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의 기원과 그 이론적 기초

        정신철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5 가톨릭신학 Vol.0 No.6

        교리교육의 역사 안에서 문답식 교리교육은 오랫동안 교회 안에서 유일한 신앙 교육 방법으로 인식되어져왔다.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본격적인 교리서의 출판과 더불어 시작된 이 교육 방법은 교리서의 내용을 모두 다 암기하였을 때, 교회가 바라는 착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교리 조문의 암기가 곧 신앙의 성숙을 이끌어 낸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사회와 교회가 일치된 시기 즉 중세 시대에는 많은 효과를 지닐 수 있었다. 왜냐하면 교리 내용에 대한 이해는 그리스도교 문화라는 사회적 분위기가 채워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되면서, 교회는 사회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학교에서 더 이상 공적으로 교리교육을 실시할 수 없게 되었으며, 점차 교육학과 심리학 등의 주변 학문의 발달과 이런 이론들의 교육 현장에로의 적용으로 인해, 문답식 교리교육의 방법뿐만 아니라, 교리교육 전반에 대한 깊은 쇄신을 사람들은 요구하였다. 1900년 초반부터, 특별히 뮌헨 방법론이 교리교육에 소개되고 적용되면서부터, 문답식 교리교육의 틀을 버리고, 심리학과 교육학의 원리를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교리교육의 방법들이 고안되는데, 이러한 움직임을 교리교육의 부흥 운동이라고 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1940년대까지 새로운 교수법의 탄생과 적용을 이루어 냈고, 교리를 전달함에 있어 교리를 듣는 이들에 대한 배려 또한 이루어져, 본연의 의미의 교리교육을 실시하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왔다. 교리교육 부흥운동은 이렇게 긍정적인 발전과 결실을 가져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교수법의 발달과 지나친 강조로 인해, 진정으로 전달해야 할 교리내용에 대한 전수여부에 대한 의문을 가져오게 하였다. 또한 교육학과 심리학의 전적인 교리교육에로의 도입으로 인한 그리스도교 진리 전체 이해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교리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증대가 있던 시기에, 신학계 한편에서는 2차 세계 대전을 보내면서 진정으로 이 시대와 세계에 힘과 희망을 줄 수 있는 복음 메시지에 대한 신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신학적 연구 결과는 복음선포 신학이라는 이름 아래, 복음 선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런 배경 속에서 열린, 엉베르 교리교육 국제회의에서는 교리교육의 중심적 내용이 살아 숨 쉬는 복음 메시지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1960년 독일 아이쉬테트에서 열린 교리교육 국제회의에서 그 본연의 윤곽이 드러나는데, 이를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이라고 부른다. 이 교육 방법은 살아있는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 가에 초점을 맞춘 교육 방법으로, 살아 있는 메시지의 핵심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에서 정점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구원 역사임을 강조한다. 이 교육 방법은 교회 역사 안에서 늘 등한히 해 왔던 성서를 교리교육의 중심으로 다시 불러놓았고, 구원의 역사를 강조하면서, 현재 살고 있는 우리에게 하느님의 구원 역사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고, 이에 대한 신앙인의 책임감을 강조한다. 이 교육 방법은 현대 교리교육의 기본적 방향을 제시한 중요한 노선이라고 평가되고 있고, 달리 그리스도 중심주의적 교리교육이라고 지칭된다. 문답식 교육의 종말과 신학적 관점에 교리교육을 생각하게 했던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은 1970년대와 1980년대 한국 천주교회의 부흥기라 할 ... Through the catechesis history, the catechism has been regarded the only way of catechesis for a long time. Since the Council of Trent along with much publication of catechism books, people have thought that they couldn't be good Christians without memorizing the whole catechism. In other words, they regarded memorizing the catechism as the mature faith. This kind of education was very effective in the Middle Age when the society and Church were not separated. Because the understanding of the catechism wa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Christian Culture. But times have changed. Today Church is only a part of the society, and the catechism is not taught in public at school any longer.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ch studies in the educational fields as pedagogics and psychology come to demand a further reform of catechism and catechesis in general. In the early 1900s when Munich methodology was introduced and applied to catechesis, a new kind of teaching method using pedagogic and psychological application was devised, which was called the revival movement of catechesis. This movement resulted in birth and application of new catechesis until 1940s. It was very effective because not only the content of the catechesis but also people who take lessons were focused. Even though the revival movement was fruitful and successful, the catechesis itself was too emphasized and the content of dogma itself was comparatively overlooked. Besides, the introduction of pedagogics and psychology interfered with understanding the whole Christian truth. At the time of growing realization of those problems in the education fields, the theological research about the gospel message, saying power and hope for people in the period of the world war II, was on progress.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emphasis of the importance of the gospel proclamation, which was named theology of gospel proclamation. The Anvers International Catechism Convention held under that circumstance reinforced that the main content of the catechesis is gospel message which is alive and vital. The true meaning reveal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f Catechesis in 1960 held in Eichstätt in Germany, which was called the kerygmatic catechesis. It was focused on how to preach the message and emphasized that the core of the message is the God's salvation history revealed in Jesus Christ's life. Thanks to this, Bible was brought in the middle of catechesis. The kerygmatic catechesis stresses the salvation history, that is, how god's salvation history is represented in us now here as well as the subsequent responsibility of the Christians. This method is estimated as an important line to point out the basic course of modern catechesis. So it is called Christ -centered catechesis. The end of catechism and the appearance of kerygmatic catechesis with theological view gave much influence to the method of teaching catechumens in 1970s and 1980s, the revival period of Korean Church. But the kerygmatic catechesis itself is not free from faults. Because of its content-centered method, it takes long time and the lack of time causes the decentralization of the main content and fail people to change their lives. It's also another problem whether the Koreans, who live in quite different culture from Christian background, can understand Christian message. In this respect, it is needed to study how the basic theory of the kerygmatic catechesis can be applied to Koreans. And a deep reflection is required on what kind of people has been fostered during the Korean Church revival period, when the method was used. When all these problems are overcome, the kerygmatic catechesis, the main stream of Korean Church, will be better and easier method for believers and catechumens.

