.-

        태백시의 세시풍속 중에서도 단오풍속은 태백지역의 도시 특색을 가장 잘 드러낸다. 특히 함태광업소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된 소도동 지역의 단오는 전통과 산업이 만나는 특징을 보여준다. 함태광업소 개광기념일과 단오절이 겹치면서 탄광노동자와 그 가족, 그리고 주민들이 함께 어울려 사나흘씩 성대하게 단오행사를 열었다. 여기서 ‘함태단오’라는 명칭까지 생겨났다. 소도동 주민들은 지금까지도 “강릉단오는 류도 아니다”면서 당시를 회상하고 있다. 태백시 주민들은 창포를 대신하여 천궁이나 궁궁이를 이용해 머리를 감거나 머리에 꽂았다. 도시가 해발 600~800미터의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창포가 자생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 대용으로 천궁과 궁궁이를 활용했던 것이다. 태백지역 성황당은 지금도 마을 주민들을 중심으로 해마다 단오고사를 지내고 있다. 광업소가 폐광되기 전까지만 하여도 단오성황제는 광업소를 중심으로 하여 성대하게 개최되었다.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는 장성광업소의 경우 단오산신제와 단오위령제를 통해 단오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이 논문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탄광촌의 단오풍속과 태백탄광촌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그 의의를 둔다. Among all the others, Taebaek city’s Dana festival is the most outstanding ones that applies Taebaek city’s distinguishable features well. Especially, Dana at Hamtae mining station shows its distinguishable feature of its own while combining industrialized and traditional aspects. As Hamtae mining station’s memorial day falls on the date of Dano festival, residents at the Taebaek city and the colliers and their families celebrated big Dano festival event which lasted 3-4 days. This event created a word “Hamtae Dano”. Residents at Soda village reflect the time and says “The Dano festival at Kangneung cannot be even classified as a class” Resident at Taebaek city used Cheongung(Cnidium officinale) or Gunggungee (Angelica polymorph a) to wash their hair or to put on their hair instead of an ins. The city is located at 600m~800m above sea level, therefore iris(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was hard to grow in the region. So people used Cheongung and Gunggungee instead of iris. Still in these days, people of Taebaek region holds a Dana ritual service at their village shrine. Until its mining station was shut down, Dano festival was held greatly around the mining stations. In case of Jangseong mining station, they still inherit traditions of Dano by holding Dano Sanshinje(a ritual service that is for the god of mountain) and Dano memorial service.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sire and uncover the customs of Dano and the identities of Taebaek coal village which was not well known to the public.

      • KCI등재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지원을 위한 근거이론적 접근

        정연수 ( Yeon Soo Jeong ),이영선 ( Young Sun Lee ),김승현 ( Seung Hyun Kim ),박원희 ( Won Hee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현실과 우리나라 복지시설의 특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재 나타나는 장애인 자립생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들의 자립지원을 위한 주거시설과 직업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생활공동체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성인 장애인부모 3인과 시설종사자 5인을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심층면담을실시 하였다. 자료분석은 근거이론을 적용해 중심현상과 인과관계 및 맥락적 관계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핵심주제어 생성을 위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현실과 복지시설의 특성에 대한 중심현상과 인과관계로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탐색과 부모사후의 대책은 풀리지 않는 숙제, 장애인 가족의 어려운 현실, 제외되는 중증장애인, 열악한 시설과 운영의 어려움 등의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둘째,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현실과 복지시설의 특성에 대한 맥락적 관계는 현실과 동떨어진 지원, 각기 다른 시설 운영체계, 담당 공무원들의 현장이해 부족 등이었다. 셋째,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중재요인은 공생, 장애인 거주시설의 역할, 성인 지적장애인의 삶과 노동에 대한 이해, 현장근무자들의 문제의식, 유럽장애인 공동체와 우리나라 시설의 차이, 공동체가 필요함, 성인지적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지원 등이 핵심 주제어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을 위해서 가장 요구되는 것은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이지만 장애인 복지시설의 역할과 장애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및 함께 살아가기 위한 장애이해에 대한 새로운 인식차원에서의 변화가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living community to support living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independence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fter parents death. This study tried to search reality of independence living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urrent problems of welfare facilities, and tried to inquiry causal factors of this situation and suggested the support plans for them. The participants were three parents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ree managers of welfare facilities. Data collection was composed through depth-interview. Data analysis was consisted of gronded theory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 on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burden of parents, reality of family of person with disabilities, severe disabilities who are excluded, poor facilities and problems of management appeared as result of reality of independence living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urrent problems of welfare facilities. Second, endless mountain although climb continually, unrealistic policies o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different managing systems of each facilities, deficient understanding of administrators appeared as the result causal factors of this situation. Third, coexistence, task of living facilities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life and labour of person with disabilities, critical mind of workers, necessity of community, comparison of europe community and Korea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upport for independence living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ggested as the result of support plans for them.

