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기기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교육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덧셈 계산 정확도와 과제집중도에 미치는 효과

        정수리 ( Su Ri Jeong ),허유성 ( Yu Sung He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의 수학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교육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덧셈 계산 정확도 및 과제집중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2명과 고등학생 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재효과는 단일대상 연구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다. 5가지 유형의 스마트 기기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모든 연구참여 학생에게서 스마트 기기의 수학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교육활동이 덧셈 계산 정확도 및 과제 집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효과는 중재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smart device applications on addition accuracy and on-task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e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intervention effects. 5 types of smart application devices were used. According to results, addition accuracy level and on-task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intervention.

      • KCI등재

        척추성형술 후 지연성 화농성 척추염: 인접 분절 골시멘트 충전 상태 - 증례 보고 -

        최의성,김용민,정수리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2

        Objectives: To report a rare case of late pyogenic spondylitis around the cement mass in T12 that developed 4 years after vertebroplasty with L1-3 bodies already filled with cement due to previous vertebroplast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yogenic spondylitis after vertebroplasty is a rare complication, but very difficult to manage. Materials and Methods: A 56-year old female visited us with pyogenic spondylitis around the T12 body. The bodies of L1-L3 had been filled with cement eight years previously, followed by another vertebroplasty for T12 four years previously in a local clinic. At first, conservative management with intravenous antibiotics was attempted for 8 weeks, without clinical improvement. Therefore, anterior surgery for T12 corpectomy, removal of the cement, and fusion was performed. Result: The infection was cured and anterior fusion was achieved, and the patient was able to return to her previous activities. Conclusions: Though previous vertebroplasty of the adjacent vertebral body seemed to be a major obstacle to achieving fusion, anterior surgical treatment was the ultimate solution to this complex problem. 연구계획: 증례 보고. 목적: 척추 성형술 후 4년 만에 발생한 시멘트 주위 화농성 척추염으로, 특히 인접 추체 또한 골시멘트로 충전된 상태여서 치료상 어려움이 있었으나 전방 수술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얻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척추 성형술 후 발생되는 화농성 척추염은 빈도는 드물지만 치료가 매우 어려운 합병증이다. 대상 및 방법: 타 병원에서 8년 전 제 1-3요추, 4년 전 제 12흉추에 경피적 척추 성형술을 시행 받았던 56세 여자가 제 12흉추체 척추 감염증으로 내원하였다. 인접 제 1요추체에도 척추 성형술로 시멘트가 충전된 상태로, 수술적 치료 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을 지 우려되어, 약 8주간 항생제를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시행하였으나 감염이 조절되지 않아 전방 추체 제거 및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감염은 치유되었으며, 최종 추시 영상에서 전방 유합이 확인되었고, 환자는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하였다. 결론: 척추 성형술 추체 내 시멘트 주위 화농성 감염의 치료에 있어서, 인접 추체에도 시멘트가 충전되어 있음으로 인해 성공적인 골유합을 얻을 수 있을 지가우려되었지만 결국 전방 수술로 치료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비골 동맥 천공지 기저 프로펠러 피판술을 이용한 족관절 주위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술: 4예 보고

        조병기,박지강,박경진,정수리,Cho, Byung-Ki,Park, Ji-Kang,Park, Kyoung-Jin,Chong, Suri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4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8 No.4

        Four patients with soft tissue defects around the ankle joint were covered with peroneal artery perforator-based propeller flaps. Using color Doppler sonography, the flap wa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erforator and soft tissue defects. The procedure was then performed by rotating the flap by $180^{\circ}$. Additional skin graft was required in a patient due to partial necrosis, and delayed wound repair was performed in another patient with poor blood circulation at the distal part of the flap. The remaining patients did not have any complications and results were considered excellent. Good outcomes were eventually obtained for all patients.

