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각놀이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사회 · 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

        정애련(Jung, Ae-Ryeon),한유진(Han, Yu-Jun),양선영(Yang, Sun-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8

        본 연구는 감각놀이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들의 사회 · 정서발달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S특수학교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5세 6명(실험집단 3명, 통제집단 3명)이다. 치료놀이의 기본 원리와 감각기반 요인을 활용하여 장애유아들이 집단을 의식하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사회적인 정서 교류를 경험할 수 있도록 과제수행에 중점을 두고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장애유아들은 치료사와의 관계 및 집단의식, 또래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즉, 교사에의 비의존성, 내적통제, 또래와의 상호작용, 프로그램에서의 안정감, 성취동기, 호기심에서 변화를 보여 전체적인 사회 · 정서발달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감각놀이치료프로그램은 발달장애유아의 정서교감과 사회적 교류를 통해 사회 · 정서발달을 향상시켰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if a the group sensory play therapy program positively improves the development of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 people(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three control groups) who are in the S special school kindergarten. The program focused on task performance so that disabled infants could experience social and emotional exchanges by taking advantage of basic principles of treatment play and sensory-based factors. Studies have shown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experimental groups have positive changes in relation to therapists, group consciousness and peer relationship. In other words, dependence on therapists has decreased, and changes in internal control, interaction with peers, stability in programs, achievement motivation and curiosity have resulted in positive changes in overall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refore, Sensory play therapy programs can be said to have improved social mood development through emotional exchange and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부정적 자아상으로 부적응 문제를 보이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정애련(Jung, Ae-Lyun)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1 No.-

        본 연구는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 사이에서 태어난 아동이 언어와 낮은 자존감의 문제로 유치원 부적응을 보이는 사례이다. 아동은 영아기에 부의 부재로 인해 모국어인 한국어를 배울 기회가 부족하여 언어소통에 어려움이 있었고 유치원에서 부정적 또래 경험을 하게 되면서 부정적인 자아상과 자신감 결여 등으로 부적응 문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를 통하여 아동이 안전한 환경에서 치료적 관계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다양한 감정인식과 감정표출을 도와 긍정적 자아를 발달시키는데 치료의 목적을 두었다. 놀이치료는 주 1회 40분 치료와 10분 부모 상담으로 총 7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놀이가 진행되고 치료자와의 신뢰관계 속에서 감정이완과 공격성을 표출하면서 아동이 안전한 환경 안에서 긍정적 자아를 찾을 수 있도록 놀이를 촉진시켰다. 아동의 놀이치료와 함께 아동이 부모 나라에 대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부모상담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의 이해와 지지로 아동의 문제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for the child from Korean father with foreigner mother an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djustment to preschool and peer interaction. The child has problems in language communication caused by lack of time to learn Korean due to the absence of father. Therefore it leads to peer relationship problem and also negative self-image as well as lack of confidence. The study aimed at, build positive self-image through play therapy in therapeutic relationship to express and recognize his emotions. The treatment consisted of 70 sessions, which were one session per one week for 40 minutes play therapy for child, and 10 minutes for parents counselling. During the treatment he had expressed relaxed emotions and also aggressions in trusting relationship with therapist. The treatment sessions also produced parent education for child to recognized positive self though understanding parents’ countries, thus the problems child experienced was changed positively by parents’ supporting and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