      • KCI등재

        장애학생 취업지도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수교사 인식과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정연수 ( Yeon Soo Je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장애학생 직업교육 연계과정에서 나타난 특수교사와 외부 유관기관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직업교육연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점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특수교사와 직업재활기관 종사자간의 협력적 관계를 맺기 위해 고려해야 할 부분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직업교육 및 현장실습지도 경험과 특수교사 4인, 직업재활기관 종사자 3인, 코디네이터 1인과 면담을 실시하고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장애학생 취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표류하는 직업교육으로 학생들에게 비젼을 제시하기 어려운 교육현실, 졸업후 장애인 역할가치의 하락과 경력간의 간극에서 오는 번민, 그리고 직업교사의 역할 정체성에 대한 혼란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부기관에서 바라보는 교사의 인식 및 태도는 높은 턱과 좁은 문, 불편한 시선 등 위탁자로서 요구가 앞서거나 장애학생 취업에 있어 복지시설 종사자보다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기관간 연계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서로의 역할과 업무를 공유하고 상대에 대해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특수교사와 복지시설 종사자간 서로에 대한 벽과 갈등은 상대방의 업무를 이해하지 못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서로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을 살린 역할 분담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율적인 연계가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considerations for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 and welfare facilities workers as exploring change of awareness and perspective of special school teachers. This study proceeded through auto-ethnograph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fou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e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rkers and one coordinator took part as participant. The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field observation records of researcher and interview data of special teachers and welfare facilities workers.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rough In vivo coding method and tried to revive daily language and viewpoints of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of special eduction teachers on the employ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eared as drifting vocational education and difficult conditions to present a vision, agony about role depreciation of gradua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fusion about identity of teacher role. Second, awareness and attitude about teacher of the outside welfare facilities appeared as high threshold and uncomfortable companion. Third, they regarded to need understanding efforts about task and role of each other. They thought their barrier and conflict started from misunderstanding of each others.

      • KCI등재

        중증장애인 취업 지원을 위한 동료지원가 활동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정연수(Jeong, Yeon Soo),김용탁(Kim, Young Tak),김민(Kim, Min),강수정(Kang, Soo Ju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21 職業再活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 취업 지원을 위한 동료지원가 활동 사업 운영의 어려움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료지원가, 수행기관, 지자체 및 관련 전문가 등 29인을 선정하여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함으로써 사업운영의 의미와 어려움 그리고 사업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였다. 또한 중증장애인 취업지원 사업에 참여한 장애인 당사자 5인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당사자 입장에서 바라본 취업지원 사업의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참여자들은 동료지원가 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증장애인 취업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도, 동료지원에 대한 교육과 훈련의 부족으로 동료지원가 역량이 제한되어 사업운영이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운영과 관련하여 동료지원가 급여체계가 비현실적이며, 정부기관 및 사업 수행기관들 간 의사소통 부족이 문제로 나타났으며, 사업 성과인 취업연계가 모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사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현실적인 예산지원, 동료지원가의 지속적인 교육 및 훈련, 수퍼바이저 역할정립과 지원, 정부기관과 사업수행기관 간 협력적 체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vitalization plan of the employment support busines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rough peer supporter activities. To this purpose, this study progressed FGI with 29 pers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5 persons.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 participants positively perceived the activities of peer supporter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of peer supporters was limited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employment support project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lack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peer supporert,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the project. Second, in relation to project operation, the pay system for peer supporters was unrealistic,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project execution organizations was found to be a problem, and the connection to employment, which is the project outcome, was found to be ambiguou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realistic budget support,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of peer supporters, establishment and supporter of supervisor roles, and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project execution agencies were necessary for smooth operation of the project.