      • KCI등재

        충수돌기염 천공에 의해 발생한 요근 및 대퇴부 농양 - 증례 보고 -

        김동수,김용민,최의성,손현철,정수리,최승명,박상준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1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충수돌기염 천공에 의해 발생한 요근 및 대퇴부 농양의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요근 농양의 증상은 발열 및 하부 요통, 요근 경련이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53세 남자환자가 고열 및 하부 요통, 하퇴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요근 농양 및 대퇴부 농양이 발견되었고, 충수돌기염 천공이 동반되어 수술적 치료 및 경피적 배농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적 치료와 함께 광범위 항생제를 8주간 사용 후 환자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다. 결론: 패혈증을 동반한 요근 및 대퇴부 농양이 있을 경우는 정확한 이학적 검사 및 복부와 골반의 전산화 단층 촬영 등을 통해 농양의 원인을 찾아야 하며, 증상이 비특이적일 지라도 소화-비뇨기 계통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요근 농양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하고 의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Study Design: A case repor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symptoms of psoas abscess are fever, low back pain, and spasm of the psoas muscle. Objectives: To report a case of psoas and thigh abscess caused by ruptured appendicitis. Materials and Methods: A 53- year old male patient visited the complaining of fever, low back pain and thigh pain. Imaging studiesrevealed psoas abscess and thigh abscess, accompanied by ruptured appendicitis. Therefore, surgical treatment with percutaneousdrainage was performed. Results: The patient recovered and returned to his normal life after 2 month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infection using physical examination as well as abdominal and pelvis computedtomography when a patient has fever, psoas abscess and thigh abscess. It is also important to be aware that the cause of psoas abscessmay also be gastrointestinal tract disease with non specific symptoms.

      • KCI등재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2006∼2016년)

        김정연 ( Kim Jeong-youn ),김시원 ( Kim Si-won ),권은애 ( Gweon Eun-ae ),정수리 ( Jeong Su-ri ),김연지 ( Kim Yeon-j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2

        최근 특수교육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중도ㆍ중복화로 중도ㆍ중복장애학생들의 교육에 관심과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으며, 이들의 교육적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들을 살펴보고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과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최근 11년간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중도ㆍ중복장애학생 대상의 실험연구를 분석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분석된 논문은 38편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회지 및 연도별 연구동향은 2011년부터 연구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지체ㆍ중복ㆍ건강장애 연구`에 게재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실험연구의 참여자 수는 3명 이하인 경우가 84.2%였으며, 연령별로는 초등학교 학생, 장애유형별로는 중도 지체장애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가 78.9%로 주를 이루었다. 넷째, 주제별 연구 경향은 의사소통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분석한 논문들의 중재 효과는 전반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의 독특한 특성과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위한 후속 연구과제 및 방향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an increasing numbers of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al needs for those students are being focused and diversified. This research are to analyzed the trend in experimental researches targeting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refore to get a direction and implicatioms for further study.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38 experimental researches from recent 11 year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journal articles are analyzed. The rese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trend by year shows the number if researches is increasing from 2011. Also, `Korean Journal of P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has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es among academic journals analyzed in this study. Second, 84.2% of experimental researches have no more than 3 participants. Among participants, elementary students are the greatest group by age, and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re the greatest by types of disabilities. Third, single subject research occupies 78.9% of research design. Fourth, the most popular subject is the study on communication. Fifth, the moderating effects of analyzed paper are significant. Based in these results, the subjects and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are proposed.

      • KCI등재

        이소성 골형성으로 인한 주관절 강직에서 12개월 이내에 시행한 수술적 치료의 효과

        김용민(Yong-Min Kim),박지강(Ji-Kang Park),정수리(Suri Ch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6

        이소성 골형성으로 인해 주관절 운동 제한이 발생한 5예에 대해 1년 이내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상 시로부터 평균 10개월에 수술적 치료로 이소성 골제거술 및 관절 유리술을 시행하였고 방사선 요법은 700 cGy로 1회 시행하였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평균 4주간 사용하였다. 평균 21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중 이소성 골형성의 재발은 발생하지 않았다. 최종 추시에는 굴곡-신전 운동의 범위가 평균 64도에서 133도로 증가하였다. 이소성 골형성으로 인한 주관절의 운동제한이 발생한 경우 수상 시로부터 수술 시점은 기존에 제시되던 12-18개월보다 적은 1년 이내라도 방사선 치료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동반한 수술적 치료로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ive patients presented with a limited range of motion in their elbow associated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All of these patients underwent surgery within one year. Removal of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a posterior capsular release was performed within ten months on average after the initial injury. Each patient postoperatively received prophylaxis consisting of a single-shot radiation of 700 cGY and administration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for four weeks on average. With a median follow up period of 21 months, five patients had no radiographic evidence of recurrence. The arc of flexion-extension increased from an average of 64 degrees preoperatively to 133 degrees at the latest follow up. A 12- to 18-month period is generally recommended as necessary for an operation on an ankylosed elbow associated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However, the operative treatment, together with radiation therapy and NSAIDs administration, showed good results within 12 mon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