      • KCI등재후보

        ETC 시스템 주파수 대역 호환에 관한 연구

        정신철,최기수,이병섭 한국전자파학회 2002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논문에서는 고속수통방식과 능동방식 ETC 시스템간 호환의 필요성에 따라 두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호환 방안을 제안한다. 현재 TTA에서 DSRC 시스템을 능통 방식으로 표준화 작업을 진행중이다 그러므로 현재 시범운용중인 고속수통방식 ETC 시스템과 아직 미개발 상태인 능통방식 ETC 시스템간 호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래서 기존의 고속수동방식 ETC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능통방식과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학 수 있는 방안(Direct Conversion Method)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존 방식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technique to be compatible the passive with active ETC system. Now the TTA is making a Standard of the Active DSRC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be compatible the developed and running passive ETC system with the developing active ETC system. So we proposed the direct conversion method without performance a decreasing of passive DSRC system using a similar bandwidth of the active ETC system. Simulation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proposed method.

      • 조선족의 민족적 정체성에 관하여

        정신철 동덕여자대학교 한중미래연구소 2012 동덕여자대학교 한중미래연구소 학술대회 Vol.2012 No.08

        개혁개방이후 중국조선족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활발한 조선족인 구의 도시진출과 한국을 비롯한 해외진출은 민족적 경제기반을 구축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동시에 급속한 인구이동은 인구분산화를 초래하였는바 이는 민족적 정체성유 지와 강화에 불리한 환경을 조성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민족이 살아남려으면 정체성을 상실하여서는 않된다. 그러면 조선족의 민족적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었으 며 현재는 어떠한 상황에 처하여 있고 또 앞으로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겠는지? 본 문은 바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간략한 답이라고 할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