      • 1인승 태양광 자동차의 전기 장치 효율과 재원이 주행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연수(Yeon-soo Jeong),하양(Yang He),유해빈(Haibin Liu),이승현(Seung-hyun Lee),김철호(Chul-H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4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4 No.11

        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s global problem,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cars is magnified. Especially, the solar car has high potential caused that many solar car races are being held around the world. In this paper, the various factors of the solar car components are analyzed by using power consumption model to infer that how factors have an effect on the driving in the Australian environment which is the place being held WSC. Based on the analysis, motor and solar cell efficiencies have a most impact on running performance.

      •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교관계자 운영경험 연구

        김효경(Kim Hyo Kyoung),정연수(Jeong Yeon-soo)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관리자 및 실무자, 참여부모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장애부모의 자녀양육관련 내용 및 가족의 정서적, 지식적 정보제공과 함께 가족 전체의 행복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 적극적인 경기도 소재 3개교를 최종 선정하여 관리자 및 담당교사, 그리고 부모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모 운영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 방법으로서 인터뷰전사, 코딩, 핵심주제생성과 이를 통한 결과도출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의 긍정적 효과로 특수교육의 이해, 심리정서적 안정, 부모역할이해, 자녀지도방법 공유, 학교에 대한 신뢰증가 등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어려움으로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전문담당자의 부재, 전문강사 선정의 어려움, 예산 및 시설의 부족이 핵심주제로 생성되었다. 셋째, 부모가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로는 상담을 통한 정서 및 심리적 지원, 기본정보에 대한 지식, 역량강화프로그램, 가족과 함께하는 프로그램 및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부모교육 운영자의 역량강화 교육,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예산지원의 확보, 관리자 마인드와 실무자 열정, 지역사회 서비스의 연계 방안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특수학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은 산발적이거나 단편적 프로그램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정서 심리적 지원강화 프로그램과 함께 가족의 역량강화를 돕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교육현장의 관리자 마인드와 운영실무자의 열정이 중요함으로 시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emotional stability, child teaching methods,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happiness enhancement of family and parents with disabled through experience investigation of special school administrator, practical teachers and participating parents. For this, this study chose three special schools in Gyunggi-do and proceed deep-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Study research of this article was qualitative research and transcribed recording interview and coded data and generated some core them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First, the positive effects appeared as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emotional statibility, understanding of parents role, sharing of child teaching methods and increased confidence. Second, difficulties of program operation of parents education appeared as diversity lack of program, absence of specialist, lack of budget and facilities. Third, needs of hoping program appeared as emotional support through counseling, knowledge about basic information and empowerment program for their families. Forth, ways for operation vitalization appeared as empowerment education of program operator,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securement of budget support and mind and passion of administrators and connection ways with community.

      • 후천적 척수장애인의 사고 후 일상생활 복귀과정에 대한 경험 연구

        최동규(Choi Dong-kyu),정연수(Jeong Yeon-soo)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후천적 척수장애 이후 병원에서 퇴원하여 일상으로 복귀한 척수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척수 손상 이후 성공적으로 일상생활에 복귀하기 위해서 필요한 중요요소들과 경험해온 과정에 대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사고나 질병으로 척수의 손상을 입은 후천적 척수장애인으로 일정한 경제적 수입활동(사회보험 가입자, 계약 단기 근로자 등)을 하고 있는 척수장애인 7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8월 동안 반구조화 된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전사 및 코드부여, 약호화 과정을 거쳐 의미를 생성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초기에 나타나는 자신의 변화된 모습과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대한 엇갈림이 힘든 삶의 여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장애를 수용하는 과정에 가족과 친구들, 동료척수장애인들의 영향과 지지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했으며. 이들에 대한 인식의 정도 역시 일상복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일상복귀를 위한 준비로서 생활환경의 지원, 이동편의시설 제공의 확대 등을 복귀의 중요 요소롤 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후천적 척수장애인의 사고 이후의 삶은 신체적 회복 이전에 정신적 극복이 우선되어야 하며 사회적 상황요인이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 about their return into the daily life and society as searching process of life of people with acquired spinal cord injury from before spinal cord injury until now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seven persons with acquired spinal cord injury who was damaged by sudden accidence or disease and had some income.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February to August and was proceed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collective data by deep interview transcribed, coded and generated meaning theme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as. First, The experience appeared as awareness about own changed figure, implausibility, difficulties in own life process. Second, encouragement and support of family, friends and spinal cord association peers, proces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Third, preparation for daily life return and community inclusion, longing for free going out, expectation about moving convenience facility appeared as the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life after accidence of persons with acquired spinal cord injury was influenced by psychological recovery than physical rehabilitation. And their private health condition and social circumstance was important together for the acceptance of their disability

      • KCI등재

        장애인 당사자와 재활전문가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비교

        황의태(Hwang, Eui Tae),정연수(Jeong, Yeon Soo) 한국직업재활학회 2022 職業再活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 중 장애인의 취업과 직업적응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장애유형별(지체․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중도․중복장애) 당사자 및 관련 재활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당사자와 재활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전문가 대상 설문지 173부와 장애인 당사자로부터대상 설문지 116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능력향상교육의 영역별 필요도와 요구도는 장애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중도중복장애는 기초직업교육과 전문직업교육에 대한 필요도가 높게 나타났고 다른 유형은 전문직업교육과 자격인증교육에 대한 필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능력향상교육의 각영역에 대한 세부적 요구에서는 기초직업교육으로 사회성 기술교육이, 전문직업교육으로 컴퓨터활용기술과 정보처리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자격인증교육은 장애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뿐 아니라 운영체계 역시 직업능력향상교육의 실효성 확대에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령기 이후 계속교육이 요구되는 장애인에게 장애인 평생교육 6대 영역 중 취업지원을위해 필요한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의 필요도와 요구도, 운영체계 등에 대한 요구 등을 장애유형에 따라 구체화하고자 했다는 점과 장애당사자와 재활현장전문가 양 측면에서 종합적인 의견을 창출하고자 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to support employment and vocational adjus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field experts, and 173 field experts and 116 copies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differed by type of disability. In the case of moderate and overlapping disability, the need for basic vocation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was high, and for other types, the need for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and certification education was high. appear. Second, in the educational demand for the middle area of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social skills education as basic vocational education and computer utiliz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s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were found to be high. Third, not only the development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but also the operating system were considered as import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intended to create a comprehensive opinion from both aspects of the disabled persons and rehabilitation field experts. And this study tried to materialize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necessary for employment support among the six area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for the disabled who require continuing education after school ag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인 성행동에 대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방안 연구

        한용현(Yong Hyun Han),정연수(Yeon Soo Jeo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2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가 교육 및 일상의 돌봄 과정에서 경험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성행동 유형과 대응태도를 알아보고 종사자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면담 후 전사 및 코딩분석을 통해 범주화 과정을 거쳐 67개의 개념화, 13개의 소주제, 6개의 핵심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시설 종사자에게 인식된 성인 발달장애인의 성행동은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성인권 보장과 통제 속에서 갈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사자가 인식하는 성인지 감수성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성인 발달장애인을 성적 존재로 인지하지 못하고 혼재된 감정과 시선으로 성인 발달장애인의 성행동에 양가감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허술한 성교육 등 종사자가 풀어야 할 과제와 함께 성인 발달장애인의 성(性)을 긍정적 활동으로 인지할 수 있는 성인지 감수성 향상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으로 성인 발달장애인 성(性)에 대한 인권적 접근이 필요하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전제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자신의 성(性)에 대한 자기점검과 지속적인 성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시설의 성인지적 지원은 성인지 감수성에 기반한 조직문화·정서로 자리매김 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xual behavior patterns of adult with D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sponse attitudes of staff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adult with D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daily care,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workers gender sensitivity. For this study, 12 staff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consis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xual behavior of the adult with DD perceived by staff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was negative, 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in conflict with the guarantee and control of adult rights. Second, staffs did not recognize adult with DD as sexual beings, and expressed ambivalence on the sexual behaviors of adults with DD through mixed emo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gender sensitivity to recognize the sex of adults with DD as positive activities along with tasks that staffs need to solve, such as poor sex education. In c onclus ion, a h uman r ights approach to a dult DD i s needed, and as a p rerequis ite to support them, self-examination on the sex, attitudes toward sexual life are requir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sensitive support of community for adults with DD should be positioned as a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ntiment based on gender sensi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